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3 20:16:00

이란군 VS 이스라엘군

VS놀이 | 가상 군사 대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
[[한국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한국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한국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한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 [[한국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한국군 vs 미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인민군
[[한국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북한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미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한국군 vs 미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미군 vs 북한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미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미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세계연합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UN기.svg
세계연합군
]] | [[미군 vs 소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일본 국기.svg
자위대
[[한국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자위대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러시아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소련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군
[[한국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러시아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러시아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NATO vs 러시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NATO 깃발.svg
NATO
]]
'''[[소련군|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군]]'''
[[소련군 vs 자위대|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미군 vs 소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중국 인민해방군|
파일:중국 국기.svg

인민해방군]]'''
[[한국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북한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중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 [[자위대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 [[중국군 vs 인도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 [[러시아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 [[미군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중국군 vs 베트남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 [[Quad vs 중국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EwVHvtgUcAMO2IH.jpg
Quad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군
[[한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 | [[중국군 vs 대만군|파일:VS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다자간
한미연합군 vs 북중연합군
기타 영국군 vs 프랑스군 |  인도군 vs 파키스탄군 |  사우디군 vs 이란군 |  이란군 VS 이스라엘군 }}}}}}}}}
파일:이란군 엠블럼.svg VS 파일:이스라엘군 상징.svg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 이스라엘 방위군
1. 개요2. 경제력 비교3. 군사력 비교
3.1. 육군3.2. 해군3.3. 공군3.4. 비대칭 전력
4. 결론5. 관련 문서

1. 개요

이란과 이스라엘의 군사력을 비교하는 문서이다.

두 나라는 중동의 대표적인 앙숙관계로 꼽히며 이란-이스라엘 대리 분쟁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대립해 왔는데, 2024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인해 갈등이 격해져 서로의 본토를 향해 미사일을 날리는 수준까지 분쟁이 심화되었다. 이로 인해 역사상 가장 두 나라 간의 전면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2. 경제력 비교

이란 이스라엘
인구  8,415만 명 922만 명
명목 GDP  6,107억 달러 3,834억 달러
PPP GDP  1조 67억 달러 3,610억 달러
1인당 명목 GDP  7,257 달러 41,560 달러
1인당 PPP GDP  11,963 달러 39,126 달러
GDP 대비 국가채무  44.02% 73.58%

3. 군사력 비교

이란 이스라엘
국방비 총합 74억 달러(GDP의 2.3%) (2022년) 190억 달러(GDP의 4.5%) (2022년)

3.1. 육군

이란 이스라엘
상비군 670,000명(2023년) 169,500명(2021년)
예비군 169,500명(2021년) 465,000명(2021년)
3세대 전차 ?대 490대
2세대 전차 705+?대 0대
1세대 전차 808대 0대
전차 총합 1593대 490대
장갑차(APCs/IFVs) 1250대 1360대
견인포 2030+문 300문
박격포 3000문 ?문
자주포 292문 300문
MLRS(다연장로켓) 1476문 30문(+88문)
수송차량 12,000대 7,684대

3.2. 해군

이란 이스라엘
잠수함 19척 5척(+1척)
초계함 198척 11척
전투함 총합 261척 64척

3.3. 공군

이란 이스라엘
5세대 전투기 ?기 39기(+36기)
4.5세대 전투기 ?기 25기(+25기)
4세대 전투기 79기(+19기) 282기
3세대 전투기 190기 ?기
조기경보관제기(AWACS) 0기 2기
공중급유기 3기 11기
훈련기 151기 ?기
공군기 총합 500기 1964기
헬리콥터 357기 142기

3.4. 비대칭 전력

이란 이스라엘
단거리 미사일 샤하브-2(1,280km) 300기 예리코-1호 (1,400km)
중거리 미사일 가드르-1 (1,600km) 예리코-2호 (2,800km) 
장거리 미사일 사질-2호 (2,400km) 예리코 3호기 (5,000km)
ICBM장착가능 핵탄두 ? 200개
미사일 방어 시스템 ? 아이언돔, 애로우

4. 결론

지정학적으로 이란은 이스라엘 주위에 헤즈볼라, 시리아, 하마스 등 우군을 두고 있고 이라크 시리아를 통해 이스라엘까지 지상군을 전개할 수 있는 반면 이스라엘은 미사일과 공군을 동원한 공습 외에는 이란을 직접 공격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현실에서 두 국가의 교전이 일대일로 벌어진다면 원거리 공격을 통한 제한전(+ 이란의 동맹과 일부 혁명수비대 병력을 동원한 지상전)이 벌어질텐데, 이 경우 지상군 전력까지 모두 포함하여 단순하게 양측의 군사력을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일단 이러한 양상에서는 질적으로 압도적 우세인 이스라엘군이 이란군을 상대로 우위에 설 가능성이 높고, 이는 2024년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 2024년 이스라엘 이란 공습을 통해 어느 정도 드러났다. 이란군이 이스라엘을 상대로 저가형 드론을 위주로 공격하고 대대적으로 예고하는 등 확전을 피하려 애쓴 점과 이스라엘 방어에 미군 영국군 등 동맹군이 참여한 점을 감안해야겠으나, 결과적으로 이란의 공격은 대규모였음에도 거의 격추당한 반면 이스라엘의 공격은 소규모였지만 이란의 방공망을 확실하게 유린했다.

하지만 인구수, 영토의 크기, 경제력 등을 종합한 국력은 이란이 이스라엘에 비해 압도적이므로, 전쟁이 장기화되어 지속되면 당연히 이스라엘이 이란에게 승산이 없다. 물론 이스라엘도 바보가 아닌 이상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으므로, 이란과 전쟁을 벌인다면 어떤 식으로든 미국을 끌어들여 이란과의 전쟁에 동참하게 할 가능성이 높다. 이란이 이스라엘을 먼저 공격한다면 미국은 당연히 참전할 것이며, 이스라엘이 이란을 먼저 공격한다고 해도 애초에 이스라엘은 미국이 참전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란을 공격할 것이다. 이렇듯 미국의 개입을 가정한다면 당연히 볼 것도 없이 이스라엘의 승리로 기울어진다. 다만 이란은 상술했듯이 국력이 상당한 국가로 미국이 고전했던 아프가니스탄이나 이라크보다도 훨씬 어려운 상대라, 이스라엘이 미국과 함께 이란과 전쟁을 벌인다고 해도 승리를 장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