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부천시/정치
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수원 갑 | 수원 을 | 수원 병 | 수원 정 |
김승원 | 백혜련 | 김영진 | 김준혁 | |
수원 무 | ||||
염태영 | 김태년 | 이수진 | 안철수 | |
김은혜 | 박지혜 | 이재강 | 강득구 | |
부천 갑 | 부천 을 | |||
민병덕 | 이재정 | 서영석 | 김기표 | |
부천 병 | 광명 갑 | 광명 을 | 평택 갑 | |
이건태 | 임오경 | 김남희 | 홍기원 | |
평택 을 | 평택 병 | |||
이병진 | 김현정 | 정성호 | 김성원 | |
고양 갑 | ||||
양문석 | 김현 | 박해철 | 김성회 | |
고양 을 | 고양 병 | 고양 정 | ||
한준호 | 이기헌 | 김영환 | 이소영 | |
구리 | ||||
윤호중 | 최민희 | 김병주 | 김용민 | |
오산 | 시흥 갑 | 시흥 을 | 군포 | |
차지호 | 문정복 | 조정식 | 이학영 | |
하남 갑 | 하남 을 | 용인 갑 | 용인 을 | |
추미애 | 김용만 | 이상식 | 손명수 | |
용인 병 | 용인 정 | 파주 갑 | 파주 을 | |
부승찬 | 이언주 | 윤후덕 | 박정 | |
이천 | 안성 | 김포 갑 | 김포 을 | |
송석준 | 윤종군 | 김주영 | 박상혁 | |
화성 갑 | 화성 을 | 화성 병 | 화성 정 | |
송옥주 | 이준석 | 권칠승 | 전용기 | |
광주 갑 | 광주 을 | |||
소병훈 | 안태준 | 김용태 | 김선교 | |
◀
제21대
|
}}}}}}}}} |
대한민국의
국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부천시 갑
원미구 춘의동, 원미동 등, 오정구 일원 富川市 甲 Bucheon A |
}}} | |||
<nopad>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232,632명 (2024) | |||||
상위 행정구역 | 경기도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96년[1], 2020년[2] | |||||
이전 선거구 | 부천시 원미구 갑 (2020년), 부천시 정 (2024년) | |||||
국회의원 |
|
서영석 |
1. 개요2. 선거구 조정의 역사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3.1. 부천시 중구 (13대)3.2. 부천시 중구 갑 (14대)3.3. 부천시 원미구 갑 (15~20대)
3.3.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3.3.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3.3.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3.3.4.
2005년 하반기 재선거3.3.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3.3.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3.3.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3.4. 부천시 갑 (21대~)1. 개요
부천시의 경인선 이북과 수도권 전철 7호선 연선 동부 지역에 해당하며, 부천시 병과 함께 부천시의 원도심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이다.[3] 현재 이곳의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다.원래의 선거구 명칭은 부천시 중구 갑이였는데 부천시의 인구가 증가하고 일반구가 개편되면서 부천시 원미구 갑으로 변경된 것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4]
그러나 20대 총선 이후 부천시의 일반구가 폐지됨에 따라, 제21대 총선부터 부천시 갑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2024년 부천시가 다시 일반구를 롤백함에 따라 다시 '원미구 갑'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원도심 지역의 특성상 연령대가 신도시인 을 선거구보다는 높아서 보수세가 을 선거구보다 강한 편이였으나 과거부터 인접한 구로공단이나 춘의동, 도당동 일대의 중소 공장지대로 인해 호남계열의 외지인 유입이 많아서 민주당세도 만만치 않게 꽤 강했다.[5][6]
현재는 부천대학교를 중심으로한 대학가가 들어서는 등 젊은층, 서민층 인구가 증가하면서 신도시 지역인 을 선거구 보다도 민주당세가 더 강해졌다.[7]
2019년 7월 행정동 통합(광역동)으로 관할 행정동이 단 2곳이 되었는데, 이게 사전투표소 설치와 관련되어 문제가 되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전투표소는 행정동 1개당 1곳이 설치되는데, 부천시에도 예외 없이 이 원칙이 적용되면서 사전투표소가 대폭 축소된 것이다.
그 결과, 21대 총선에서 부천시의 사전투표율(19.71%)은 (시군구 단위로) 경기도내에서는 최저, 전국에서는 달성군에 이어 2번째로 낮았고, 본투표를 포함하더라도 부천시 을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선거구는 전국 평균 투표율을 밑돌았다. 기사 이 문제는 20대 대선에서 해소되었으며, 각 행정동마다 2~5개의 사전투표소가 마련되게 바뀌었다.
