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쿠사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에서 2020년에 제작한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전기 영화에 대한 내용은
호쿠사이(영화) 문서, Fate 시리즈의 등장 서번트에 대한 내용은
카츠시카 호쿠사이(Fate 시리즈)
문서
참고하십시오.||<-2><tablealign=right><tablewidth=40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가쓰시카 호쿠사이
[ruby(葛飾北斎, ruby=かつしかほくさい)] | Katsushika Hokusai
||[ruby(葛飾北斎, ruby=かつしかほくさい)] | Katsushika Hokusai
|
|
자화상 | |
본명 | <colbgcolor=#ffffff,#191919>미상 |
예명 | 가쓰시카 호쿠사이 |
출생 | 1760년 10월 31일경 |
[[에도 막부| ]][[틀:국기| ]][[틀:국기| ]] (現 도쿄도) |
|
사망 | 1849년 5월 10일경 (향년 88세) |
[[에도 막부| ]][[틀:국기| ]][[틀:국기| ]] |
|
가족 | 딸 가쓰시카 오이(葛飾応為)를 비롯한 여러 명 |
대표작 |
〈
후지산 36경(富嶽三十六景)〉 〈호쿠사이 만화(北斎漫画)〉 〈문어와 해녀(蛸と海女)〉 |
|
후지산 36경[1] 중 〈 가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神奈川沖浪裏)〉 |
[clearfix]
1. 개요
가쓰시카 호쿠사이(葛飾北斎)는 일본 에도 시대 말기의 우키요에 화가이다.그의 이름은 필명으로 본명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도슈사이 샤라쿠, 우타가와 히로시게와 함께 우키요에의 황금기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작품 특징
호쿠사이를 비롯한 우키요에 사조는 세계미술사적으로도 의의가 크며, 자포네스크의 하나로 서양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판화 양식의 우키요에로 유명하지만, 사실 직접 그린 그림도 우키요에 못지 않게 유명하다. 전통적인 우키요에 기법을 넘어 서양화 등 여러가지 다른 기법을 자신의 작품에 적용시켰으며 이 때문에 스승에게 파문을 당하기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파문으로 스승의 손이 미치지 않는 곳에서 작품활동을 하게 되면서 호쿠사이의 작품 세계를 더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스스로 모든 삼라만상을 그리겠다고 공언했으며 실제로 가쓰시카가 그린 작품은 가부키 배우 위주로 그렸던 도슈사이 샤라쿠와 비교해 보면 정말로 풍경, 인물, 풍속, 사물을 넘나들며 소재가 다채롭고 수가 많다. 그 중에 한국에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작품은 대표작 부악 36경(冨嶽三十六景) 중 하나인 〈가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神奈川沖浪裏)〉. 그림 자체도 매우 유명하지만 클로드 드뷔시의 교향시 바다의 모티브가 된 작품으로도 유명하다. 물론 미술 교과서의 단골 손님. 이어령 교수는 그의 저서 축소지향의 일본인에서 이 작품을 예로 들어 몰아치는 거친 파도와 정지된 파도의 포말을 비유해 시간을 축소한 일본인의 정서를 논하기도 했다. 사실 이 작품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동양 미술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 개인사
본명은 미상이나 후보로는 성은 카와무라(川村), 나카지마(中島), 후지와라(藤原)가, 이름은 테즈조(鉄蔵), 토키타로(時次郎), 토키지로(時次郎 혹은 時二郎) 이이츠(為一) 정도가 있다. 주로 지지를 받는 설은 나카지마 테즈조, 후지와라 이이츠, 카와무라 토키타로 정도인 듯하다. 사실 이 시기 일본인의 본명을 정확히 알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따르는데 특히 큰 문제가 성과 이름 모두가 자주 바뀐다는 것이다. 성에 관해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은 증손자가 말한 카와무라가에서 태어났으나 나카지마가의 양자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름의 경우 아명(일본식으로는 유명幼名)이 토키타로[2], 커서는 테즈조를 칭했다는 설이 많은 지지를 받는다.정체되는 것을 몹시 싫어하였는지 호를 30번 이상 바꾸었으며, 88세에 바꾼 최후의 호는 画狂老人卍.[3] 93번이나 이사를 다녔으며 어떤날은 하루에 3번씩이나 이사를 다닌 일화 또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다다미 120장 크기의 달마도를 그렸다든지, 쌀알에다 두 마리의 참새를 그린 믿기 어려운 일화도 유명하다. 그 덕분인지 생전에 3만 점이 넘는 작품을 낸 엄청난 다작가이기도 하다.
