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22:53:45

캔자스(밴드)

파일:Ultimate Classic Rock 로고.png 선정 50대 프로그레시브 록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Ultimate Classic Rock이 2023년에 선정한 50대 프로그레시브 록 아티스트를 정리한 틀이다. 이는 음악 자체의 작품성 보다는, 얼마나 프로그레시브 록 스러운지, 프로그레시브 록에 미친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기준으로 선정 되었다고 한다.[1]
<rowcolor=#fff,#000>1위 2위 3위 4위 5위
킹 크림슨 제네시스 예스 핑크 플로이드 프랭크 자파
<rowcolor=#fff,#000>6위 7위 8위 9위 10위
러시 젠틀 자이언트 제쓰로 툴 카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2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000>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캐러밴 Van der Graaf Generator 더 마스 볼타 마이크 올드필드
<rowcolor=#fff,#000>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프레미아타 포르네리아 마르코니 캔자스 오페스
21위부터는 링크 참조.
[1] 때문에 ELO 같은 아트 록 성향이 강한 밴드는 선정 되지 않았으며, 핑크 플로이드의 순위도 작품성에 비해 낮게 랭크 되어있다.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캔자스
Kansas
파일:external/sungraffix.net/kansas_band_photo_Large.jpg
결성 미국 캔자스 주 토피카
멤버 필 이허트 (드럼 · 퍼커션)
리치 윌리엄스 (기타)
빌리 그리어 (베이스 · 기타 · 보컬)
데이비드 랙스데일 (바이올린 · 기타 · 보컬)
로니 플랫 (보컬 · 키보드)
톰 브리슬린 (키보드 · 보컬)
장르 프로그레시브 록, 하드 록, AOR
활동 1973년 ~ 1984년
1985년 ~

1. 개요2. 역사3. 빌보드 핫 100 차트인 목록

[clearfix]

1. 개요

캔자스는 미국의 록 밴드이다.

이름의 기원은 미국의 주 캔자스. 캔자스 주 출신 학교 사람들이 모여 결성했다.

2. 역사

파일:external/www.presonus.com/Kerry-Livgren.jpg
케리 리브그렌. 공식적으론 멤버가 아니지만 가끔 공연도 같이 하고 작사/작곡도 해줬다. 2000년에 만든 Somewhere to Elsewhere는 전곡을 케리 리브그렌이 작사/작곡했다. 이 앨범의 몇몇 곡엔 리브그렌과 마찬가지로 전 멤버인 데이브 호프가 참가해 연주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sungraffix.net/kansas_band_photo_Large.jpg
왼쪽부터 현재 멤버인 필 이허트, 스티브 월시, 리치 윌리엄스, 빌리 그리어, 데이비드 랙스데일.

멤버들이 교체되면서 처음의 6인조에서 5인조가 되었다. 보컬, 키보드의 스티브 월시, 베이스 데이브 호프, 기타 리치 윌리엄즈, 드럼 필 이허트, 보컬, 바이올린의 로비 스타인하르트, 그리고 기타 키보드 담당이자 캔자스의 곡 대부분을 작곡한 케리 리브그렌이 초기 멤버였으나, 80년대에 리브그렌과 갈등[1]이 있었던 월시가 탈퇴하고 리브그렌과 데이브 호프도 종교를 이유로 역시 몇년 안 가 탈퇴하고, 대신 80년대 중반쯤에 월시를 주축으로 재결성될 때[2] 스티브 월시에 의해 스티브 모스( 딥 퍼플의 기타리스트. 캔자스를 떠난 후 현재 딥 퍼플에서 활동하고 있다.) 빌리 그리어(베이스)가 새로 들어왔다. 빌리 그리어는 월시가 캔자스를 탈퇴하고 활동하던 스트리츠에서 같이 활동하게 되면서부터 알게 된 듯. 슈타인하르트도 현재 활동을 하지 않고 데이빗 랙스데일로 교체되었다. 랙스데일은 가끔 공연에서 기타를 같이 연주하기도 한다.

