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전차대대 | 제3전차대대 | 제5전차대대 | 제6전차대대 | 제7전차대대 | 제8전차대대 | |
제9전차대대 | 제11전차대대 | 제12전차대대 | 제15전차대대 | 제16전차대대 | 제17전차대대 | |
제18전차대대 | 제19전차대대 | 제21전차대대 | 제22전차대대 | 제26전차대대 | 제28전차대대 | |
제29전차대대 | 제32전차대대 | 제33전차대대 | 제35전차대대 | 제36전차대대 | 제37전차대대 | |
제38전차대대 | 제39전차대대 | 제51전차대대 | 제52전차대대 | 제53전차대대 | 제55전차대대 | |
제56전차대대 | 제57전차대대 | 제58전차대대 | 제59전차대대 | 제80전차대대 | 제81전차대대 | |
제83전차대대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대대 |
제7보병사단의 예하부대 | |||||||
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
포병여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사단 직할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본부근무대 | 수색대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보급수송대대 | ||
제1전차대대 | 정보통신대대 | 군사경찰대 | 의무근무대 | 화생방지원대 | |||
방공중대 | 보충중대 | }}}}}}}}} | |||||
※ 사단 신병교육대는 제7보병사단/신병교육대 참고 |
제1전차대대 第一戰車大隊 The 1st Armor Battalion |
||||||
창설일 | 1953년 1월 25일(제1전차대대) | |||||
상징명칭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7보병사단 | |||||
규모 | 대대 | |||||
역할 | 7사단 부대에 대한 기갑지원 | |||||
대대장 | 중령 최용환 | |||||
위치 | 강원도 춘천시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제2군단 제7보병사단 예하 전차대대다.2. 역사
한국전쟁이 막바지에 이른 1953년 1월 25일 제52, 55, 58 전차중대를 통합, 한국군 최초의 전차대대로 창설되었다.[1]이후 1968년 4월 1일 제1기갑여단 예속이 되었다가 1972년 제2군단 직할로 예속이 바뀌었고, 2019년 2군단 예하 제7보병사단으로 예속이 바뀌었다.
다만 해당 사단이 전차가 활약하기 힘든 산지[2]를 담당하다 보니 2021년에도 패튼 전차를 운용할 정도로 열악하다.
2021년 4월 K1 전차가 배치되었다.
3. 출신인물
1전차대대의 역대 대대장 명단입니다.초대 중령 박도경 1953.1.25 ~8. 27
3.1. 장교/부사관
3.2. 병
4. 부대 영상
5. 사건 사고
6. 여담
선술했듯이, 19년도 이전에는 2군단 직할대대였다. 자대로 갈 때 처음에는 춘천 시내에 있는 2군단 본부에 먼저 들렀다가, 거기서 전차대대로 갈 인원만 따로 빼서 다시 보낸다. 참고로 부대 위치는 춘천 시내에서 차 타고 화천방면으로 3~40분은 가야하는 거리에 있다. 그래서 신병들은 처음에 시내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근무하게 된다는 희망을 품고 있다가, 얼마안가 희망이 와장창 무너지는걸(...) 겪게 된다.시골에 있긴 하지만 부대 바로 앞에, 버스 정류장이 있고 춘천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버스가 이곳에 정차한다. 덕분에, 출타 나가는데에는 어려움은 없다. 주말의 경우 아예 부대에서 셔틀버스를 운행하여 출타자들을 화천시외버스터미널에 내려다 준다.
3km 뜀걸음 코스가 영외에 있다. 다만, 어차피 주변이 전부 시골이라 바깥에 나간다 이런 느낌은 들지 않는다. 거기다 중간중간 오르막길 구간도 있어서 은근 힘들다.
전차 주차장이 매우 넓다. 당직 순찰 혹은 초병 투입 시 주차장 전체를 돌게 되는데 은근 시간이 많이 걸린다.
막사와 전차 주차장 사이에 차도가 있어서 이동 시에는 둘을 연결하는 육교를 자주 사용한다.[3] 특정 초소에서는 이 육교가 아주 잘보여서 후번초나 순찰이 온다는 사실을 미리 알 수 있다.
7. 대중매체
망선생의 현대 한국군이 한국전쟁으로 회귀한다면 맨 마지막 부분에서 잠깐 등장한다. 현대 한국군 제2작전사령부 관할 지역이 1950년에 가 있는 동안, 1950년의 낙동강 전선 병력이 현대 한국으로 왔고, 그때 현대 국군이 M48 패튼, K-1 전차 등의 노후장비를 인계해주었고, 그 결과 바뀐 타임라인의 전후를 보여주는 장면에서 1953년에 제1전차대대 창설식에사 K-1 전차들이 사열되는 모습이 나온다. 원역사보다 70년 일찍 K-1을 배치받은 셈.
[1]
자세한 건
한국군 전차부대(한국전쟁) 참고.
[2]
일단
좁은 산길을 따라 일렬로 이동하는 게 전부고 이조차도 퇴로가 차단당하면 고정 포대 이상의 의미는 없어지기에 단독 전투는 하기 힘들고 보병이나 헬기, 항공기를 보조하는 역할만 할 수밖에 없다.
[3]
차도에 횡단보도가 있긴 하지만 막사
위병소 게이트와 주차장 게이트를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차량 이동이 아닌 도보로 이동할 때는 육교를 주로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