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1:32:38

장사국



1. 개요2. 전한의 이성제후국
2.1. 역사2.2. 역대 국왕
3. 한나라의 동성제후국
3.1. 역대 제후왕
4. 서진의 동성제후국5. 동진의 제후국6. 남조시대
6.1. 유송6.2. 남제6.3. 소량6.4. 남진

1. 개요

전한 시기부터 남북조시대 남조 시기까지 존재했던 제후국.

신나라, 후한(37년 폐지), 오나라 때는 봉국이 폐지되어 장사군으로 있었으나 서진 때 부활해서 진(남조) 시기까지 존재했다. 그러나 이성제후국은 오예의 장사국(기원전 202~기원전 157), 도간의 장사국(서기 329년 ~ 서기 420년) 둘뿐이고 나머지 국가들은 황실과 동성인 제후들을 임명하였다.

2. 전한의 이성제후국

국명 장사(長沙)
존속기간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57년
위치 후난성
수도 임상(臨湘)
국성 오(吳)

전한 제후국. 유방이 임명한 8명의 이성제후왕[1] 중 마지막까지 존속했던 국가로, 초대국왕은 항우의 18제후왕 분봉 당시 형산왕으로 임명된 오예. 오예의 성을 따서 오씨장사국(吳氏長沙國)으로도 불린다.

2.1. 역사

기원전 223년, 진나라 초나라를 멸망시키고 검중군을 나누어 장사군을 설치했다.

진나라 시기 파양현령을 지낸 오예는 반진전쟁(기원전 209년 ~ 기원전 206년) 당시 파군(番君)으로 불리면서 진나라에 대항하였다. 오예의 세력에는 민월 지역에서 왕노릇을 하다가 진나라가 민중군을 설치하면서 폐위된 민월왕 무제, 민월군 요가 월인들을 이끌고 합류했으며, 당시 도적떼 수령이었던 영포에게 자신의 딸을 시집보냈다. 항우에게 합류해 공을 세운 오예는 형산왕(衡山王)으로 봉해졌다.

오예는 임강왕 공오, 구강왕 영포와 함께 초의제 시해에 동참했으나, 어느 시점에서 항우의 공격을 받아 봉국을 잃고 유방에게 망명했다.[2]

기원전 202년, 한고제 유방은 오예가 진나라를 멸할 때 공을 세웠다고 인정하면서 장사왕으로 임명했다.

기원전 195년, 구강왕 영포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크게 패배해 오신에게 망명을 시도했다가 오신에게 죽었다.

기원전 181년경, 여태후 남월과 철기 교역을 중단하면서 남월왕 조타의 공격을 받아 장사의 군현들이 남월군에게 약탈당했다.

기원전 157년, 장시정왕 오예가 후사없이 사망하면서 봉국이 폐지되었다. 봉국이 없어진 장사왕의 후예들이 오초칠국의 난 당시 오왕 유비의 반란에 동참했으나, 오초칠국의 난이 실패하면서 봉국이 부활하지 못했다.

2.2. 역대 국왕

대수 이름 시호 재위기간
1대 오예 장사문왕(長沙文王) 기원전 202년
2대 오신(吳臣) 장사성왕(長沙成王)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94년
3대 오회(吳回) 장사애왕(長沙哀王) 기원전 194년 ~ 기원전 187년
4대 오우(吳右) 장사공왕(長沙共王) 기원전 187년 ~ 기원전 179년/178년
5대 오저(吳著) 장사정왕(長沙靖王) 기원전 179/178년 ~ 기원전 157년

3. 한나라의 동성제후국

존속기간 기원전 155년 ~ 8년(전한)
기원후 25년 ~ 기원후 37년(후한)

장사문왕 오예의 후계가 단절되면서 일시적으로 장사군이 되었다. 2년 후인 기원전 155년 3월, 한경제의 아들 유발(劉發)이 장사왕으로 임명되었다.

왕망 신나라를 세우면서 장사공으로 격하시킨 후 폐지했으나, 광무제 유수[3] 후한을 세운 이듬해 유순의 아들 유흥을 장사왕으로 임명하면서 부활했다. 이후 11년 뒤인 37년 폐지되어 군현이 되었다.

