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29 20:34:50

유리도라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탐라 군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3f36, #8d473d 20%, #8d473d 80%, #7e3f36);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화
시대
신화상 족보상
<rowcolor=#8d473d> 첫째 둘째 셋째 초대
양을나 고을나 부을나 고을나왕
삼국
시대
족보상 (~6세기)
<rowcolor=#8d473d> 제15대 제26대 제27대 제30대
고후 담왕 지운왕 담왕
문헌상 기록 (7세기)
<rowcolor=#8d473d> 제?대 제?대 제?대
도동음률 유리도라 고여
족보상 (9~10세기)
<rowcolor=#8d473d> 제43대 제44대 제45대
경직왕 민왕 자견왕
기타 고후 | 고청 | 고계
담왕 | 도동음률
고려
시대
고자견 | 고말로 | 주물 | 고오노 | 가리 | 고일 | 두량 | 가야잉 | 가어내 | 가양잉 | 고복령 | 의인 | 구대 | 양호 | 고인조 | 고인단 | 고수좌 | 고복수 | 고순량 | 고순원 | 고실개 | 고신걸 | 고봉례
두라 | 양구미 | 호잉 | 수운나 | 문창우 | 문창유 | 문충걸 | 문충보 | 문충세
조선
시대
좌도지관
고봉례 | 고상온 | 고충원
우도지관
문충세
* 신라에 세 형제가 내조하여 각각 받은 칭호. 시기 불명. 고려사상 확인됨.
** 백제 문주왕에게 담왕이 받은 칭호로 족보상 기록됨, 후대 도동음률(명칭에 이설 있음)은 삼국사기상 좌평으로 확인됨.
}}}}}}}}}

<colcolor=#ffffff> 왕호 <colbgcolor=#ffffff,#000000>탐라국왕(眈羅國王)
탐라국주(耽羅國主) 좌평(佐平)
성씨 유리(儒李)
도라(都羅) / 도동음률(徒冬音律)?
출생 미상
사망 7세기경[1]
자녀 아들 고여, 아파기 등
1. 개요2. 이름3. 행적

[clearfix]

1. 개요

삼국통일전쟁 시기 탐라국의 군주.

2. 이름

1년이 못 되는 시간차를 두고 탐라국의 지배자를 중국 사서[2]에서는 유리도라( 661년), 한국 사서[3]에서는 도동음률( 662년)이라는 이름으로 칭한다. 661년과 662년 사이에 왕이 바뀌었을 가능성도 있겠지만 워낙 짧은 간격이라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더 높고 실제 연구도 동일인물로 간주하고 두 이름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것이 많다.

이름을 분석해보면, 『당회요』는 '유리도라'에서 유리가 성이고, 도라가 이름이라고 확인해준다. 한편 도동음률은 성과 이름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노태돈 교수가 『삼국통일전쟁사』에서 徒를 제외하고 '동음률'을 인명으로 해석했는데, 그 외에는 대체로 도동음률 네 자를 인명으로 이해했다. 서로 다른 두 인명에 대해, 성씨인 유리에 '음률'이, 이름인 도라에 '도동'이 상응할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4]

이두문에서는 徒를 '내', 冬音을 '드름/두름'[5]이라고 읽는다. 이를 참고해서 언어학 유튜버 향문천은 개인 블로그를 통해 도동음률을 유리도라와 동일인물로 보고, 원음을 *naytolom 혹은 *nalitolom으로 추정하는 의견을 밝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도동음률'이 인명(고유명사)이 맞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그 근거는 『삼국사기』에 주석으로 도동음률을 "一作津."이라고 했으니, 률()을 진()이라고도 한다는 것에서 착안한다. 2018년 게재된 「신라와 탐라의 관계기사 재검토」에서는 이 주석에 주목해 도동음률을 인명이 아니라 "佐平徒ˇ冬音津 來降", 즉 " 탐라국주(=좌평)의 무리가 동음진(冬音津, 강진)[6]에 와서 항복했다."라는 문장으로 해석했다. 이는 고후 삼형제가 신라에 입조할 때 탐진(강진)을 통했다는 『탐라지』, 『 고려사』기록과도 통한다.[7]

이 시기는 족보상으로는 34대 처량왕(處良王) (658~683) 시기로 기록되어있다.

3. 행적

660년 7월, 의자왕이 항복하고 탐라국의 종주국이었던 백제가 멸망했다. 이듬해 661년 5월 유리도라는 왕자 아파기를 일본에 보냈다. 같은 해 8월에는 본인이 직접 당나라에 가 조공했고, 또 그 다음해인 662년 2월에는 탐라국주 본인이 신라에 항복해 속국이 됐다. 유리도라가 나당연합군 앞에 항복의 제스처를 취한 것으로 보이며, 신라에서는 그 다음달인 3월에 대사면령을 내리고 백제를 평정한 일을 기려 대포(大酺)를 벌였다.

한편 당나라 기록을 참조하면 백제부흥운동에 탐라 사람들이 가담한 흔적이 드러난다. 663년 주류성이 함락되자 왜국 사신과 함께 탐라 사신들이 포로로 잡혔다. 『 신당서』 유인궤전에 따르면 665년 당 고종이 한반도 국가의 추장들을 불러모아 회맹을 맺고 봉선의식을 벌일 때 담라의 추장 역시 유인궤를 따라 당나라에 갔다.[8]

일본서기』에 따르면 꾸준히 일본에도 조공하거나 방물을 바쳤다. 봉선의식이 있던 665년에 조공했고, 이듬해 666년에는 왕자 고여(姑如)를 보내 방물을 바쳤으며, 그 다음해 667년에는 좌평 연마(椽磨)가 방물을 바치고 비단 등을 받았다. 조금 뒤인 676년 기록에는 왕자였던 고여가 탐라 군주로 언급된다. 그 사이에 나타나는 왕자 구마기(久麻伎)·구마예(久麻藝), 도라(都羅), 우마(宇麻) 등이 새 군주 고여의 왕자들이라면 660년대 후반에서 670년대 초반 사이에 왕위가 교체됐을 것으로 보인다.


[1] 그의 아들인 고여가 675년 탐라국왕의 신분으로 일본에 방문한 점을 볼 때, 675년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2] 당회요, 책부원구 [3] 삼국사기 [4] 박남수, 「탐라국의 동아시아 교섭과 신라」, 『탐라문화』 58권,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39쪽. [5] 본래 뜻은 물고기를 20마리씩 한 묶음으로 세는 단위를 일컫지만, 調(토리, 트름)을 훈독할 때도 사용되었다. [6] 강진군은 삼국시대에 동음현(冬音縣)으로 불렸다. [7] 김희만, 「신라와 탐라의 관계기사 재검토 - 문무왕 2년 조와 유인궤전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 28,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289~291쪽. [8] 『삼국사기』에는 국사(國使)가 갔다고 하며, 『 구당서』에서 탐라는 언급조차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