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8 15:39:19

제20공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41483><tablebgcolor=#041483>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미합중국 공군 서수공군
Numbered Air Force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파일:first air force.png
제1공군
파일:제2공군 휘장.png
제2공군
파일:third air force.png
제3공군
파일:제4공군 휘장.png
제4공군
파일:fifth air force.png
제5공군
파일:제7공군 엠블럼.png
제7공군
파일:제8공군.png
제8공군
파일:ninth air force.png
제9공군
파일:제10공군 휘장.png
제10공군
파일:eleventh air force.png
제11공군
파일:twelfth air force.png
제12공군
파일:Thirteenth_Air_Force.png
제13공군
파일:15th_Air_Force.png
제15공군
파일:16th_Air_Force.png
제16공군
파일:Eighteenth_Air_Force.png
제18공군
파일:제19공군 휘장.png
제19공군
파일:제20공군.png
제20공군
파일:제22공군 휘장.png
제22공군


}}}}}}}}}}}}}}} ||

<colcolor=#fff><colbgcolor=#06458B> 제20공군
Twentieth Air Force
파일:제20공군.png
창설일 1944년 4월 4일
소속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미합중국 공군
상급부대 파일:미합중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svg 미합중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규모 서수 공군
사령관 파일:미합중국 공군소장기.svg 마이클 J. 러튼 소장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위치 미국 와이오밍 프랜시스 E. 워렌 공군기지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 공군 예하의 서수 공군으로 제8공군과 함께 지구권타격사령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사령부는 와이오밍 주 프랜시스 E. 워렌 공군 기지에 위치해있다.

제20공군은 미국의 ICBM을 운용하는 부대이며, 세 곳의 공군기지에 각 150발씩 450발의 ICBM이 지하 사일로에 장전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400발로 ICBM 수량이 줄었다. LGM-30G 미니트맨 III ICBM은 한 기에 세 개의 수소폭탄이 장착되어 있으며, 350kt W78 핵탄두, 475kt W87 핵탄두를 사용중이다. LGM-35A 센티넬이 배치될 시 제20공군에서 운용하게 된다..

2. 역사

제20공군은 1944년 4월 일본 본토 공습을 전담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제20공군은 헨리 아놀드 육군항공대사령관이 합동참모본부를 통해 직접 통제했고, 로리스 노스타드 준장[1]이 참모장을 맡았다.

예하의 제20폭격기사령부가 1944년 3월, 인도에서 창설되어 태국을 목표로 첫 공습을 개시했으며, 곧 중국으로 이동해 일본 본토 공습에 투입되었다.

제20폭격기사령부는 일본 본토 공습 이외에도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석유 저장 시설을 공습하는 등, 동남아 지역에서도 지속적인 공습을 해왔다.

이어 필리핀 해 해전 사이판 전투를 통해 B-29의 기착지로 기능할 수 있는 북마리아나 제도을 점령하자, 1944년 3월, 캔자스에서 창설된 제21폭격기사령부가 사이판으로 이동했다. 그러나 만족스럽지 못한 성과를 내자 제20폭격기사령관을 역임하던 커티스 르메이가 1945년 2월, 제21폭격기사령관으로 이동했고, 도쿄 대공습을 시작으로 일본 전역에 불벼락을 떨어뜨리기 시작한다.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 투하를 수행한 제509혼성전대 역시 제21폭격기사령부 예하 제313폭격비행단 소속이었다.

1945년 6월, 태평양 전략공군사령부가 창설되자 제20폭격기사령부가 해산되고, 제21폭격기사령부가 제20공군으로 명칭을 바꾸면서 예하에 배속되었으며, 유럽에서 오키나와로 배치되고 있는 제8공군과 함께 몰락 작전 동안 대대적인 공습에 나설 예정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제20공군은 오키나와에 주둔했다. 이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오키나와에 있던 제20공군 예하의 제19폭격비행단이 극동공군 폭격사령부 예하로 배속되었으며, 역시 제20공군 예하에 있던 제51전투비행단이 제5공군 예하로 배속되었다. 한국 전쟁이 종전된 후, 제20공군은 해산되었다.

1991년 9월, 제20공군은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재창설되었다. 새롭게 재창설된 제20공군은 ICBM 전력 통제를 임무로 하고 있었다.

1992년, 전략공군사령부가 해체되자 공중전투사령부에 배속되었다가, 곧 공군우주사령부로 재배속되었다.

2010년, 전략공군사령부의 후신으로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가 창설되자, 제20공군 역시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예하로 이동했다.

==# 편제 #==
===# 1945년 #===
====# 제21폭격기사령부 #====
XXI Bomber Command


[1] 후일 유럽사령관 겸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을 지냄. [LGM-30G] LGM-30G 운용 부대. [LGM-30G] LGM-30G 운용 부대. [LGM-30G] LGM-30G 운용 부대. [LGM-30G] LGM-30G 운용 부대. [LGM-30G] LGM-30G 운용 부대. [LGM-30G] LGM-30G 운용 부대. [LGM-30G] LGM-30G 운용 부대. [LGM-30G] LGM-30G 운용 부대. [LGM-30G] LGM-30G 운용 부대. [UH-1N] UH-1N 운용 부대. [UH-1N] UH-1N 운용 부대. [UH-1N] UH-1N 운용 부대. [F-13] F-13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51] P-51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51] P-51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51] P-51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51] P-51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51] P-51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51] P-51 운용 부대. [C-46] C-46 운용 부대. [C-87] C-87 운용 부대. [C-47] C-47 운용 부대. [C-46] C-46 운용 부대. [C-46] C-46 운용 부대. [F-13] F-13 운용 부대. [F-5] F-5 운용 부대. [B-24] B-24 운용 부대. [F-13] F-13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75] 서류 상으로는 제313폭격비행단 소속이었으나, 실제로는 독립부대였다. [C-54] C-54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B-29] B-29 운용 부대. [P-38] P-38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38] P-38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38] P-38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51] P-51 운용 부대. [P-51] P-51 운용 부대. [P-51] P-51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 [P-47] P-47 운용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