2. 선거구 조정의 역사
- 2024년 2월 부천시 인구수 감소에 따른 선거구 재획정으로 부천시 갑도 변화가 생겼다. 기존 부천시 4개 선거구 체제에서 3개로 줄어든 것. 현역 국회의원들이 기자회견을 여는 등 선거구 축소를 저지하기 위해 애썼으나 기사 결국 3개로 줄어드는 안이 2024년 2월 29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다.
부천시 갑(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부천시 갑(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nopad> | <nopad> |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제헌 | 이유선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
1948년 5월 31일 ~ 1950년 7월 28일 | 부천군 |
제2대 | 박제환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50년 5월 31일 ~ 1954년 7월 28일 | |
제3대 | 장경근 |
[[자유당(1951년)|]]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7월 28일 | |
제4대 |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
제5대 | 박제환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 |
제6대 | 옥조남 |
[[민주공화당|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부천군·시흥군·옹진군 |
제7대 | 오학진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
제8대 | 오학진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부천군·옹진군 | |
제9대 | 이택돈 |
[[신민당(1967년)|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부천군·시흥군·옹진군 |
오학진 |
[[민주공화당| |
|||
제10대 | 이택돈 |
[[신민당(1967년)|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17일 | 부천시·안양시·시흥군·옹진군 |
윤국노 |
[[민주공화당| |
|||
제11대 | 신능순 |
|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부천시·김포군·강화군 |
오홍석 |
[[민주한국당| |
|||
제12대 | 안동선 |
|
1985년 4월 11일 ~ 1987년 11월 20일 | |
박규식 |
|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
제13대 | 임무웅 |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부천시 중구 |
제14대 | 안동선 |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부천시 중구 갑 |
제15대 |
[[새정치국민회의|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부천시 원미구 갑 | |
제16대 |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 김기석 |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5년 8월 19일[9] | |
임해규 |
|
2005년 10월 27일 ~ 2008년 5월 30일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김경협 |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부천시 갑 | ||
제22대 | 서영석 |
|
2024년 5월 30일 ~ |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 치러진 13대 총선과 2005년 재보궐선거, 18대 총선을 제외하곤 단 한 번도 보수정당이 의석을 차지한 적이 없을 정도로 최악의 험지이다. 그래도 보수정당이 못 해도 30%대는 나오긴 한다만...
3.1. 부천시 중구 (13대)
13대 총선부터 헌법 개정으로 소선거구제가 시행되었다. 부천시의 인구가 부천, 김포, 강화를 하나로 묶을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며 김포군과 강화군은 따로 선거구를 형성하였다.또한 부천시도 두 개의 선거구로 분구하였고, 일반구 설치명에 따라 중구와 남구 두 개의 선거구로 분구되었다.
3.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중구 부천시 중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무웅(林茂雄) | 38,785 | 1위 |
|
34.22% | 당선 | |
2 | 김길홍(金吉烘) | 20,942 | 3위 |
[[통일민주당| |
18.48% | 낙선 | |
3 | 안동선(安東善) | 37,002 | 2위 |
[[평화민주당| |
32.67% | 낙선 | |
4 | 김정운(金貞雲) | 16,659 | 4위 |
[[신민주공화당| |
14.6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8,237 |
투표율 68% |
투표 수 | 114,405 | ||
무효표 수 | 1,087 |
3.2. 부천시 중구 갑 (14대)
13대 선거에서 부천을 두 지역구로 분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구의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자 중구를 갑, 을 두 지역구로 분구하였다.이에 따라 원종1동, 원종2동, 고강본동, 고강1동, 오정동, 신흥1동, 신흥2동이 중구 을 선거구로 이동하였다.