호쿠사이는 향년 88세로 오늘날로 따져도 매우 오래 살았다. 또한 노년에도 작품 활동을 멈추지 않고 오히려 더 활발히 임했다. 그의 대표작이라고 불리는 '부악 36경'과 '부악 100경' 모두 70세 이후에 한 작품활동이다. 자신의 그림첩 「부악백경(富嶽百景)」의 마지막 후기를 보면 그가 추구한 그림에 대한 식지 않는 열정을 잘 느낄 수 있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내 나이 여섯부터 사물의 꼴을 본떠 그리는 재주가 있어 반백 이후 이런저런 그림을 수없이 그렸건만 일흔 전에 그린 바 실로 변현한 것이 없고 일흔셋 간신히 온갖 짐승의 뼈대와 초목이 나고 자람을 이해할 수 있었으매 고로 여든여섯이면 더욱 솜씨가 늘고 아흔이면 또한 그 깊은 뜻을 깨달아 백에는 그야말로 신통해질 뿐 아니라 백 수십에는 한 점 한 획이 살아나리니 바라건대 장수의 신이여 내 예언이 허튼소리가 아님을 지켜보시라.
그림에 환장한 일흔여섯 늙은이 만지(卍) 씀.
가쓰시카 호쿠사이 그림 및 지음, 김동근 엮음, 『호쿠사이 부악백경 - 후지산이 있는 백 가지 풍경』, 인천, 소와다리, 2018, p.172-173.
그림에 환장한 일흔여섯 늙은이 만지(卍) 씀.
가쓰시카 호쿠사이 그림 및 지음, 김동근 엮음, 『호쿠사이 부악백경 - 후지산이 있는 백 가지 풍경』, 인천, 소와다리, 2018, p.172-173.
4. 기타
-
호쿠사이가 데포르메한 인물 기법을 보면 다른 우키요에 작가들과는 다르게 현재
만화와 유사한 점을 찾을 수 있다.
특히 호쿠사이 만화(北斎漫画)라는 그림책이 유명한데, 이 시기의 '만화'라는 용어는 현재의 만화와는 달리 '희화(戱畵)', '스케치'와 같은 의미에 가까웠지만, 호쿠사이의 만화에는 콧김 표시와 같은 만화적 표현이 이미 드러나고 있다.
- 딸인 오에[4]도 유명한 우키요에 화가다. 가쓰시카 오이(葛飾應爲)란 이름으로 활동하였다. 그녀의 작품은 현재는 10여 점만 내려오며, 호쿠사이 작품 중에 딸과 공동제작한 그림이 상당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호쿠사이가 말년에 눈이 어두워지자 색채 쪽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고 몇몇 작품은 말년에 그렸다기엔 선이 세말한 작품도 있어 대신 그렸다는 추측도 있다. 하라 케이이치 감독이 2015년에 《 백일홍: 미스 호쿠사이》라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제작했으며[5] 본편에서 가쓰시카 호쿠사이는 주인공의 아버지인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성우는 현역 성우가 아닌 배우로 캐스팅했는데, 바로 고독한 미식가의 주인공 이노가시라 고로를 연기했던 마츠시게 유타카다. 2017년 9월 NHK의 특집 드라마 '眩(쿠라라) - 호쿠사이의 딸'이 제작되었는데 오에이 역에 미야자키 아오이가 출연한다.
- 춘화를 그린 적도 있다. 그 중에서도 호쿠사이의 1820년대 춘화집 《희능회지고진통》(喜能会之故真通)에 수록된 통칭 〈문어와 해녀〉(蛸と海女)'라는 작품은 촉수물 포르노의 원형으로 평가받는다.( 영문 위키) 일본에서는 이 그림에 영향을 받은 사진전이 열리기도 했다.( 日 표현의 자유 논란…"왜 여고생은 장어가 됐나")
- Fate/Grand Order에서 포리너 서번트로 나온다. 자세한건 문서 참조. 다만 서번트로서의 주체는 딸인 오우이다. 앤 보니&메리 리드나 오리온처럼 둘이 하나의 서번트로 성립된 것. 오우이가 주체인 이유는, 이계로 통하는 마도서 탓에 호쿠사이가 문어처럼 변질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문어처럼 변질되었어도 뭔가 불만이 있으면 오우이에게 먹물을 뿜는 등 자아는 남아있으며 3차 재림 시엔 아예 딸의 육체를 차지해 본인 인격으로 활동한다.
- 스플래툰 시리즈에서 붓 계열 무기인 호쿠사이의 모티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