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14:11:44

틱틱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뮤지컬을 원작으로 하는 2021년 영화에 대한 내용은 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CLASS:y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Tick Tick Boom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틱틱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신시컴퍼니 로고_purple.png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5%><bgcolor=#9D0B0C> 파일:신시 렌트.png ||<width=25%><bgcolor=#030303> 파일:신시 시카고.png ||<bgcolor=#F6DC01><width=25%> 파일:임컬처 틱틱붐.png ||<width=25%><bgcolor=#000> 파일:신시 유린.png ||
<rowcolor=#eee> 2000 2001 2002
파일:신시 맘마.png 파일:신시 블브.png 파일:신시 아이다.png 파일:신시 댄싱.png
<rowcolor=#eee> 2004 2005 2007
파일:신시 헤어.png 파일:라스트 파이브 이어스 흰 로고.png 파일:신시 푸날.png 파일:신시 레드.png
<rowcolor=#eee> 2007 2008 2011
파일:신시 고스트.png 파일:신시 아리랑.png 파일:신시 에포베.png 파일:신시 빌리.png
<rowcolor=#eee> 2013 2015 2016 2017
파일:신시 마틸다2.png 파일:신시 연극 2시 22분 로고.png 파일:신시 싯터.png
<rowcolor=#eee> 2018 2023
※문서 등록된 공연만 기재함. (내한 공연 제외)


아이엠컬처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5%><bgcolor=#B29B71> 파일:임컬처 로기수.png ||<width=25%><bgcolor=#070707> 파일:임컬처 카포네1.png ||<bgcolor=#2C293A><width=25%> 파일:임컬처 사이.png ||<width=25%><bgcolor=#05090A> 파일:임컬처 벙커.png ||
2015 2015 2016 2016
파일:임컬처 오첨뮤.png 파일:임컬처 틱틱붐.png 파일:임컬처 프론.png 파일:임컬처 엘레나.png
2017 2017 2017 2017
파일:임컬처 헬멧.png 파일:임컬처 전리농.png 파일:임컬처 아이위시.png 파일:임컬쳐 땡베리.png
2017 2019 2021 2021
파일:식스로고.png
2023
tick, tick... BOOM![1]
파일:external/www.newcastle.lizottes.com.au/tick-tick-boom.jpg

파일:external/chicagotheaterbeat.com/Bear-Bellinger-Adrian-Aguilar-and-Jenny-Guse-tick-tick-boom-Porchlight-Theatre_thumb.jpg

1. 개요2. 극작가 소개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뮤지컬 넘버6. 한국 공연
6.1. 2001년6.2. 2002년6.3. 2005년6.4. 2007년6.5. 2010년6.6. 2017년6.7. 2024년
7. 기타

1. 개요

틱... 틱... 우리말로 째깍째깍 하는 시계추 소리이다. 시간은 흘러가지만 장래를 준비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단순한 그 시계추 소리가 그 사람을 옥죄고 심한 고통속으로 몰아 넣을 수 있다.

하나 하나 시간이 흘러갈 때마다 준비된 것이 없이 맞이하는 30대! 그 시계추 소리는 환청으로 들리면서 심한 좌절과 절망감을 맛보게 해준다. 여기 그런 사람이 있다. 바로 존(Jon)...

존은 그 시계추 소리를 즐겁게 맞이할 것인가? 아니면 고통 속에서 살것인가?

하지만, 미래는 준비하는 자에게만 온다고 하지 않았던가? 이제 자신의 꿈을 향해 도전하는 자니의 꿈을 들여다보자!