3.2.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중구 갑 원미1동, 원미2동, 심곡2동, 심곡3동, 도당동, 춘의동, 성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길홍(金吉烘) | 26,300 | 2위 |
[[민주자유당| |
34.2% | 낙선 | |
2 | 안동선(安東善) | 39,082 | 1위 |
|
50.82% | 당선 | |
3 | 이은재(李銀載) | 4,505 | 4위 |
[[신정치개혁당| |
5.85% | 낙선 | |
4 | 신철영(金貞雲) | 7,002 | 3위 |
|
9.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0,369 |
투표율 64.2% |
투표 수 | 70,653 | ||
무효표 수 | 1,058 |
3.3. 부천시 원미구 갑 (15~20대)
부천시의 일반구가 개편되면서 남구에 있던 심곡1동, 역곡1동, 역곡2동, 소사본동에서 분동된 소사동이 원미구로 오면서 이 선거구로 편입되었다. 또한 성곡동이 오정구에 편입되며 오정구 선거구로 이동하였다.3.3.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원미구 갑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허태열(許泰烈) | 22,957 | 2위 |
[[신한국당| |
34.19% | 낙선 | |
2 | 안동선(安東善) | 25,118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7.41% | 당선 | |
3 | 하장보(河庄輔) | 4,885 | 4위 |
|
7.28% | 낙선 | |
4 | 김정기(金丁冀) | 11,842 | 3위 |
[[자유민주연합| |
17.64% | 낙선 | |
5 | 이은재(李銀載) | 2,340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9,139 |
투표율 57.25% |
투표 수 | 68,203 | ||
무효표 수 | 1,061 |
지상파 3사 출구조사에서는 허태열 후보의 압승이 예측됐지만, 개표 결과 안동선 후보가 시종일관 근소한 차의 리드를 유지하면서 3선에 성공했다.
그리고 허태열은 다음해 대선에서 한나라당이 야당으로 전락하자, 이 지역구를 버리고 부산 북구·강서구 을 지구당위원장으로 옮겨간다.
3.3.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원미구 갑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정기(金丁冀) | 22,104 | 2위 |
|
37.92% | 낙선 | |
2 | 안동선(安東善) | 30,494 | 1위 |
[[새천년민주당| |
52.31% | 당선 | |
3 | 하장보(河庄輔) | 5,693 | 3위 |
[[자유민주연합| |
9.7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9,449 |
투표율 49.41% |
투표 수 | 59,021 | ||
무효표 수 | 780 |
3.3.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원미구 갑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해규(林亥圭) | 22,871 | 2위 |
|
33.77% | 낙선 | |
2 | 안동선(安東善) | 7,548 | 3위 |
[[새천년민주당| |
11.14% | 낙선 | |
3 | 김기석(金起碩) | 31,595 | 1위 |
[[열린우리당| |
46.65% | 당선 | |
4 | 이근선(李根善) | 5,712 | 4위 |
[[민주노동당| |
8.4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7,763 |
투표율 53.45% |
투표 수 | 68,284 | ||
무효표 수 | 558 |
3.3.4. 2005년 하반기 재선거
부천시 원미구 갑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상수(李相洙) | 12,851 | 2위 |
[[열린우리당| |
33.51% | 낙선 | |
2 | 임해규(林亥圭) | 19,424 | 1위 |
|
50.50% | 당선 | |
3 | 조용익(趙甬翼) | 3,195 | 3위 |
[[민주당(2005년)| |
8.31% | 낙선 | |
4 | 이근선(李根善) | 1,295 | 4위 |
[[민주노동당| |
3.37% | 낙선 | |
6 | 안동선(安東善) | 1,166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03% | 낙선 | |
7 | 정인수 | 495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3,603 |
투표율 28.94% |
투표 수 | 38,662 | ||
무효표 수 | 236 |
여담으로 당시 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조용익 후보는 17년 뒤인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부천시장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10]
3.3.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원미구 갑 원미1동, 원미2동, 역곡1동, 역곡2동,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도당동, 춘의동, 소사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경협(金炅俠) | 17,144 | 2위 |
[[통합민주당(2008년)| |
33.16% | 낙선 | |
2 | 임해규(林亥圭) | 26,761 | 1위 |
|
51.76% | 당선 | |
3 | 안동선(安東善) | 3,892 | 3위 |
[[자유선진당| |
7.53% | 낙선 | |
5 | 백선기(白銑基) | 2,900 | 4위 |
|
5.61% | 낙선 | |
6 | 김경림(金京林) | 1,007 | 5위 |
[[평화통일가정당| |