3.1. 역대 제후왕

대수 이름 시호 재위기간
1대 유발(劉發) 장사정왕(長沙定王) 기원전 155년 ~ 기원전 129년/기원전 128년
2대 유용(劉庸) 장사대왕(長沙戴王) 기원전 129년/128년 ~ 기원전 101년
3대 유부구(劉鮒鮈) 장사경왕(長沙頃王) 기원전 101년 ~ 기원전 84년
4대 유건덕(劉建德) 장사날왕(長沙剌王) 기원전 84년 ~ 기원전 49년
5대 유단(劉旦) 장사왕(長沙煬王) 기원전 49년 ~ 기원전 48년
6대 유종(劉宗) 장사효왕(長沙孝王) 기원전 48년 ~ 기원전 43년
7대 유노인(劉魯人) 장사목왕(長沙繆王) 기원전 43년 ~ 기원후 6년
8대 유순(劉舜) 없음 기원후 6년 ~ 기원후 9년
9대 유흥(劉興) 없음 기원후 26년 ~ 기원후 37년

4. 서진의 동성제후국

289년, 사마염이 자신의 6남 사마예를 장사왕으로 임명하면서 생겨났다. 291년, 사마위의 동복형제라는 이유로 상산왕으로 격하되었다가 301년 다시 장사왕으로 임명되었다.

304년 사마예가 처형된 후 아들 사마석(司馬碩, ? - 311년)이 308년 장사왕에 정해졌으나, 311년 낙양 함락 때 사망하면서 멸망했다.

기존 전한 때 제후왕과는 달리 서진은 봉국이 아닌 무관직에서 비롯한 것이다보니 사마예는 낙양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아들 사마석도 낙양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5. 동진의 제후국

서진 초 활약한 도간(陶侃: 259년 ~ 334년)이 329년 장사군 개국공으로 임명되면서 세워졌다. 420년 동진이 멸망하면서 유송이 세워지면서 봉국이 없어졌다.
대수 이름 작위 시호 재위기간
1대 도간(陶侃) 장사군개국공(長沙郡開國公) 환공(桓公) 329년 ~ 334년
- 도첨(陶瞻) 장사세자(長沙世子) 민도세자(愍悼世子) 328년
2대 도홍(陶弘) 장사군개국공(長沙郡開國公) 불명 334년 ~ ?
3대 도작지(陶綽之) 장사군개국공(長沙郡開國公) 불명 ? ~ 403년
404년 ~ ?
4대 도연수(陶延壽) 장사군개국공(長沙郡開國公) 없음 ? ~ 420년

6. 남조시대

남조 황실과 동성인 인물들을 임명하였다. 589년 수나라 진(남조)를 멸망하면서 장사군왕 작위도 폐지된다.

6.1. 유송

대수 이름 작위 시호 재위기간
1대 劉道鄰 장사군왕(長沙郡王) 경왕(景王) 420년 ~ 422년
2대 劉義欣 장사군왕(長沙郡王) 성왕(成王) 424년 ~ 439년
3대 劉瑾 장사군왕(長沙郡王) 도왕(悼王) 439년 ~ 453년
4대 劉纂 장사군왕(長沙郡王) 없음 453년 ~ 479년

6.2. 남제

대수 이름 작위 시호 재위기간
1대 소황(蕭晃) 장사군왕(長沙郡王) 위왕(威王) 479년 ~ 490년
2대 소자모(蕭子某) 장사군왕(長沙郡王) 없음 490년 ~ 501년

6.3. 소량

대수 이름 작위 시호 재위기간
- 소의(蕭懿) 장사군왕(長沙郡王) 선무왕(宣武王) 없음[4]
1대 소연업(蕭淵業) 장사사왕(長沙嗣王) 원왕(元王) 503년 ~ 526년
2대 소효엄(蕭孝儼) 장사번왕(長沙蕃王) 장왕(章王) 526년 ~ ?
3대 소진(蕭慎) 장사번왕(長沙蕃王) - ? ~ ?
4대 소소(蕭韶) 장사번왕(長沙蕃王) 없음 ? ~ 557년

6.4. 남진

대수 이름 작위 시호 재위기간
1대 陳叔堅 장사군왕(長沙郡王) 없음 재위기간 569년 ~ 589년

[1] 한왕 신(한나라), 장도(연나라), 노관(연나라), 한신(제나라 > 초나라), 영포(구강국), 팽월(양나라), 장이(조나라), 오예(장사국). 이중 자연사한 장이를 제외하면 숙청당하거나 반란을 일으켰다 제거되었다. [2] 사위인 영포가 항우를 배신한 일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3] 장사정왕 유발의 증손자다. [4] 500년에 사망한 2년 후에 사후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