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22:07:23

챗봇

1. 개요2. 역사3. 원리4. 이용
4.1. 상담원4.2. 엔터테인먼트
5. 관련 기업6. 관련 문서

1. 개요

Chatbot

채팅 프로그램에서 유저의 메시지에 응답하는 을 말한다. 단순히 정해진 규칙에 맞춰서 메시지를 입력하면 발화를 출력하는 단순한 챗봇에서부터 대화형 인공지능을 통해 상대방의 발화를 분석하여 답변을 내놓는 챗봇까지 다양한 챗봇들이 있다.

시리 빅스비 같은 음성 인식 비서 서비스도 큰틀에서 따지자면 챗봇을 내장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 챗봇에 음성인식 기술을 접목시켜, 사용자가 말한 내용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로 변환하고 이를 질의로 보내 답을 발화시키고 TTS 기술로 음성으로 바꾸는 것. 물론 순수한 챗봇은 음성인식 기술이 없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만을 다룬다.

2. 역사

초기에는 메시지를 간단한 규칙 기반으로 송출해주는 형식으로 대화를 모방하는 챗봇들이 등장했다. 국내에서는 1993년 DOS 기반 챗봇 맥스가 개발되었으며, 2002년 공개된 심심이가 전국적으로 유행하면서 대화형 챗봇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물론 이때까지의 대화형 챗봇은 특정 키워드를 통해 정해진 답변을 출력하는 등 사용자의 채팅을 제대로 이해하지는 못했기에 조금만 복잡한 문장을 입력해도 매끄러운 대화는 이어지지 않았다.

2016년에 있었던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알파고의 등장 이후, 인공지능 열풍을 통해 챗봇에도 AI 기술을 접목시키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후 2020년 이루다 등 상당히 매끄러운 자연어 처리를 지원하는 인공지능 컴패니언 형태의 챗봇들이 등장했다.

2022년 ChatGPT의 등장으로 단순한 소통 목적이 아닌 검색 엔진까지 넘보는 기술로까지 발전했다. 발전된 형태의 챗봇은 이 아닌 진짜 인공지능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본 문서는 텍스트 소통 위주의 봇만 소개한다.

3. 원리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내면 봇이 그 메시지를 분석하고, 특정 문장이나 단어 등의 조건 일치에 따라 대답을 달리해주는 원리다. 여기에 딥러닝으로 학습하여 사람과 대화하듯이 하는 봇도 있다.

챗봇 모델이나 챗봇 솔루션은 '사용자의 발화를 이해하는 것(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과 '사용자가 자연스레 받아들일 수 있도록 발화를 생성하는 것(Natural Language Generating)' 크게 두분야로 나눌 수 있다. 기술 발전 이전까지도 그렇고 발전 이후에도 후자가 전자에 비해 훨씬 어렵다. 기업 등지에서 상담형 챗봇에 큰 관심을 보이는 것도 상담 서비스는 NLU만 제대로 진행하면 NLG는 걱정할 필요 없이 정해진 답변만 송출하면 되기 때문이다.

반면 이런 상담 서비스에서 벗어나 진짜 친구같은 대화를 하기 위해선 결국 NLG도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 2010년대 후반 들어서는 이 분야에도 심층학습 강화학습을 챗봇에 도입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4. 이용

기업에서 각종 은행, 보험회사 등의 상담 챗봇 등이 다수가 존재한다. 주로 쇼핑몰, 은행, 보험회사 등에서 24시간 상담원 대용으로 이용한다. 인간은 두번만 해도 지칠 수 있는 일을 챗봇은 백만번 반복해도 지치지 않기에 이러한 단순 대화 노동을 커버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 인터넷 방송 등 기존에 채팅이 존재하는 서비스에서 챗봇을 사용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하기도 한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카카오톡, Discord, Facebook Messenger, LINE, Slack, Twitch 등에서 제공하고 있다. (가나다/ABC 순) 이와 같은 API를 통해 개인이 단순 오락용[1]으로 챗봇을 만들기도 한다.

모든 기술이 그렇듯 챗봇도 초기에는 IT 대기업, 금융권 등 자금이 풍족한 곳에서만 도입할 수 있었다. 워드프레스가 나오기 전후 홈페이지 제작비용을 생각하면 쉬운데 2018년을 기점으로 챗봇 제작-운영 위한 문턱이 많이 낮아졌다. 워드프레스처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빌더서비스들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충분히 품을 들인다는 가정하에 기술력 있는 챗봇빌더를 활용하면 iPhone에 들어가는 시리같은 음성 인식 비서도 만들 수 있다.

4.1. 상담원

4.2. 엔터테인먼트

5. 관련 기업

음성 인식 비서 서비스
[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dcdcdc,#2d2f34><tablewidth=100%><rowbgcolor=#dcdcdc,#2d2f34><width=14%>
크로스 플랫폼형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
자사 플랫폼 종속형
서비스 제공자가 개발한 특정 플랫폼 내에서만 서비스를 제공
서비스 중 삼성전자 빅스비
구글 어시스턴트
네이버 클로바
헤이카카오
아마존 Alexa
Apple Siri
LG전자 ThinQ AI
SK텔레콤 NUGU
KT GiGA Genie
LG U+ ixi
개발 중단 구글 나우
네이버 AMICA.ai
네이버 i
Microsoft Cortana
BONZI Software BonziBUDDY
블랙베리 어시스턴트
삼성전자 S보이스
LG전자 Q보이스

6. 관련 문서



[1] 가위바위보, 끝말잇기 봇 등.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