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릭스 에르난데스 Félix Hernández |
|
본명 |
펠릭스 에이브러햄 그레이엄 에르난데스 Félix Abraham Graham Hernández |
출생 | 1986년 4월 8일 ([age(1986-04-08)]세) |
카라보보 주 발렌시아 | |
국적 |
[[베네수엘라|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U.E. 호세 오스트리아 고등학교 |
신체 | 190cm / 94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2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SEA) |
소속팀 | 시애틀 매리너스 (2005~2019) |
기록 |
무결점 이닝 (2008.6.17.[1]) 단일 이닝 4삼진 (2010.6.3.) 퍼펙트 게임 (2012.8.15.) |
SNS |
[clearfix]
1. 개요
|
베네수엘라 국적의 전 야구 선수. 포지션은 선발 투수로, 별명은 'King'.[2]
2. 선수 경력
펠릭스 에르난데스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펠릭스 에르난데스/선수 경력 | |||
MiLB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3. 피칭 스타일
|
그리고 패스트볼 구속이 떨어질수록 오히려 세부 성적은 나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속구 평균 구속이 92마일 언저리인 2012년과 2013년 평균자책점은 3.06, 3.04으로 분명 뛰어난 성적이었다. 또한 세이버메트릭스의 여러 지표와 분석들이 힘을 얻어가며 투승타타의 대안적 지표로 자리 잡았던 평균 자책점보다, K/9과 BB/9 역시 구속이 떨어질 수록 좋아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평가하는 FIP 또한 낮아져 2012년 처음으로 2점대에 접어들었고 2013, 2014시즌에는 각각 2.61, 2.56을 기록했다.
결정구는 메이저 리그 최고의 마구로 꼽히는 서클 체인지업이다. 일반적으로 서클 체인지업은 패스트볼과의 구속차로 타자의 타격타이밍을 빼앗는 구종이기 때문에 구속은 빨라 봐야 80마일 초중반대에서 형성되는, 삼진을 잡기보다는 땅볼을 유도하는데 적합한 구종이다. 하지만 킹의 체인지업은 빠른 구속과 큰 낙차로 땅볼보다는 삼진을 많이 잡는 구종이다. 이 서클 체인지업이 에르난데스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6시즌 연속 200개 이상의 탈삼진을 잡을 수 있게 만든 원동력이다. 구속은 평균 89마일에 최고 90마일까지 나오고 낙폭은 웬만한 스플리터 못지 않으며 공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점도 늦어서 볼카운트가 몰리면 타자들의 방망이가 나올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과 팬들은 패스트볼의 구속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체인지업의 구위와 제구는 점점 좋아졌기 때문에 에르난데스가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외에 예리한 각을 자랑하는 커브와 슬라이더도 능숙하게 구사한다. 데뷔 초기엔 부상위험 때문에 슬라이더는 봉인을 했었고 이후에도 구사비율은 체인지업에 비하면 그다지 높지는 않다. 무브먼트가 뛰어난 투심 패스트볼과 싱커도 잘 구사해서 땅볼유도에도 능하다. 덧붙여 각 구종의 무브먼트나 로케이션, 완성도도 이미 메이저리그 최정상급이고 뛰어난 경기운영능력과 강철체력을 바탕으로 상당한 이닝을 먹어주는 이닝이터다.
2009년부터는 팀 동료 에릭 베다드의 조언으로 투구폼을 노모 히데오, 팀 린스컴, 제러드 위버, 자니 쿠에토 등의 투수들처럼 몸을 어깨를 2루로 약간 틀어서 던지는 트위스트 딜리버리로 수정했는데, 이것이 타자들이 릴리스 포인트를 못 잡아내는 디셉션 효과로 이어지면서 성적이 급상승하게 되었다.
하지만 10대의 어린 나이부터 관리를 못 받고 지나치게 구른 탓에 가진 재능에 비해 너무 빨리 기량이 쇠퇴하고 말았다. 본격적으로 하락세의 징조가 보였던 2015년 그의 나이는 고작 29세. 다른 탑티어급 투수라면 한창 전성기를 누릴 나이였다.[6]
4.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연도 | 득표율(%) |
2025 | . |
남들보다 네다섯살은 어린 나이인 19세에 데뷔 후 10여년간 부상도 없이 정상급 성적을 누적하여 쌓았었기에 그가 한참 전성기를 구가하던 2010년대 초중반까지는 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점쳐지던 투수였었다. 허나 15시즌부터 하향세가 시작되더니, 16시즌부터 은퇴시즌까지는 아예 규정이닝조차 달성하지 못할 정도로 기량이 하락하며 입성 가능성이 거의 사라졌다. 너무 어린 나이에 데뷔해 노쇠화가 남들보다 빠르고 가파르게 온 케이스.
