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키치코스[1] 해전(Battle of Cyzicus, 410 BC)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후반기에 일어난 주요 해전 중 하나로, 아테네 함대가 펠로폰네소스 동맹군 함대와의 교전에서 완승을 거둔 해전이다. 이 해전은 키노세마 해전과 아비도스 해전 이후에 일어났으며, 마르마라 해의 제해권을 다툰 일련의 교전들 중 하나이며, 또한 아테네 해군이 거둔 최대의 승리이기도 하다.2. 아비도스 해전 이후
아비도스 해전의 승리는 아테네에게는 오래간만에 전국의 주도권을 가져왔다. 이후 아테네는 매우 중요한 에라토리아를 수복했고 마케도니아의 지원도 받았다.하지만 이는 페르시아의 지원을 받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민다로스는 아바도스 이후 금세 함대를 회복하여 80척의 함대를 모았고, 아테네 함대는 마르마라 해 밖으로 나가기도 했기 때문에 오히려 수적 우위를 점하였다. 이에 해협에 주둔하던 아테네 함대는 갈리폴리 북부 해안의 카르디아로 몸을 피했고, 트라케에 있던 트라시불로스, 테라메네스와 레스보스에서 물자를 모으던 알키비아데스가 합류하여 86척의 함대를 정비한 후에야 겨우 대등한 수준에 도달한다.
그러나 아테네 함대 지휘관들은 자신감에 차 있었다. 그들은 이전 두 차례의 교전을 통해 해전에서 우위에 있음을 확신했고, 이에 "함대의 장군들은 결정적인 전투를 노렸다."[2]
아테네가 함대를 한데 모으는 동안 민다로스와 파르나바조스는 마르바라 해 남쪽 해안의 키지코스 시를 포위, 점령하였다. 아테네 함대는 키지코스 시를 수복하려 나섰고, 키지코스 서북쪽의 프로콘네소스 섬에 도착했다.
프로콘네소스에서 알키비아데스는 "바다에서, 육지에서, 그리고 요새에 대항하여 싸우십시오. 적에게는 대왕이 준 돈이 많지만 (아테네인은) 완전한 승리를 거두기 전에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3]라는 연설을 했는데, 이는 당시 아테네가 처한 현실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연설이라 할 수 있다.
3. 키지코스 해전
3.1. 양군의 규모
아테네 함대는 86척 규모였다. 이는 아비도스 해전에서의 아테네 함대(92척)과 포획한 함선(30척)의 2/3 정도밖에는 안되는 규모이다. 물론 여기에는 함선의 퇴역과 파손 등의 이유도 있으나, 더 큰 문제는 자금 부족과 그로 인한 승무원 부족 때문이었다.반면 펠로폰네소스 함대는 80척의 함대로 재건되었다. 비록 아테네 해군의 놀라운 해상 전투력에 매번 밀리는 상황이었지만 그래도 규모는 못하지 않았다. 여기에 페르시아군이 지원해주기까지 하니 결코 만만한 상대는 아니었다. 허나 스파르타가 준비한 증원함대가 강풍에 큰 피해를 입고 귀환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증원은 아무래도 힘들다는 악재가 있었다.[4]
3.2. 아테네 함대의 계략
아테네 함대는 앞선 두 해전에서 모두 승리를 거두었지만, 펠로폰네소스 함대는 매번 육지로 피신했고 이후 페르시아의 지원으로 재건되기를 반복하였다. 이는 전쟁이 길어지는 효과를 낳았고, 재정이 바닥난 아테네로서는 그닥 좋지 않은 상황이었다. 거기다 펠로폰네소스 함대가 버티고 있는 동안 보스포루스 해협은 아테네에 반기를 든 종속국에 의해 제어되고 있었고, 이는 아테네의 식량부족을 야기했다.그렇기에 아테네 함대는 거짓 후퇴로 적 함대를 해양으로 끌어낸 후 포위섬멸이라는 정교한 계획을 짜고, 이를 실행에 옮기게 된다. 이는 다음 그림과 같다.
