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군관구사령부 | 제2군관구사령부 | 제3군관구사령부 | 제5군관구사령부 | 제6군관구사령부 | |
육군전투사령부 | 군수기지사령부 | 울산경비사령부 | 동해안경비사령부 | 경인지역방어사령부 | |
서울올림픽지원사령부 | 방공포병사령부 | 육군유도탄사령부 | 제2군수지원사령부 | 제3군수지원사령부 | |
시흥지구전투사령부 | 김포지구전투사령부 | 백야전사령부 | 옹진지구전투사령부 | 제100군수사령부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작전사령부 · 기능사령부 | 해체된 야전군 · 해체된 기능사령부 |
제3군관구사령부 {{{#1A4648 第3軍管區司令部}}} The 3rd military district command |
||||||
창설일 | 1954년 12월 1일[1] | |||||
해체일 | 1983년 | |||||
상징명칭 | 3관구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2야전군 | |||||
규모 | 군관구사령부 | |||||
역할 | 충청도 방위 및 경비 | |||||
초대 사령관 | 예) 소장 권준(황포 4기) | |||||
해체 전 사령관 | 예) 소장 000(0사 00기) | |||||
위치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 |||||
[clearfix]
1. 개요
대전광역시를 근거지로 했던 대한민국 육군 제2야전군 소속 군관구사령부 였다.2. 상세
대한민국 육군의 충청권( 대전광역시 포함) 방위 군관구사령부로 논산시에서 창설되으며 3관구라 불렸으며 2야전군(現 제2작전사령부) 예하 부대였다.논산시 일대에 주둔하다 대전광역시로 사령부를 이전했다.
예하 향토예비사단들 중 32사단은 충청남도, 대전광역시를 관할했고, 37사단은 충청북도 일대를 관할했다.
1983년 제3관구사령부는 해체되었다.
3. 편제
부대 해체일 기준. |
3.1. 직할부대
3.2. 예하부대
- 제32보병사단(백룡부대)
- 제37보병사단(충용부대)
- 제62보병사단(충룡부대)
- 제67보병사단(용진부대)
- 제2육군훈련소(연무대)
- 육군병참학교(군수교)
- 육군통신학교(통신교)
- 제3군수지원단(일벌부대)
4. 과거부대
부대 해체일 기준. |
-
제51예비사단(방파제부대)
5. 출신인물
5.1. 사령관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
역대 제3군관구사령관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권준 | 예) 소장 | 황포 4기 | 前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 |
00대 | 최홍희 | 예) 중장 | 군영 1기 | 前 제6군단장 | |
00대 | 민기식 | 예) 대장 | 군영 1기 | 前 제5보병사단장 | 前 육군참모총장, 국회의원 |
00대 | 최석 | 예) 중장 | 군영 1기 | 前 사령관 | 前 제3군단장, 제21보병사단 사단장 |
00대 | 한웅진 | 예) 소장 | 육사 2기 | 前 제35보병사단장[2], 육군정보학교장, 제9보병사단장 | 前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원 |
00대 | 이존일 | 예) 소장 | 육사 2기 | 前 사령관 | 前 전라북도지사 |
00대 | 강창성 | 예) 소장 | 육사 8기 | 前 육군보안사령관 | |
00대 | 임부택 | 예) 중장 | 육사 1기 | 前 사령관 | 前 제1군단장, 제2관구사령부 사령관 |
00대 | 김계원 | 예) 대장 | 육사 00기 | 前 육군참모총장 |
5.2. 장교/부사관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