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6:37:23

팔디곤 토프탈

피를 마시는 새의 등장인물
<colbgcolor=lightsteelblue,#20344f> 인간 도깨비 레콘 나가 기타
인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lightsteelblue,#20344f> 제국군 레이헬 라보 · 엘시 에더리 · 틸러 달비 · 시허릭 마지오 · 테룸 나마스 · 니어엘 헨로 · 커레이야 만스 · 다미갈 카루스 · 맥키 네미 · 가리아 릿폴 · 소람 퍼기스 · 릭 몰테이
유료 도로당 게라임 지울비 · 시오크 지울비 · 마리번 도빈 · 데무즈
하늘누리 사라말 아이솔 · 파라말 아이솔 · 지알데 락바이 · 락신 치올 · 도르 헨로 · 모디사 헨로 · 에스커 헬토 · 오니 보 · 쿠스
백화각 두이만 길토 · 부냐 헨로
규리하 정우 규리하 · 아이저 규리하 · 이이타 규리하 · 시카트 규리하 · 골케 남작
발케네 락토 빌파 · 스카리 빌파 · 헤어릿 에렉스 · 팔리탐 지소어 · 소리 로베자 · 수핀 로베자 · 레드마 브릭
시모그라쥬 팔디곤 토프탈 · 베로시 토프탈 · 아쉬존 토프탈
비나간 홀빈 퍼스 · 마진 퍼스 · 레데른 퍼스 · 지키멜 퍼스 · 팩스벗 졸다비
판사이 발리츠 굴도하 · 아이넬 굴도하
기타 아실 · 제이어 솔한 · 이레 달비 · 지테를 시야니 · 우슬라 사르마크 · 아지엣 사카라 · 조프 엔킬더 · 세레지 파림 · · 코세 칸디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대

세미쿼
2대

팔디곤 토프탈
??? 아쉬존 토프탈
??? 베로시 토프탈
}}}}}}}}} ||

피를 마시는 새의 등장인물.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 가위를 들고 활약했던 족장이자 장군 세미쿼의 아들로, 그가 부족을 떠난 후 태어난 아들이다. 세미쿼는 부족을 떠나기 전 아들에게 일부러 이상한 이름을 남기고 떠났고, 아내의 오빠[1]가 부족의 풍습에 따라 이 아이에게 멀쩡한 이름을 붙이고 길러 주었다.[2] 즉, 세미쿼는 죽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전쟁을 치르러 가면서 자신의 처남(팔디곤에게는 외삼촌)에게 아이를 맡긴 셈이 된다. 세미쿼는 무사히 전쟁에서 살아남았고, 팔디곤은 남부로 내려와 아버지와 재회하게 된다. 그리고 어색한 아버지 대신 자신을 길러주고 이름을 지어준 외숙부 '토프탈'의 이름을 자신의 성으로 삼았고, 세미쿼의 흔적은 그의 상징인 가위 문양으로 시모그라쥬 공작가에 남는다.

이후 아버지 세미쿼에 이어 시모그라쥬 공작의 작위를 이어받았다.[3] 하지만 나가의 도시의 특성상 시모그라쥬의 통치는 시모그라쥬 평의회가 맡는 것이었고 시모그라쥬 공작의 임무는 황제[4](및 제국)와 시모그라쥬(평의회 및 가주들) 사이에서의 중계의 역할이었다. 나가 사회의 특성상 가문의 대표자인 가주들의 연합인 평의회와의 연결 고리가 되어주는 것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세미쿼는 이러한 임무를 잘 이해하고 있었고, 자신을 '시모그라쥬 시민들의 첫 번째 벗'이라고 자칭했다. 또한 죽음에 이르러 아들에게도 자신이 시모그라쥬 시민의 첫 번째 벗임을 잊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