1.9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8,345 |
투표율 37.71% |
투표 수 | 52,165 | ||
무효표 수 | 461 |
3.3.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원미구 갑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해규(林亥圭) | 27,585 | 2위 |
[[새누리당| |
40.77% | 낙선 | |
2 | 김경협(金炅俠) | 33,397 | 1위 |
[[민주통합당| |
49.36% | 당선 | |
6 | 류재선(柳在先) | 2,66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93% | 낙선 | |
7 | 김기석(金基錫) | 4,013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9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3,120 |
투표율 47.69% |
투표 수 | 68,255 | ||
무효표 수 | 598 |
부천시 원미구 갑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임해규 | 김경협 | 격차 |
전체 | 40.9% | 52.2% | 11.3%p |
3.3.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원미구 갑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음재(李崟宰) | 25,788 | 2위 |
[[새누리당| |
34.65% | 낙선 | |
2 | 김경협(金炅俠) | 31,582 | 1위 |
|
42.43% | 당선 | |
3 | 황인직(黃仁稙) | 17,055 | 3위 |
[[국민의당(2016년)| |
22.9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3,513 |
투표율 52.50% |
투표 수 | 75,346 | ||
무효표 수 | 921 |
부천시 원미구 갑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이음재 | 김경협 | 격차 |
전체 | 35.4% | 41.4% | 6.0%p경합 |
3.4. 부천시 갑 (21대~)
부천시가 일반구를 폐지하면서 선거구명이 부천시 갑으로 바뀌었다.3.4.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갑 부천동, 심곡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경협(金炅俠) | 48,002 | 1위 |
|
59.17% | 당선 | |
2 | 이음재(李崟宰) | 29,266 | 2위 |
[[미래통합당| |
36.07% | 낙선 | |
6 | 김선자(金善子) | 2,994 | 3위 |
[[정의당| |
3.69% | 낙선 | |
7 | 조은지(趙恩志) | 856 | 4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1.0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8,380 |
투표율 59.41% |
투표 수 | 82,208 | ||
무효표 수 | 1,090 |
||<-5><tablealign=center><bgcolor=#004ea2><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 21대 총선 경기 부천시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경협 | 이음재 | ||
득표수 (득표율) |
48,002 (59.17%) |
29,266 (36.07%) |
+18,736 (△23.10) |
83,176 (65.39%) |
심곡동[A] | 57.14% | 37.82% | △19.32 | 52.81 |
부천동 | 58.41% | 37.19% | △21.22 | 58.38 |
부천시 갑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김경협 | 이음재 | 격차 |
전체 | 58.7% | 36.2% | 22.5%p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미래통합당에서는 이음재 전 당협위원장이 홀로 공천을 신청했고, 단수공천을 받았다.[12]
정의당에서는 김선자 부천시 오정구 지역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이 출마했다.
선거 결과 김경협 의원이 59%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20대 총선 때 국민의당으로 흘러갔던 중도표를 대부분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음재 후보의 득표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3.4.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부천시 갑 오정구 일원[13] + 원미구 도당동, 춘의동, 원미1동, 원미2동,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서영석(徐暎錫) | 85,815 | 1위 |
|
61.13% | 당선 | |
2 | 김복덕(金福德) | 54,556 | 2위 |
|
38.8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32,632 |
투표율 61.23% |
투표 수 | 142,442 | ||
무효표 수 | 2,071 |
||<-8><tablealign=center><bgcolor=#152484><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 22대 총선 경기 부천시 갑 개표 결과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서영석 | 김복덕 | |||||
득표수 (득표율) |
85,815 (61.13%) |
54,556 (38.86%) |
+31,256 (△22.26) |