이닝과 탈삼진은 명예의 전당감이라 하기엔 부족하고 승수 또한 에르난데스의 전성기 시절에 시애틀이 강팀이 아니었던지라 승운도 전체적으로 따라주지 않았던 점이 아쉬운 부분이며[7], 세이버 상으로도 아쉬운 성적을 기록하였다. 그나마 사이 영 상 수상과 퍼펙트 게임 달성으로 인해 임팩트는 어느정도 있고, 원클럽맨 가산점 등이 포함되어 광탈할 가능성은 적지만 투표를 통한 입성은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5. 수상 내역
수상 |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2010) 올스타 6회 (2009, 2011~2015)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 1위 2회 (2010, 2014)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2009) |
6. 여담
-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베네수엘라 국가대표로 참가해 2경기에 나와 8⅔이닝 무실점 호투를 펼쳤다. 많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팬들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전에 등판하는 에르난데스의 모습을 볼 수 있을거라 기대를 했지만 베네수엘라 야구 국가대표팀은 에르난데스를 결승전에서 기용하려고 했기 때문에 이는 무산됐다.
- 두 마리의 반려견을 키우고 있다. 이름은 자신의 별명에서 딴 킹과 오레오라고 한다.
- 아메리칸 리그 투수라서 인터리그 때 외에는 타자로 들어올 일이 없어서 7시즌 동안 24타수 3안타인데, 그 중 하나가 놀랍게도 2004, 2006년 사이 영 상 수상자였던 요한 산타나를 상대로 친 만루홈런이었다. 그리고 2011년 6월 24일에는 인터리그 일정 중, 플로리다 말린스가 U2의 공연일정 때문에 홈에서 쫓겨나 세이프코 필드에서 홈경기를 치른 가운데, 매리너스 사상 최초로 홈구장에서 안타를 친 투수가 되기도 했다.
- 시애틀 시절 2011년부터는 세이프코 필드 좌측 파울라인 쪽에 King's Court라는 섹션을 마련하여 펠릭스가 등판하는 날이면 관중들은 노란색 킹 티셔츠와 K 플랜카드로 펠릭스를 응원하는 장관을 연출하였다. # 펠릭스가 2019년을 마지막으로 시애틀을 떠나면서 앞으로는 보기 힘들 전망이다.
- 2013 시즌이 끝나고 집에 불이 났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피해규모가 2억 6,000만원이라고 밝혔다.
- 슬하에 아들이 있다. 아들 제레미가 시구를 하고, 아버지인 펠릭스가 공을 받아줬는데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고 어린 아이임에도 싹이 보이는 모습이다.
- 2016년 3월 3일, 허구연 해설위원과 같이 사진을 찍은 모습이 올라왔다.
