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17:30:02

정봉욱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육군제2훈련소장
제1대
김종갑
제2대
이성가
제3대
심언봉
제4대
함병선
제5대
백인엽
제6대
양국진
제7대
백남권
제8대
박병권
제9대
한신
제10대
임충식
제11대
최홍희
제12대
김동빈
제13대
장춘권
제14대
김상복
제15대
김병휘
제16대
김진위
제17대
전부일
제18대
박남표
제19대
김재명
제20대
정봉욱
제21대
한무협
제22대
김영선
제23대
곽응철
제24대
이필조
제25대
배정도
제26대
이광노
제27대
김기석
제28대
김원태
제29대
김을권
제30대
임병화
제31대
김충식
제32대
김광석
제33대
이기룡
제34대
오영우
제35대
이태우
제36대
이종완
제37대
정화언
제38대
정남기
육군훈련소장
제39대
문판생
제40대
이광희
제41대
김문범
제42대
허평환
제43대
정두근
제44대
장종대
제45대
이태우
제46대
박성우
제47대
김정호
제48대
고성균
제49대
고현수
제50대
김규하
제51대
서상국
제52대
구재서
제53대
김인건
제54대
박원호
제55대
이용환
제56대
최장식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보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c63b7><tablebgcolor=#1c63b7>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c63b7><tablebgcolor=#1c63b7>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초대
정봉욱
2대
이근양
3대
육장균
4대
황영시
5대
김영선
6대
정형택
7대
전제현
8대
정순현
9대
권병식
10대
김진영
11대
이정린
12대
김정헌
13대
김택수
14대
표순배
15대
오형근
16대
손수태
17대
강종필
18대
이종간
19대
김충배
20대
송영근
21대
박장규
22대
박종달
23대
김주원
24대
김일생
25대
김윤석
26대
손무현
27대
김현기
28대
김길영
29대
원홍규
30대
금용백
31대
서정열
32대
황대일
33대
장달수
34대
여운태
35대
장광선
36대
고창준
37대
방성대
38대
배현국
39대
이용환
※ 초대~현임 : 소장 (5대, 6대, 12대, 14대 : 중장)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육군 제20대 육군훈련소장
정봉욱
鄭鳳旭 | Jeong Bonguk
파일:정봉욱 장군.png
<colbgcolor=#334782><colcolor=#FFF> 출생 1924년 11월 28일
황해도 안악군 안곡면 학포리
사망 2018년 3월 9일 (향년 93세)
경기도 성남시
경력 비상기획위원회 부위원장
군사 경력
임관 평양군관학교 (조선인민군)
특별임관 (대한민국 국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50년 ~ 1973년
최종 계급 소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육군제2훈련소장
주요 보직 제1야전군사령부 포병참모
제7보병사단장
단기사관학교 창설위원장
육군제3사관학교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군인.

2. 생애

일제강점기 황해도 안악군에서 출생하였다. 이후 북한에서 평양군관학교를 졸업하고, 군인으로 길을 걸었다. 한국전쟁 때 북한군으로 참전하였고, 당시 신분은 조선인민군[1] 육군 포병대 중좌였다. 그의 인생은 1950년 다부동 전투에서 국군에 투항하면서, 좋은 의미로 뒤바뀌게 되었다.
파일:정봉욱.jpg
6.25 당시 투항하는 정봉욱 중좌
정봉욱은 다부동 전투 때, 상관의 명령에 따르게 되면 자신의 부대원들이 의미 없는 죽음을 맞이하게 될 것을 예상하고 항명하였다. 이때 정봉욱에게 남은 선택은 투항하거나 항명죄로 사형당하는 것이었다. 그는 당시 자신의 보좌관과 둘이서 투항하고 작전 지도를 대한민국 육군에 넘겨주어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투항 후 특별임관을 하여, 대한민국 육군 중령으로 군인생활을 이어가게 되었다.[2][3] 인민군에 대해 상세히 알고 있던 정봉욱은 여러가지 전공을 세우며 승승장구하였고,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면서 1965년 대한민국 육군 사단장의 위치에 오르게 된다. 제7보병사단, 즉 칠성부대의 18대 사단장(1965.7.24~1967.7.15)으로 복무했으며 7사단장 시절인 1967년 4월 12일 7사단 예하 GP인 205GP가 3개 침투조 60여명의 공격을 받았다.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포병을 동원해 북한군을 응징한 바 있다. # 이 사건은 제3보병사단인 백골부대 박정인 장군의 1973년에 있었던 3.7포격사건보다 먼저 일어났던 일이다.[4]

이후 1968년 신설된 육군3사관학교의 초대 교장을 맡았다. 군인으로서 청백리와 같은 매우 청렴한 삶을 살았다고 평가받는다. 1970년 육군훈련소장에 임명되어 시절 부대 내 비리를 척결하고, 훈련 중심의 부대로 변화시켰다는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1973년 소장 예편 후 1978년까지 비상기획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평생을 공산주의에 반대하여 완고한 반공 성향을 드러냈으며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기 위해선 가진 자들이 더 베풀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2000년 4월 10일 TV 내무반 신고합니다 육군3사관학교 편에 출연했다. #

2018년 3월 9일 별세,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장례식 사진


[1] 당시 대한민국에서의 호칭은 북한공산괴뢰군. [2] 특별임관 시 조선인민군에서의 계급을 그대로 인정받은 케이스다. [3] 다만 국군이 이걸 대대적으로 선전하는 바람에 북한에 남은 가족들은 모두 처형당했다고 한다. [4] 휴전이후 70년대까지 DMZ에서 한국군과 북한군간의 상호 교전은 일상적일 정도로 피아 교전이 이루어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