하지만 팔디곤이 아버지에게 갖는 감정은 인간의 그것보다는 레콘의 그것, 즉 피만 이어진 남에 가까웠고 그의 실질적인 아버지는 외삼촌인 토프탈 쪽이었다. 그런데 그 토프탈은 산사나이로서의 교육만 해준데다, 세미쿼가 죽자마자 외척의 세도정치를 피해야한다는 생각으로 친척들을 모두 데리고 고향으로 돌아가버리는 바람에 사실상 외롭게 정치를 시작해야했다. 결국 세미쿼의 바람과 달리 달리 자신을 '시모그라쥬 공'이라 자칭하는 데, 이는 자신을 버린 두 아버지에 대한 일종의 자격지심과 반발심에서 일어난 일이었다. 이러한 팔디곤의 행보에 대해 많은 시모그라쥬 시민들은 우려를 표명했으며 일각에서는 이렇게 지적하기도 했다.
"당신은 대호왕을 모시고 불침의 키보렌을 꿰뚫었던 당신의 아버지가 아니다. 당신은 나무가 된 자, 하늘로 올라간 자, 죽은 채 싸웠던 자 등과 같은 반열에 설 수 없다."[5]
 
그러나 팔디곤은 별다른 입장 표명을 하지 않으며 자신을 꿋꿋이 시모그라쥬 공이라 칭한다. 그렇다고 그렇게 부르라고 강요한 것도 아니고, 자기 자신을 지칭함으로써 묵묵히 인정을 바란 것이다. 이 전략이 어느 정도 먹혀들었는지 사람들은 결국 팔디곤 앞에서는 시모그라쥬공이라고 부르게 되었지만, 아직도 재치를 사랑하는 수많은 시모그라쥬 시민들은 새해마다 팔디곤에게 '벗에게'라는 이름으로 선물을 보내거나 하고 있다.

이렇듯 공작이라는 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권력은 적어보이는 인물이었으나….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늘누리의 추락과 황제의 실종 이후 본격적으로 야욕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사실 하늘누리의 추락 역시 그가 발케네 공 락토 빌파와 손을 잡고 꾸민 일이었다. 대장군 엘시 에더리를 남부에 억류한 것이 그 첫 번째 단계이자 대장군을 군대 옆에서 떼어놓으려는 술책이었던 것. 그리고 이후 이미 사병화된 남부의 제국군을 동원해 북으로 치고올라가는 것이 그의 목표였던 것으로 보인다.

황제의 실종 이후 베로시 토프탈을 앞세워 남부의 제국군을 손에 넣고, 하텐그라쥬에 은거하던 대호왕 사모 페이를 데려와 어지러운 제국을 수습한다는 명분으로 삼는다. 그의 목적은 황제위에 올라 손자인 아쉬존 토프탈에게 황제위를 물려주는 것이었던 듯. 즉 이레가 한때 평한 것처럼 흔하디 흔한 제왕병자이나, 두 아버지에게 모두 버림 받은 과거를 생각해보면 마냥 욕하기도 뭐한 인물이다.

그러나 황제의 귀환 이후, 가문을 지키기 위해 대호왕을 내어주고 항복하고 이후 등장하지 않는다.[6] 작중에서 발케네 공 락토 빌파가 보여주었던 포스에 비하면 같은 공작임에도 불구하고 여러모로 밀리는 등장인물. 사실 코네도-그룸(그리고 어쩌면 토카리) 부자의 후계자 수업을 철저히 이수했을 락토에 비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해 자수성가해야 했던 인물이라고 생각해보면, 썩 노련하거나 철학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건 이상하지 않다.


[1] 즉, 처남. 부족에서 가장 훌륭한 사내라고 한다. [2] 세미쿼의 부족에는 아이의 이름을 지어준 사람이 곧 아이를 친자식처럼 키워준다는 전통이 있다. [3] 술에 취해 사냥을 하다가 낙마하여 죽었다고 한다. 참고로 세미쿼는 눈마새 마지막 등장씬에서도 술 때문에 곤경에 처했었다는 언급이 나온다라수 : 그러니까 술 좀 그만 마시라고 [4] 당시의 황제는 원시제 그리미 마케로우였다. [5] 륜 페이는 나무가 되어 하텐그라쥬에 남게 되었고, 티나한은 술을 마시다가 하늘로 올라가는 환상계단을 상상하여 사라졌으며, 괄하이드 규리하는 천일 전쟁에서 죽은 채 싸웠다고 말할 만큼 분전했다. 제각기 아라짓 왕국과 제국의 성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전설적인 인물들이다. 그의 아버지인 세미쿼는 최소한 그들과 함께 싸우며 전우라 불릴 수 있는 인물이었지만, 아들인 팔디곤에게는 그런 위명도 없다는 뜻이다. [6] 그 과정에서 그을린발에게 십만명 단위로 병사들이 몰살당하긴 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