(아테네 함대의 계획)
미끼함대는 알키비아데스가, 이에 유도되어 나온 펠로폰네소스 군을 포위하는 것은 테라메네스, 트라시불로스가 맡기로 하였다.
3.3. 알키비아데스의 유인
아테네 함대의 계획이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비밀 엄수가 중요했다. 민다로스는 상당히 능력있는 지휘관이며, 이런 지휘관을 속이려면 아테네 함대가 펠로폰네소스 함대를 능가하는 규모라는 것을 들켜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아테네 함대는 낮에는 활동을 멈추고 야간에만 움직이거나 폭풍우가 몰아치는 상황에만 움직인다는 모험을 하였다.[5] 스파르타 증원함대가 폭풍우에 큰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는 상당한 도박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도박은 성공하여 민다로스는 아테네 함대가 86척에 달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이틀동안 이런 위험한 이동을 한 끝에 아테네 함대는 키지코스 근처 아르티카 반도와 바로 맞은편인 동명의 섬으로 이동하였다. 여기서도 아테네 함대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 알키비아데스는 정박해 있는 동안 소아시아 본토로 건너가는 자가 보이면 이유를 불문하고 사형이라는 공표를 했다.[6]
이곳에서 아테네군은 셋으로 갈라졌다. 알키비아데스는 20척을 맡아 키지코스의 펠로폰네소스 함대를 유인하기로 하였고 테라메네스와 트라시불로스는 나머지 배를 아르타카 반도와 그 측면에 위치한 폴리도로스 섬에 숨겼다. 또한 카이레아스가 지휘하는 중장보병과 일부 병력은 본토로 넘어가 키지코스로 진입, 도시 안의 친아테네파의 협력을 얻어 도시를 탈환하는 임무를 맡아 출발했다. 이는 해상 교전에서는 해병들의 역할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무게를 줄여 함선들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함이었다.
알키비아데스는 무게를 가볍게 한 20척의 함선을 이끌고 키지코스로 접근하였다. 키지코스에 접근했을때 펠로폰네소스 함대는 아침 훈련중이었다고 한다. 당시 펠로폰네소스 함대에는 총사령관 민다로스, 시칠리아 원정 막판에 대항구에서 아테네 함대를 무너뜨린 헤르모크라테스, 도리에우스 등 유력 지휘관들 다수가 존재하였고, 파르나바조스 또한 페르시아군을 이끌고 육상에 주둔중이었다.[7]
다수의 지휘관들이 존재한다는 것은 알키비아데스에게는 호재였다. 단 20척밖엔 안되는 알키비아데스 함대는 좋은 공적감으로 보였고, 여러 지휘관들은 그 공적을 자신의 것으로 하기 위해 알키비아데스를 추격해왔다. 그리고 계획대로, 알키비아데스가 만으로 들어간 것을 추격해 들어왔을때 트라시불로스와 테라메네스가 후방에서 나타났고 알키비아데스도 역공에 들어갔다.