케리 리브그렌이 나갔을 때 제작한 앨범이 딱 두 개일 정도로 케리 리브그렌이 캔자스 음악의 큰 축을 잡고 있다. 2000년 이후로는 아예 스튜디오 앨범 제작이 없는 상태. 2002년 리브그렌이 최초의 캔자스 멤버들을 다시 모아서 만든 밴드인 Proto-Kaw의 앨범들을 이후의 캔자스 앨범으로 치는 사람들도 많다. 2011년 3집 Forth까지 나와있다.

70년대를 주름잡은 미국의 주요 록밴드 중의 하나이며, 전성기를 지난 80년대는 물론 현재까지도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해외 투어도 다닐 정도. 70년대 당시 미국에 흔치않은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 미국에서 그나마 내세울 수 있을 만한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다. 하지만 핑크 플로이드, 예스, 킹 크림슨 등 영국의 유명 프로그레시브 밴드들보다는 약간 더 대중이 받아들이기 쉬운 비교적 단순한 (하드락이 융합되어 상대적으로 지루함이 덜한) 음악을 했다.
그래서 저 영국의 심히 진지한 음악을 한 밴드들 보다는 좀 더 일반 팝 음악 팬들에게 어필하는 곡들이 많다. 허나 단순히 팝적이라고 말하기엔 무리가 있고 팝적인 경향이 강한 밴드는 오히려 스틱스이다. 스틱스도 어려운 곡이 많긴 하지만 말이다. 하드락 성향이 강하다고 보면 된다. 프로그레시브 록이 그다지 발달되지 않던 미국에서 하드락 성향이 함께 융합된 음악으로 일종의 틈새시장을 개척한 셈. 하지만 순수한 하드락 밴드보단 안정감있는 느낌의 작곡 스타일도 무시할 순 없다. 가사도 그렇고... 하드락 밴드는 이것보다 선정적이고 저질스러운 가사가 많다. 이에 반해 캔자스는 최소한 가사 면에서는 심오한 편이거나 아님 대놓고 소박한 편이다. 특히 스틱스, 저니, 보스턴, 아시아, 토토 등등 성인 취향의 록음악( AOR)을 좋아하는 음악팬들이 이들의 음악을 좋아하고, 이들을 AOR 밴드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미국의 풍토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난 밴드들은 초창기부터 상업성을 염두에 둔 밴드들이 많았다.

밴드의 주요 특징은 블루지한 하드락 선율이 주된 느낌이다. 하지만 블루스 스케일(선율) 자체는 락뿐만이 아니라 팝에서도 많이 차용했다퍼갔다고 볼 수도 있고. 블루지하지 않은 부분의 멜로디도 프로그레시브 락 치고는 쉽게 와닿는 편. 또 키보드와 바이올린이 주도하는 복잡한 연주로 기승전결 전개의 드라마틱한 긴 곡으로 유명하고 특히 록계에 이례적인 바이올린 연주로도 유명하다. 바이올린 주자 로비 슈타인하르트는 70년대엔 영국의 에디 잡슨과 함께 록계에서 이름을 날린 대표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 여겨지고 있다. 물론 보컬 실력도 괜찮다. 역시 프로그레시브록 밴드인 제쓰로 툴의 트리뷰트 앨범에서 멋진 보컬과 바이올린 실력을 과시했다. 하지만 특유의 하드록 스타일이 섞인 탓인지 그렇게 지루한 곡은 의외로 없다. 물론 Magnum Opus 같은 건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하지만 이런 대곡마저도 호쾌하게 진행되는 파트가 꼭 들어있다. 그리고 4분 내외의 간결하고 평범한 곡도 많다. 특히 초기 앨범일수록 그런 곡이 없잖아 있다. 76년도 Leftoverture 앨범이나 Point of Know Return같은 장황한 곡만 듣다가 74년도작의 Lonely Wind, Bringing it Back(이건 J.J Cale의 곡을 리메이크한 것, 참고로 Cale은 에릭 클랩튼이 부른 Cocaine의 원작자이기도 한 유명 블루스맨이다) 같은 걸 들으면 너무 소박해서 벙찔 정도...