과감하고 파격적인 공연형식과 음악으로 기존의 뮤지컬 틀을 과감하게 벗어 던진 뮤지컬 렌트로 한국 뮤지컬의 시장에 일대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바로 그 극작가 조너선 라슨의 유작인 뮤지컬 〈틱,틱붐!〉. 1990년 막 30살이 된 라슨에 의해 1인극 뮤지컬로 계획되어 조너선 라슨이 직접 주인공으로 출연하여 수차례 워크숍을 가져 완성도를 높였음에도 불구하고 라슨의 안타까운 죽음으로 사장되었었다. 그러나 이 작품은 라슨의 천재성과 작품의 완성도를 아깝게 여겼던 라슨의 친구들에 의해 다시 공연이 계획되었고, 〈프루프(Proof)〉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극작가 데이비드 어번(David Auburn)에 의해 1인극이 세 사람의 캐릭터로 나뉘어져 주인공의 삶이 좀더 구체적으로 형상화 되었다. 훨씬 밀도 있는 모습으로 정비된 〈틱,틱붐!〉은 조너선 라슨이 세상을 떠난 5년 뒤 2001년 6월 13일, 오프브로드웨이 Jane Street 극장에서 오픈하였다. 오픈 후 렌트의 특별함에 매료된 수많은 브로드웨이의 '라슨 매니아'들의 관심이 〈틱,틱붐!〉으로 쏠리며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렌트의 음악의 아름다움에 필적할 만한 〈틱,틱붐!〉의 음악은 전체적으로 앰프 소리가 많이 울리는 편인 〈렌트〉와는 달리, 정감 있고 심플한 발라드, 빠른 선율, 직선적으로 흐르는 록 음악들로 사람들의 마음을 끌어당기며 록 콘서트와 뮤지컬 사이의 균형 감각을 훌륭하게 유지하며 관객들 마음속으로 파고들었다. 〈틱,틱붐!〉의 오리지널 레코딩은 폭발적인 인기를 누려 당시 뮤지컬 음반 판매점에서 구하기 어려울 정도의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2]

해밀턴 제작자 린 마누엘 미란다 영화판을 감독한다. 미란다는 조너선 라슨의 다른 작품 렌트의 광팬이며 해밀턴의 애론 버 역 레슬리 오돔 주니어와 함께 틱틱붐의 프로덕션에 출연한 적도 있었다. 넷플릭스가 제작, 앤드류 가필드 바네사 허진스가 출연한다. #

2001년에 오프 브로드웨이 캐스트가 내한한 적이 있다. 조이 맥킨타이어가 존 역할을 맡았는데 TV 방송에서 홍보로 Louder Than Words를 부르기도 했다. 수산 역할의 나타샤 디아즈의 채널에서 녹화된 공연을 시청할 수 있다.[3]

2. 극작가 소개

조너선 라슨(Jonathan Larson, 1960년 2월 4일 - 1996년 2월 25일)은 미국의 작곡가이자 극작가로서 다문화주의, 중독, 호모포비아, 에이즈 등 심각한 사회 문제를 다뤘다. 이러한 주제를 담은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렌트와 틱틱붐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3. 시놉시스

조너선(Jonthan/Jon)은 자신이 만든 뮤지컬을 공연하고 싶어하는 가난한 예술가이다. 그러나 현실적인 상황은 그를 계속 어렵고 고통스럽게 할 뿐이다. 여자 친구인 수잔(Susan)은 존(Jon)과 함께 뉴욕을 떠나 가정을 꾸리길 원한다. 그러나 Jon은 Susan에게 어떤 확실한 대답도 해 줄 수 없다. 예전에 배우였던 룸메이트 친구 마이클(Michael)은 예술가의 길을 포기하고 현실과 타협하여 매디슨(Madison)가에서 엄청난 돈을 벌어들인다. 그의 새로 산 자동차 BMW와 다운타운에 자리한 새 아파트를 구경하고 나서 존은 더욱 비참함을 느끼고 갈등하게 된다.

존은 벌써 5년째 소호(Soho)에서 식당 웨이터로 일하며 까다로운 손님들 시중 드는 일에 진저리를 치고 있지만 (마이클과 수잔이 다양한 손님들의 다역으로 분함), 예술가로서의 희망을 접지 못하고 계속 소호에서의 어려운 생활을 견디며 작품 쓰는 일에 몰두한다. 수잔과 존은 지겨운 현실에 지쳐가고 코믹하기까지 한 의미 없는 말다툼을 자주 벌이게 된다. 마이클의 조언에 따라 참여하게 된 세미나에서 조차 잘난 척하는 비즈니스 우먼(수잔이 전혀 색다를 성격의 여성을 연기)에게 바보 취급을 당하고 사회의 낙오자가 된 듯한 좌절을 느끼게 된다.