3.4. 해안선에서의 교전
민다로스는 아테네 함대의 계략에 빠졌다. 그러나 결코 무능한 장수가 아니었던 민다로스는 이 상황속에서도 활로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트라시불로스와 테라메네스가 나타나 키지코스로 가는 길을 막자 민다로스는 재빨리 함대를 포위당하기 전에 밖으로 움직인 것이다.민다로스의 함대는 키지코스 서남쪽 클레리라고 불리는 해안선으로 이동했다. 이곳에는 페르시아군이 주둔해 있었다.[8] 민다로스는 아비토스에서처럼 일단 배들을 육지로 끌어올리고 페르시아군의 보호를 받으며 함대를 온존한 다음 후일을 노리기로 하였다. 아테네 함대도 최대한 빨리 추격했지만 펠로폰네소스 함대 대부분이 해안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알키비아데스는 갈고리를 이용해 배들을 바다로 끌어내려 했지만 페르시아군은 이를 단호히 저지하였으며, 트라시불로스는 키지코스를 되찾는 선에서 만족하기로 하고 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알키비아데스는 이를 거부했다. 그가 아테네로 귀환하기 위해서는 영광이 필요했고, 그것은 이 정도의 승전으로는 얻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는 지상전이라는 모험을 감행하기로 한다. 해안선의 한쪽 끝에 함대가 상륙할만한 곳이 보이자 곧바로 함대를 정박시키고 병력을 상륙시킨 것이다.[9]
트라시불로스 또한 이를 파악하였다. 아테네의 지금의 상태로는 알키비아데스와 그의 함대를 잃는 손실은 감당할 수 없는 것이라는 것도 물론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전령을 보내 키지코스 탈환을 위해 이동중이던 테라메네스에게 카이레아스의 병력을 싣고 클레리로 오도록 했고, 자신의 함대도 해안선에 상륙하여 알키비아데스를 지원하고자 했다.[10]
급하게 상륙하는 과정에서 트라시불로스군은 알키비아데스군과 따로 분리되어 있었다. 거기다 지상에는 강력한 지상전 능력으로 유명한 스파르타 군, 그리고 페르시아군 다수가 유리한 고지에서 버티고 서 있었기에 두 군대는 곧 포위당해 전멸할 위기에 처한다. 그러나 테라메네스가 중장보병들을 이끌고 도착하자 전황은 뒤집힌다. 펠로폰네소스군을 이끌던 민다로스가 테라메네스를 저지하다가 전사하자 전선은 붕괴했고, 해안선의 배들은 모두 아테네의 것이 되었다. 아테네군은 패잔병을 추격하였고, 파르나바조스가 페르시아군 기병을 이끌고 저지한 후에야 그만두었다.
아테네군은 완승을 거두는 데 성공한 것이다.
4. 전투 후
전투가 끝나자 키지코스는 자연스럽게 아테네군의 것이 되었다. 펠로폰네소스 함선들은 거의 모두 아테네군의 것이 되었는데, 유일하게 시칠리아 함선만은 도주하면서 불을 질러버린 시라쿠사군에 의해 파괴되었다. 아테네군은 바다와 육지에서의 승리 모두를 기념하는 승전비를 두개 세웠다.이 전투에서의 승리로 아테네는 마르마라 해의 제해권을 완전히 접수했고, 이후 반란을 일으킨 도시들도 평정하였으며, 알키비아데스는 그 공적으로 귀환하였다. 그러나 이후 일어난 노티온 해전으로 완전히 몰락하게 된다.
[1]
Κύζικος
[2]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역사 총서(Bibliotheca historica)> / 도널드 케이건 저, 허승일, 박재욱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p478에서 재인용
[3]
크세노폰, <헬레니카> 1.1.14;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알키비아데스) 28, 도널드 케이건 저, 허승일, 박재욱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p478에서 재인용
[4]
존 R. 헤일 저, 이순호 역 <완전한 승리, 바다의 지배자> p337
[5]
도널드 케이건 저, 허승일, 박재욱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p478, 존 R. 헤일 저 / 이순호 역 <완전한 승리, 바다의 지배자> p337
[6]
존 R. 헤일 저, 이순호 역 <완전한 승리, 바다의 지배자> p337
[7]
존 R. 헤일 저, 이순호 역 <완전한 승리, 바다의 지배자> p341
[8]
도널드 케이건 저, 허승일, 박재욱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p480
[9]
존 R. 헤일 저, 이순호 역 <완전한 승리, 바다의 지배자> p343
[10]
도널드 케이건 저, 허승일, 박재욱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p480 / 존 R. 헤일 저, 이순호 역 <완전한 승리, 바다의 지배자> p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