- 2020시즌을 앞두고 코로나로 인하여 시즌이 연기된 가운데 최근 10년내 각 팀마다의 최고의 경기를 MLB 공식 유튜브에 서 풀경기를 업로드 해주었는데 시애틀 매리너스의 최고의 경기는 당시 메이저리그의 마지막 퍼펙트 게임 경기였던 그 경기를 업로드 해주었다. #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c2c56> |
시애틀 매리너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
<rowcolor=#ffc425> 1977 | 1978~1979 | 1980 | 1981 | 1982 |
디에고 세기 | 글렌 애보트 | 마이크 패럿 | 글렌 애보트 | 플로이드 배니스터 | |
<rowcolor=#ffc425> 1983 | 1984~1986 | 1987~1989 | 1990 | 1991 | |
게일로드 페리 | 마이크 무어 | 마크 랭스턴 | 브라이언 홀맨 | 에릭 핸슨 | |
<rowcolor=#c4ced4> 1992~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
랜디 존슨 | 제프 파세로 | 랜디 존슨 | 제프 파세로 | 제이미 모이어 | |
<rowcolor=#c4ced4> 2001~2003 | 2004~2006 | 2007 | 2008 | 2009~2018 | |
프레디 가르시아 | 제이미 모이어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에릭 베다르 | 펠릭스 에르난데스 | |
<rowcolor=#c4ced4> 2019~2021 | 2022 | 2023~2024 | |||
마르코 곤잘레스 | 로비 레이 | 루이스 카스티요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c2c56> |
시애틀 매리너스 명예의 전당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앨빈 데이비스 | 데이브 니하우스 | 제이 뷰너 | 에드가 마르티네즈 | 랜디 존슨 |
댄 윌슨 | 켄 그리피 주니어 | 루 피넬라 | 제이미 모이어 | 스즈키 이치로 | |
펠릭스 에르난데스 |
펠릭스 에르난데스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1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09 | 2011 | 2012 | |
2013 | 2014 | 2015 |
2010년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 ||||
잭 그레인키 ( 캔자스시티 로열스) |
→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시애틀 매리너스) |
→ |
저스틴 벌랜더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2009년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 ||||
클리프 리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시애틀 매리너스) |
→ |
저스틴 벌랜더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2010년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왕 | ||||
잭 그레인키 ( 캔자스시티 로열스) |
→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시애틀 매리너스) |
→ |
저스틴 벌랜더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2014년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왕 | ||||
아니발 산체스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시애틀 매리너스) |
→ |
데이비드 프라이스 ( 토론토 블루제이스) |
펠릭스 에르난데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59번 | ||||
르네 리베라 (2004) |
→ |
<colbgcolor=#005C5C> 펠릭스 에르난데스 (2005) |
→ |
에릭 오플래허티 (2006~2008) |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34번 | |||||
프레디 가르시아 (1999~2004) |
→ |
펠릭스 에르난데스 (2006~2019) |
→ | 결번 |
2009년 6월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 ||||
저스틴 벌랜더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시애틀 매리너스) |
→ |
재러드 워시번 ( 시애틀 매리너스) |
2009년 9월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 ||||
CC 사바시아 ( 뉴욕 양키스) |
→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시애틀 매리너스) |
→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 ( 미네소타 트윈스) |
2012년 8월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 ||||
제이슨 바르가스 ( 시애틀 매리너스) |
→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시애틀 매리너스) |
→ |
저스틴 벌랜더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2014년 6월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 ||||
다나카 마사히로 ( 뉴욕 양키스) |
→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시애틀 매리너스) |
→ |
소니 그레이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1]
제레미 허미다,
호르헤 칸투,
마이크 제이콥스
[2]
혹은 킹 펠릭스.
[3]
다만 180정도의 린스컴과 183의 산타나와 달리 190이 넘는 펠릭스는 신장과 리치의 차이로 인해서 비슷한 구속의 패스트 볼이라 할지라도 타자들 입장에서는 릴리스포인트 등의 차이로 체감속도가 더 빠르게 느껴지는게 당연하다.
[4]
구속 감소의 가장 큰 이유로 지목받고 있는 것은
롱토스다.
롱토스를
즐기던
투수들의 구속 하락이 벌어지며 에르난데스의 구속 감소 역시 그가 즐겨하는 롱토스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성적이 오히려 점점 더 나아지는 중이라 뭐라 할 수도 없는 일이다.
[5]
개인성적이라면 린스컴 산타나를 상대로 펠릭스의 압승이지만 린스컴과 산타나는 각 사이영 2회 수상자이며 모두 포스트 시즌 경험이 있고 린스컴경우 월드시리즈 우승반지 3개를 보유하고있다. 하지만 펠릭스는 단한번의 포스트 시즌을 경험하지 못했다. 이런 커리어 임팩트와 팀역시 시애틀 매리너스라는 약소팀이다 보니 두선수에비해 팬덤이나 인지도 등도 역시 밀리는 편이다.
[6]
실제로
한 철완을 제외하더라도
클레이튼 커쇼,
맥스 슈어저,
코리 클루버 등 2010년대 중반 리그를 호령한
사이 영 상 수상자들은 다들 킹과 많아봐야 한두살 차이다. 다만 클루버는 데뷔가 늦었기 때문에 전성기 구간은 킹보다도 짧다.
[7]
포스트 시즌에 출전한 경험이 한번도 없으며, 사이 영 상을 수상했던 년도에 꼴랑 13승 12패에 그쳤을 정도였으니 말 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