모든 것이 불안하기만 한 존은 더욱 자신의 작품에만 강렬하게 집착한다. 그의 작품 슈퍼비아(Superbia)의 완성이 목전에 다가와 워크숍 공연이 무대에 올려지게 되고 곧 그의 30살을 맞는 생일이 그를 기다리고 있다. 워크숍의 성공과 함께 서른 살 이후의 새로운 삶을 바라는 존은 그 긴장과 두려움으로 날카로운 신경과민 증상을 보이고 시계추 같은 ‘틱틱...(tick, tick...)’ 소리의 환청으로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게 된다. 불안감과 신경과민으로 시달리는 존과 새로운 직장을 얻어 곧 떠나게 되는 수잔의 갈등은 골이 깊어 가고, 설상가상으로, 한 가닥 희망이었던 제작자가 자신의 워크숍 공연이 끝나고 일찍 나가버린 사실을 알게 된다. 좌절감을 느껴 찾아간 마이클로 부터는 병에 걸려 오래 살수 없다는 뜻밖에 소식을 듣는다. 절망감과 비통함에 잠겨 방황하던 존은 이제는 어떤 희망도 찾을 수 없이, 의미 없는 30살 생일을 맞는다.

그러나 생일파티를 하는 도중 제작자로부터 작품에 투자하겠다는 전화가 걸려 오고, 꿈을 쫓는 젊은이의 용기와 새로운 희망의 기쁨을 노래한다. 좌절보다 더 큰 희망은 고통과 괴로움의 소리를 잠재울 수 있게 되었다. 한 젊은 예술가의 좌절과 희망은 결국 우리시대, 바로 우리 자신의 이야기이다.
[4]

4. 등장인물


[6]

5. 뮤지컬 넘버

1. 30/90 – Jon/ Michael/ Susan
2. GREEN GREEN DRESS - Jon/ Susan
3. JOHNNY CAN’T DECIDE - Jon/ Michael/ Susan
4. SUNDAY - Jon/ Michael/ Susan
5. NO MORE - Jon/ Michael
6. THERAPY - Jon/ Susan
7. REAL LIFE - Jon/ Michael/ Susan
8. SUGAR - Jon/ Michael/ Susan
9. SEE HER SMILE - Jon/ Michael/ Susan
10. COME TO YOUR SENSES - Karessa (Susan)
11. WHY - Jon
12. LOUDER THAN WORDS - Jon/ Michael/ Susan

6. 한국 공연

6.1. 2001년

2001.12.01 ~ 2001.12.30 산울림 소극장

6.2. 2002년

2002.01 ~ 2002.02.13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6.3. 2005년

2005.04.22 ~ 2005.05.29 대학로 티오엠 1관

6.4. 2007년

2007.12.07 ~ 2007.12.30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6.5. 2010년

2010.09.30 ~ 2010.11.07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6.6. 2017년[7]

2017.08.29 ~ 2017.10.15 대학로TOM 1관

6.7. 2024년

2024.11.16 ~ 2025.02.02 코엑스 신한카드 아티움

7. 기타


[1] 틱... 틱... 우리말로 째깍째각하는 시계추 소리 [2] 출처: 신시컴퍼니 홈페이지에서 인용 # [3] 여담으로 존이 부모님하고 전화하는 장면에서 아버지를 한국어로 '아빠'라고 부르고 어머니를 '엄마'라고 부르는 것도 볼 수 있다(...). [4] 신시컴퍼니 홈페이지에서 인용 http://www.iseensee.com/Home/Perf/PerfDetail.aspx?IdPerf=993 [5] 본명은 조너선 라슨 [6] 뮤지컬 틱틱붐 홈페이지에서 인용 http://www.kdrama.net/ticktickboom/introduce.php?id=introduce [7] 이석준, 이건명, 배해선의 데뷔 20주년 기념 공연으로, 다른 시즌과 달리 아이엠컬처에서 제작하였다. [8] 3인극이었으나 해당 시즌부터 앙상블이 추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