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0:22:17

창원 S-BRT

창원 BRT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102589> 신교통형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일반형
BRT
고양 BRT 청라-강서 BRT
청라국제도시 GRT 부산광역시 BRT
대구광역시 BRT 광주-나주 BRT
광주광역시 BRT 대전광역시 BRT
전주 BRT
Super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실증사업
창원 S-BRT 인천 S-BRT
계양-대장 S-BRT 성남 S-BRT
}}}}}}}}} ||


파일:창원시 CI.svg 창원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경전선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 중리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0.svg 남해선 ( 북창원IC, 동창원IC) · 파일:Expressway_kor_102.svg 남해1지선 ( 내서IC, 서마산IC, 동마산IC) · 파일:Expressway_kor_105.svg 남해3지선 ( 신항IC, 진해IC) · 파일:Expressway_kor_45.svg 중부내륙선 ( 내서IC)
국도 2 · 5 · 14 · 25 · 58 · 77 · 79
지방도 30 · 60 · 67 · 1002 · 1020 · 1021 · 1029 · 1030
의창구의 로 · 성산구의 로 · 마산합포구의 로 · 마산회원구의 로 · 진해구의 로
버스 시내버스 창원시 시내버스 · 창원 S-BRT
버스 터미널 고속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시외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의 교통

1. 개요2. 계획 구간3. 경과
3.1. 개통 전 반대 여론3.2. 1단계 개통 후
4. 정류장 목록5. 여담

1. 개요

2024년 5월 15일 개통된 창원시 간선급행버스체계.

2. 계획 구간

파일:창원 S-BRT.png
창원 BRT 노선은 육호광장~가음정사거리 18㎞ 구간이며, 우선 추진되는 1단계는 원이대로 구간인 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 9.3㎞이다. 향후 2025년까지 3.15대로를 따라 육호광장까지 이어지는 8.7km 2단계 사업이 예정되어 있다.

1단계 사업은 S-BRT, 2단계 구간은 일반 BRT 사업이다.

3. 경과

1990년대에 급격히 팽창하던 마창진 생활권, 즉 현재의 창원시에 도시철도를 도입하려는 시도는 계속 있어 왔다.[1] 그러나 IMF 외환위기를 비롯한 예산 문제로 이러한 계획들은 여러 차례 백지화됐는데, 그럼에도 창원 시내버스가 유일한 대중교통인 인구 백만 명대의 대도시 창원시를 하나로 묶는 간선교통의 필요성은 끊임없이 제기됐다. 창원시의 2019년 기준 대중교통 분담률은 23.6%로, 수원(43.8%), 고양(41.6%), 용인(32.9%) 등 수도권 특례시와 비교해 절반 수준에 그친다. #

그렇게 번번히 무산되던 도시철도의 대안으로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환경 조성을 위한 창원 S-BRT 구축사업이 2020년 1월 국토교통부 시범사업으로 선정되면서 해당 사업의 물꼬가 트이게 된다. 민주당 허성무 시장 재임시절인 2020년 12월, 창원시는 '창원 BRT 구축사업 개발계획'을 확정해 2021년 2월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착수 등을 거쳐 설계(안)을 마련했고, 2022년 8월 3개 권역(의창구청, 반송동행정복지센터, 가음정동행정복지센터)에서 주민설명회를 통해 시민 의견을 반영한 뒤 2022년 9월 경상남도에 실시계획 승인을 신청, 같은 해 11월 실시계획이 승인 및 고시됐다.
파일:창원BRT트램노선도.jpg
창원시 BRT · 트램 노선도
창원시는 1단계인 '창원 원이대로 S-BRT 구축사업'에 이어 2단계 사업인 '3·15대로 BRT 구축사업(육호광장~도계광장)'이 모두 완료되면 육호광장~가음정사거리까지 버스 통행시간이 14분 정도 단축되고, 버스 이용률도 11.3%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준공영제와 버스 노선 전면 개편까지 병행해 대중교통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도로 교통혼잡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3년 4월 1단계 사업이 본격 착공에 들어가면서 출퇴근 시간대에 시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공사를 위해 1, 2차로 통행을 통제했기 때문이다.

