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04:18:35

장학퀴즈/진행 방식/476~576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MBC 1~475회 476~576회
577~628회 629~790회 791~837회
838~994회 995회~1119회 1120회~현재
장원제 출연 학교
장학퀴즈 학교에 가다 방영 목록
한중퀴즈제왕전
명예의 전당
}}}}}}}}} ||

1. 개요2. 우승 학교 발전 기금과 출연 학생 상품3. 아이템 획득전
3.1. 476~498회3.2. 501~524회3.3. 525~549회3.4. 552~576회3.5. 아이템 일람
4. 줄대결
4.1. 501~549회4.2. 552~576회
5. 본선대결 37:376. 전략7. 517회 연말방송 진행 방식8. 그 외

1. 개요

2. 우승 학교 발전 기금과 출연 학생 상품

W 상금(만원) 상품
1 200만원 usb 메모리
2 400만원(2006) → 500만원(2007) 문화상품권
3 800만원(2006) → 900만원(2007) MP3 플레이어
4 1500만원 디지털 카메라
퀴즈제왕 3000만원 PMP

3. 아이템 획득전

3.1. 476~498회

3.2. 501~524회

3.3. 525~549회

3.4. 552~576회

3.5. 아이템 일람

4. 줄대결

4.1. 501~549회[12]

4.2. 552~576회

5. 본선대결 37:37

6. 전략

31 32 33 34 35 36
25 26 27 28 29 30
19 20 21 22 23 24
13 14 15 16 17 18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517회 연말방송 진행 방식

8. 그 외



[1] 실제로 한 학교가 모든 아이템을 가져간 경우는 총 2번(478, 486회) 있었으며, 486회에서는 챔피언 팀이 모든 아이템을 가져갔음에도 불구하고 도전팀이 승리한 경우가 있다. 476회 한정으로 아이템을 모두 공개한 다음 장이 선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 초창기에 첫 번째, 두 번째 게임은 야외에서 37명이 단체 게임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3] 첫 번째 대결과 마찬가지로 두 번째 게임 역시 많이 바뀌었으며, 중간에는 학생들간에 단어 암기 게임(외우기 한 판)이나 '대답없는 너' 게임(묻거나 말거나)을 했다. [4] 476회는 교장 선생님과 선생님이 팀을 이루었으며, 477, 478회는 장과 선생님이 팀을 이루어서 진행했다. [5] 최고 기록은 천안 복자여자고등학교 (510회)와 인천남고등학교 (524회)의 16문제다. [6] 512회 인천 연수고등학교 vs 경기 용인 풍덕고등학교의 대결에선 무려 3번의 연장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무승부를 기록해 양 학교 모두 아이템 3개를 가져갔다.(실제로 방영된 건 첫 경기) [7] 첫 번째 유형과 두 번째 유형은 2005년 개인전 형식에서도 사용되었다. [8] 552회에서는 동점이 되면서 두 학교 모두 한 개의 아이템이 주어졌다. [9] 568회에서는 보니하니 게임톡톡 플래시 퀴즈를 차용한 2문제가 출제되었다. [10] 이 아이템을 성공하더라도 상대팀이 기사회생을 사용해서 무용지물이 된 경우도 있다. [11] 488회까지는 앞번호까지 불을 끌 수 있었다. [12] 550, 551회는 한중 퀴즈제왕전이 방영되었다. [13] 만약 가로줄 대결에서 동점이 나오거나, 세로줄 대결에서 모두 정답이나 오답을 쓸 경우에는 승부가 날 때까지 계속 진행된다.(예: 536회 세로줄 대결) [14] 대각선 줄이 뽑힌 경우는 3번 있었다.(7번 줄 - 537, 542회, 8번 줄 - 539회) [15] 476회 한정으로 불이 꺼진 학생이 맞히면 해당 학생의 불이 다시 켜지는 제도가 있었다. [16] 이 경우엔 대부분 편집된다.(예외: 557회 방송분) [17] 476회 한정으로 지뢰 학생이 문제를 맞히면 불이 켜진 한 학생을 선택해서 끌 수 있으며, 지뢰 학생이 오픈된 문제를 맞혀도 같은 효과가 적용된다. 여기서 지뢰 학생은 불이 꺼지면 지뢰 기능이 소멸된다. [18] 주로 (8, 29), (11, 26) 자리에 지뢰를 배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19] 526회에서는 상대팀 3명을 남기고 불이 꺼졌다가, 기사회생으로 살아나면서 장과의 대결까지 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