이 밴드의 가장 유명한 곡은 바이올린 연주와 어쿠스틱 기타 연주가 아름다운 포크록 스타일의 발라드 " Dust in the Wind", 그리고 경쾌한 하드록 넘버 " Carry On Wayward Son" 이다.[3][4] 국내에선 " Dust in the Wind"가 너무 유명해 이런 아름다운 록 발라드만 하는 밴드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그들의 음악을 찾아 들어보려다 복잡한 프로그레시브 록 대곡들을 듣고 놀라는 사람들이 많다고.[5]

대표적인 앨범은 1976년에 발표한 " Leftoverture"와. 1977년의 " Point of Know Return" 으로 미국식 프로그레시브 록의 최고작으로 평가되며 대표곡들이 거의 다 이 앨범에 포진했다. 위에 언급한 AOR 밴드들, 그리고 마릴리온 등의 80년대의 신세대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판매량도 미국에서만 약 500만 장씩 되는 상당한 중박을 거뒀다. 그리고 베스트 앨범도 400만 장 이상, 전 앨범을 합쳐 미국에서 2천만 장에 육박하는 등 우리 생각보다 의외로 꽤나 상업적으로 성공한 밴드이다. 하지만 초창기엔 그리 히트치지 못해서 음반사의 눈치밥(...)을 먹어가며 전전긍긍했다고...

2009년 2월 7일 캔자스 주의 워시번 대학교에서 기념공연도 했다. 공연 제목은 There's Know Place Like Home,[6] 그것도 오케스트라를 동원해서(!)[7] 실황 녹화 블루레이판도 있는 모양이다.

2013년 8월 17일 40주년 공연을 했다. 이 공연엔 전 멤버인 케리 리브그렌과 데이브 호프도 참가했다. 같은 전 멤버인 로비 슈타인하르트도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공연 며칠 전 심장마비에 걸려 나오지 못하고 대신 그의 딸이 나와 인삿말만 한 듯하다. 현재는 많이 좋아진 상태라고 한다.

앤스랙스가 이들의 곡 Carry On Wayward Son을 커버했다.

3. 빌보드 핫 100 차트인 목록

3.1. 빌보드 핫 100 5 ~ 10위

3.2. 빌보드 핫 100 11 ~ 50위

3.3. 빌보드 핫 100 51 ~ 100위


[1] 종교문제, 사상문제 등, 히피 문서에도 나와있었듯이 히피사회에 막 복음주의 기독교가 몰아칠 때이기도 했다. 하지만 나중에는 다시 같이 작곡도 했다. 곡명은 HappyWheels [2] 몇 년간 공백기가 있었다. 스티브 월시와 로비 슈타인하르트가 탈퇴한 이후였다. 로비는 훗날 재결합하였으나, 현재 탈퇴 [3] 여담이지만 Carry On Wayward Son은 수퍼내추럴의 각 시즌의 마지막 화에서 나온다. 1시즌 제외. 1시즌에서는 마지막화의 전화에서 나온다. 슈퍼내츄럴 외에도 잉베이 말름스틴도 Inspiration 앨범에 한 번 수록하였다. [4] GTA5의 라디오에서도 들을 수 있다. [5] 이런 건 무디 블루스 보스턴도 비슷했고, 심지어 주다스 프리스트도 한때 발라드 그룹 취급을 받은 적 있다. [6] 일종의 언어유희. 캔자스가 무대인 오즈의 마법사의 명대사인 'There's no Place Like Home'과 밴드의 대표곡인 Point of Know Return을 적절히 버무린 센스인 듯. [7] Always Never the Same 앨범에서 이미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적은 있다. [8] 라이브 버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1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