2023년 12월 창원시에서 갑작스럽게 창원광장 교통체계 변경을 보류하였다. 원래 계획은 6개 차로가 한방향으로 통행 중인 창원광장을 양방향으로, 시청과 광장 사이 일부 도로는 인도로 변경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차량 정체 우려 등을 고려해 이를 뺀다고 밝혔다. # 이렇게 되면 노선이 중간에 뚝 끊기게 된다.

제종남 창원시 교통건설국장은 "공사 과정에서 시민 불평·혼란이 많아 사업계획을 바꾸게 됐다"면서 "이번에 창원광장 부분을 당장 같이 진행하기 보단, 향후 창원중앙역에서 창원광장까지 연결될 트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교통 흐름을 분석한 뒤 조치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2024년 5월 초 경상남도로 부터 준공 전 사용허가를 받았지만, 경상남도가 창원시의회의 지적 사항을 하나 하나 따져보고 시민 안전을 살펴야 한다며 사용 허가를 늦췄다. #

2024년 5월 15일 1단계 구간이 일반 BRT 규격으로 임시 개통하였다.

3.1. 개통 전 반대 여론


창원 S-BRT 공사에 시민 불만…시 "신호·차로 조정 등 대책 마련"
창원시 BRT 공사 불편 해소하겠다지만 당장 해결은 '글쎄'

3.2. 1단계 개통 후

4. 정류장 목록

각주의 직행버스 정차 정류장에는 770번 외의 직행좌석버스가 정차한다. 770번 및 김해시 좌석버스는 운행구간 내 모든 정류장에 정차한다.
의창스포츠센터
114231[급]









 









의창스포츠센터
114230[급]
의창구청
114233[급]
의창구청
114232[급]
서부경찰서(원흥사)
114235
서부경찰서(원흥사)
114234[*]
명서초등학교
114237[급]
명서초등학교
114236[급]
명서시장
114239[*]
명서시장
114238[*]
명곡다리(명곡교회)
114241[급]
명곡다리(명곡교회)
114240[*][직]
명서1민원센터
114243[급]
명서1민원센터
114242[급]
시티7
114245[급]
시티7
114244[급]
창원컨벤션센터
114247[*]
창원컨벤션센터
114246[*]
문성고등학교
114249[급]
문성고등학교
114248[급]
노블파크아파트
114251[*][직]
창원종합운동장
114250[*][직]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114253[급]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114252[급]
창원중앙고등학교
114255[*]
창원중앙고등학교
114254[*]
창원시청(정우상가)
114257[급][32][33]
창원시청
114256[급]
상남시장(은아아파트)
114259[급]
상남시장(은아아파트)
114258[급]
시민생활체육관
114261[급]
시민생활체육관
114260[급]
대동백화점
114263[급]
대동백화점
114262[급]
삼익아파트
114265[급]
토월성원아파트
114264[급]
상남도서관(한림.우성아파트)
114267[급]
상남도서관
114266[급]
가음정시장(더샵센트럴파크)
114269[급]
가음정시장
114268[급]
장미공원(가음은아아파트)
114271[급]
장미공원
114270[급]

5. 여담



[1] 창원 도시철도/역사 문서 참조. [2] 수송량이 3량 모델 기준 240명이다. 비교해보자면 LRT 모델 중 가장 성공한 기종 중 하나인 지멘스 S70의 량당 수송량이 290명. # [급] 급행버스 및 직행버스 정차 [급] [급] [급] [*] 추월차선 설치 [급] [급] [*] [*] [급] [*] [직] 직행버스 정차 [급] [급] [급] [급] [*] [*] [급] [급] [*] [직] [*] [직] [급] [급] [*] [*] [급] [32] 이곳과 상남시장(은아아파트) 사이 창원광장 가로변에 시청정문(117301) 정류장이 있다. 해당 정류장은 급행, 직행버스가 통과하나 3000번만 정차한다. [33] 시청정문 정류장은 실질적으로 완행인 770번과 김해시 좌석버스도 통과하고 있다. 김해시민이 창원시청을 방문할 일이 없으니 이렇게 조정한 듯 하지만 김해시 58, 59번만 다니는 단정로 연선 주민들의 시청 방문이 불편해질 것이 우려된다.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