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0:00:35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2024)
PROJECT SILENCE
파일:탈출 포스터 3.jpg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장르 재난, 액션, 첩보, 스릴러, 호러, 어드벤처
감독 김태곤
각본 김태곤, 김용화, 박주석
제작 김용화
촬영 홍경표
미술 한아름[1]
편집 허선미, 이건문
음향 이민수
음악 심현정
무술 이건문
시각효과
출연 이선균, 주지훈, 김희원
제작사 블라드스튜디오, CJ ENM 스튜디오스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J ENM MOVIE
스트리밍
촬영 기간 2020년 10월 8일 ~ 2021년 6월 11일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아이콘.svg 2023년 5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7월 12일
화면비
상영 타입 2D | 4DX
상영 시간 101분 (1시간 41분)
제작비 200억 원 #
손익분기점
월드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상영 등급 미정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
5.1. 주요 인물5.2. 주변 인물
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
9.1. 대한민국
10. 기타

[clearfix]

1. 개요

짙은 안개 속 연쇄 추돌 사고가 일어나고, 붕괴 위기의 공항대교에 풀려난 통제불능의 군사용 실험견들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극한의 사투를 벌이는 사람들의 이야기

2024년 7월 12일 개봉 예정인 한국 영화.

제76회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 초청작.

2. 포스터

파일:사일런스 티저포스터.jpg 파일:탈출: PROJECT SILENCE 해외 포스터.jpg
시나리오 표지 해외 포스터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탈출 포스터 1.jpg 파일:탈출 포스터 2.jpg
티저 포스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탈출 포스터 4.jpg 파일:탈출 포스터 3.jpg
메인 포스터 }}}

3. 예고편

인터내셔널 예고편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

붕괴 위기의 공항대교,
생존자 전원이 타겟이 되었다.

기상 악화로 한치 앞도 구분할 수 없는 공항대교.
연쇄 추돌 사고와 폭발로 붕괴 위기에 놓인 다리 위에 사람들이 고립된다.
이 때 극비리에 이송 중이던 '프로젝트 사일런스'의 군사용 실험견들이 풀려나고
모든 생존자가 그들의 타겟이 되어 무차별 공격당하는 통제불능의 상황이 벌어진다.

공항으로 향하던 안보실 행정관(이선균)부터
사고를 수습하려고 현장을 찾은 렉카 기사(주지훈),
그리고 실험견들을 극비리에 이송 중이던 '프로젝트 사일런스'의 책임연구원(김희원)까지.

사상 최악의 연쇄 재난 발생,
살아남기 위한 극한의 사투가 시작된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5. 등장인물

5.1. 주요 인물

5.2. 주변 인물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칸 영화제 심야 상영회 직후 첫 평가가 나왔는데 호불호에도 못 미치게 매우 좋지 않다. 이러한 초기 반응은 2021년에 촬영을 마치고 크랭크업했음에도 왜 2년간이나 개봉이 미뤄지면서 창고 영화로 남았었는지 설명이 되는 부분이기도 했다. 편집 등의 후반 작업 기간을 감안해도 코로나 사태가 끝난 이후에도 개봉이 1년 이상 미뤄진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국내외 기자들의 리뷰 모두 지나치게 편의주의적인 전개와 난잡한 클리셰, 다른 영화를 베낀 듯 기시감이 드는 장면들, 질척하고 늘어지는 신파, 독창성과 서사의 부재 등을 공통적으로 지적하며 영화가 전체적으로 유치하고 조잡하다는 악평이 우세했다. 헐리우드의 유력 매체인 버라이어티는 "Silly(어리석은)"라는 표현으로 혹평을 남겼을 정도였다. 이는 관객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배우들의 연기와 액션 연출이 가장 돋보이는 볼거리라 호평을 받았으며, 덱스터 스튜디오가 시각효과에 참여한 작품답게 CG의 완성도는 대체로 준수했지만 일부 장면들 속 군견들의 CG 모델링이 눈에 띄게 어색했다는 비판도 일부 존재했다.

9. 흥행

9.1. 대한민국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rowcolor=#ffffff,#fff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24-07-17.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7-18. 2일차(목) -명 -위 -원
2024-07-19. 3일차(금) -명 -위 -원
2024-07-20. 4일차(토) -명 -위 -원
2024-07-21. 5일차(일) -명 -위 -원
2024-07-22. 6일차(월) -명 -위 -원
2024-07-23.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24-07-24.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7-25. 9일차(목) -명 -위 -원
2024-07-26. 10일차(금) -명 -위 -원
2024-07-27. 11일차(토) -명 -위 -원
2024-07-28. 12일차(일) -명 -위 -원
2024-07-29. 13일차(월) -명 -위 -원
2024-07-30.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24-07-31.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8-01. 16일차(목) -명 -위 -원
2024-08-02. 17일차(금) -명 -위 -원
2024-08-03. 18일차(토) -명 -위 -원
2024-08-04. 19일차(일) -명 -위 -원
2024-08-05. 20일차(월) -명 -위 -원
2024-08-06.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24-08-07.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4-08-08. 23일차(목) -명 -위 -원
2024-08-09. 24일차(금) -명 -위 -원
2024-08-10. 25일차(토) -명 -위 -원
2024-08-11. 26일차(일) -명 -위 -원
2024-08-12. 27일차(월) -명 -위 -원
2024-08-13. 28일차(화) -명 -위 -원
합계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2]


10. 기타



[1] 1987의 미술 감독. [2] ~ 2024/07/17 기준 [3] 신과함께-죄와 벌에서도 주지훈이 주연, 김수안이 조연이었다. 또한 해당 작품의 감독이었던 김용화는 본작에 제작자 겸 공동 각본가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