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6 05:30:38

이화접목

1. 한자의 음과 뜻2. 유래3. 무협물의 이화접목4. 관련 항목

1. 한자의 음과 뜻

移花接木

남을 속여 교묘하게 진위를 뒤집는 일을 이를 때에 쓰이는 고사성어이다. 무협소설에서는 무술 용어의 일종으로 취급된다.

옮길 이, 꽃 화, 사귈 접, 나무 목.

꽃이 핀 나무를 다른 나무에 접붙인다는 의미로, 남모르게 교묘한 수단으로 진위를 바꾼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2. 유래

전국시대 사군자 중 한 명인 춘신군의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초나라의 전국사군자 춘신군에게는 이원이라는 식객이 있었는데, 용모가 출중한 그의 여동생을 첩으로 맞아들였다. 초 고열왕이 후사가 없었는데, 춘신군은 여러 번 여인을 추천했으나 왕이 여전히 후사를 보지 못해 초조해했다. 권력을 탐내던 식객 이원은 춘신군의 아이를 밴 여동생을 고열왕의 후궁으로 보내자고 춘신군을 설득했는데, 여동생이 왕비가 되고 또한 조카가 초왕에 오르면 자신은 외척으로 권력을 누리고, 춘신군은 후사없이 왕이 죽으면 그 형제에게 상속되며 끈 떨어진 자신은 더 이상 재상 자리를 보전하지 못할 것이고, 또 자신의 혈통을 초나라 왕실로 바꿔치는 것이니 주인과 식객 모두 서로 이득을 보는 것. 이 계획은 성공하여 그 때 태어난 춘신군의 아들이 초나라의 태자가 되어 초유왕이 되었다. 그러나 누설을 걱정한 이원이 비밀을 묻으려 자신의 여동생인 왕비와 작당하여 반역죄를 씌워 춘신군과 그 일족을 모두 죽인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춘신군 문서.


비슷한 이야기인 진시황의 생부가 아니냐는 의심을 산 여불위 일화 또한 이화접목이란 고사를 쓰는 예다. 다만 둘 모두 실제 가능성은 거의 없고, 춘신군의 일화도 어디까지나 야사에 불과하다.

3. 무협물의 이화접목

무협소설 등지에서 이화접목은 특정 무공의 초식, 또는 무술의 이치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무리(武理)로서의 이화접목은 공격한 상대가 모르게 적의 힘을 이용해 또 다른 적을 치는 수법을 말한다. 이러한 이화접목의 이치를 따르는 무공의 예시는 《 천룡팔부》에 나오는 두전성이, 《 의천도룡기》에 나오는 건곤대나이, 《 절대쌍교》에 나오는 이화접옥신공 등을 들 수 있다. 태극혜검이 이화접목의 극치로 나오기도 한다.

4.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