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장성급 장교가 국가별로 어떻게 판이한지를 연구하는 항목이다.2. 비교
준장이 없는 나라가 많다. 이럴 땐 상급대령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1] 상급대령 없이 소장, 중장, 대장(또는 상장)으로만 돌아가는 경우도 있다. 북한군은 소장-중장-상장-대장의 4단계는 한국과 같지만 조선인민군 차수와 조선인민군 원수 등을 두어 계급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고 있다.2024년 기준으로 한국군은 장성의 숫자가 370명이다. 자위대는 260명 수준이며 미군은 1천명에 달하고 아일랜드군은 단 9명뿐이고 앤티가 바부다군은 장성이 한 명도 없이 대령이 최선임이다.
2.1. 국가별 장성급 장교 규모
참조항목 :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 미군/장성급 장교, 자위대/장성급 장교, 조선인민군/장성급 장교군대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합계 |
대한민국 국군[2] | 7 | 33 | 370 | ||
미군[3] | 42 | 154 | 321 | 429 | 946 |
러시아군 | |||||
중국 인민해방군[4] | 34[5] | 129 | 165+[6] | - | 약 600+ |
인도군 | 3 | ||||
영국군 | 8 | 27 | 95 | 308 | 438 |
프랑스군 | 7 | ||||
독일군 | 3 | ||||
자위대 | 4 | 58 | 203 | - | 265 |
터키군 | 14 |
2.2. 최선임 비교
제복군인 항목을 참고 바람.2.3. 고위급( 대장급) 비교
2024년 10월을 기준으로 한다. *
대한민국 국군
군 | 보직 | 한국어 | 한자 | 출생년도 | 입대연도 | 출신지 |
해군 | 합동참모의장 | 김명수 | 金明秀 | 1967 | 1989 | 경북 |
육군 | 육군참모총장 | 박안수 | 朴安洙 | 1968 | 1990 | 경북 |
해군 | 해군참모총장 | 양용모 | 梁龍模 | 1967 | 1990 | 충북 |
공군 | 공군참모총장 | 이영수 | 李英秀 | 1967 | 1990 | 경남 |
육군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강신철 | 姜信哲 | 1968 | 1990 | 서울 |
육군 | 지상작전사령관 | 강호필 | ? | 1968 | 1991 | 경남 |
육군 | 제2작전사령관 | 고창준 | 高昌俊 | 1968 | 1989 | 충북 |
군 | 보직 | 한국어 | 한자 | 출생년도 | 입대연도 | 출신지 |
육자 | 통합막료장 | 요시다 요시히데 | 吉田圭秀 | 1962 | 1986 | 도쿄 |
육자 | 육상막료장 | 모리시타 야스노리 | 森下泰臣 | 1965 | 1988 | 후쿠오카 |
해자 | 해상막료장 | 사이토 아키라 | 齋藤聡 | 1966 | 1989 | 나가사키 |
공자 | 항공막료장 | 우치쿠라 히로아키 | 内倉浩昭 | 1964 | 1986 | 가고시마 |
자위대에선 대장들이 평균 1956년에 태어나 1978.2년에 임관한 편이다. 보통 59세에 37년 가까이 정도 근무한 셈이다.
미군/장성급 장교 항목 참조.
생년과 임관년도 밝혀진 사람의 정보로 구해보면 미군의 대장은 1956.18년생에 1978.67년에 임관했다. 보통 59세 정도에 36년 정도 근무한 셈이다.
중국 인민해방군/장성급 장교 항목 참조.
중국 인민해방군 상장(타군의 대장)의 경우엔 1951.8년에 태어나 1970.5년에 입대했다. 중국이 군사 계급도 사관학교도 없이 운영되던 시절인 걸 감안해야 하지만 상장들의 경우 평균 연령이 63세를 넘고 44년 이상을 근무한 인물들이다.
※ 정위(政委)는 정치위원, 즉 정치장교를 가리킨다.
3. 관련 표제어
[1]
상급대령을 영관급으로 보는 곳도 있고
인민해방군처럼 장관급으로 보는 곳도 있다.
[2]
2024년 현재 각 계급별 인원은 공식적으로 공개되고 있지 않다.
[3]
미국은 법률로 장성의 정원을 제한하고 있다. 각 군 제한과
합동군,
통합군에 배정될 수 있는 숫자가 정해져 있다.
미국 육군은 자군에 231명, 합동부대에 85명으로 총 316명,
미국 해군은 자군에 162명, 합동부대에 61명으로 총 223명,
미국 공군은 자군에 198명, 합동부대에 73명으로 총 271명,
미국 해병대는 자군에 61명, 합동부대에 21명으로 총 82명. 즉 법률상으로는 892명이 정원이지만 이런 저런 비편제와 예외규정 등으로 1천명에 가까운 인원을 보유하고 있다.
출처
해안경비대는 제외한 수치이다.
[4]
현직 대장은
여기서 볼 수 있으며 현직 중장은
여기서 볼 수 있다. 다른 출처로
이런명부도 있다.
[5]
서방세계의 군대에는 존재하지 않는 보직인
정치위원이 많아서 실제 필요한 인원보다 많이 배치되어 있다. 다른 계급도 이와 같은 이유로 필요한 인원보다 많이 배치되어 있다.
[6]
구조적으로 볼 때 400-500명 정도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