142,442 (61.23%) |
|||
오정구 개표 결과 | |||||||
성곡동[14] | 60.86% | 39.13% | △21.73 | 62.72 | |||
원종1동 | 61.28% | 38.71% | △22.57 | 58.85 | |||
원종2동 | 61.67% | 38.32% | △23.35 | 54.79 | |||
고강본동 | 60.84% | 39.15% | △21.69 | 55.65 | |||
고강1동 | 61.63% | 38.36% | △23.27 | 62.71 | |||
오정동[15] | 60.31% | 39.68% | △20.63 | 64.12 | |||
원미구 개표 결과 | |||||||
춘의동[16] | 59.24% | 40.75% | △18.49 | 59.72 | |||
도당동 | 60.97% | 39.02% | △21.95 | 58.39 | |||
원미1동[17] | 59.70% | 40.29% | △19.41 | 62.46 | |||
원미2동 | 55.67% | 44.32% | △11.35 | 61.36 | |||
심곡1동[A] | 59.31% | 40.68% | △18.63 | 53.63 | |||
심곡2동 | 61.38% | 38.61% | △22.77 | 48.83 | |||
심곡3동 | 57.62% | 42.37% | △15.25 | 56.31 | |||
후보 | 서영석 | 김복덕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60.62% | 39.37% | △21.25 | ||||
관외사전투표 | 67.78% | 32.21% | △35.57 | ||||
재외투표 | 79.47% | 20.52% | △48.95 |
부천시 갑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서영석 | 김복덕 | 격차 |
전체 | 58.9% | 41.1% | 17.8%p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선거구 획정 결과 부천시 선거구가 4개에서 3개로 줄어들면서 기존 부천시 갑 지역 중 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이 부천시 병에 편입되고, 부천시 정 선거구였던 오정구 전역이 기존 부천시 갑 일부와 합쳐졌다. 개편된 선거구는 옛 '부천시 중구'와 거의 일치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지역구 현역 김경협 의원, 선거구 획정으로 인해 사라진 부천시 정의 현역 서영석 의원과 비례대표 유정주 의원이 경선을 치르는 것으로 결정되며 현역 의원 3명이 경선을 치르게 됐다.[19]
3월 13일 경선에서 김경협 의원이 탈락했고, 3월 17일 결선에서 유정주 후보를 이기고 서영석 의원이 최종 후보가 되었다. 오정구를 기반으로 원미구 일부가 붙는 것으로 선거구가 획정된 만큼 예상된 결과였지만 비례대표인 유정주 의원이 결선에 진출한게 의외였다.
국민의힘은 기존 서울 서초구 을이 지역구였던 박성중 의원이 부천시 을에 전략공천됨에 따라 을구에서 컷오프된 김복덕 재정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을 전략공천했다.
한편 김복덕 후보는 1,446억원대의 재산을 신고하며 22대 총선 지역구 출마 후보 중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후보가 되었다.
개표 결과 예상대로 서영석 의원이 60%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20] 김복덕 후보는 이번 총선에서 부천에 출마한 다른 국민의힘 후보들과는 달리 부천에 비교적 연고가 있는 편이었지만 본래 출마하려던 을 지역구가 아닌 옆 지역구에 출마했기 때문에 큰 차이로 낙선하고 말았다.
[1]
부천시의 일반구가 개편되면서 부천시 중구 갑에서 부천시 원미구 갑으로 선거구명 변경
[2]
부천시의 일반구 폐지로, 선거구명 변경
[3]
소설가
양귀자 씨의 소설
원미동 사람들로 유명해진
원미동이 이 선거구 관할이다.
[4]
사실 부천시 중구 갑 선거구는 예전 원미구 지역인 부천시 갑과 을을 합쳐놓은 것에 가까웠다. 이후 부천시의 일반구가 개편되어 중구가 원미구와 오정구로 분구되고 원미구 지역의 인구가
중동신도시 개발로 인해 크게 늘어나면서 기존의 원도심 지역을 갑 선거구로, 중동신도시 지역을 을 선거구로 개편한 것이 현재의 선거구이다.
[5]
이외에도 동교동계 출신 정치인인
안동선의 영향력도 한 몫 했었고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이나
인천 5.3 항쟁 등으로 과거 5공정권의 민주화 탄압이 많이 일어났던 것도 선거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6]
반대로 예전 소사구 지역인
부천시 병은 산이 많다는 특성상 외지인 유입이 적어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더 강했었다. 상도동계 출신인
최기선이 당선되기도 했었고 과거 노동운동의 거목이였던
김문수의 존재로 인해 19대 총선 이전까지 14대 총선을 제외하고 보수정당이 모두 승리하기도 했었다.
[7]
오히려 중동신도시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르고 초고층/대형평수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을 선거구가 스윙보터 성향에 더 가까워졌다. 고소득층, 자영업자가 많아서 그만큼 부동산 이슈, 세금문제 등에 더 민감하기 때문이다.
[8]
오정구 전역
[9]
당선 무효
[10]
참고로 2008, 2012년에도 해당 지역에 공천을 신청했는데,
김경협 지역위원장에게 밀려 탈락했고,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부천시장 공천을 신청했으나,
장덕천 변호사에게 밀려 낙천되었는데, 네 번째 도전 끝에 공천장을 따내었다.
[A]
부천대학교가 있는 동네.
[12]
이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낸 임해규 前 의원은 원미구 을로 이동했다.
[13]
성곡동, 원종1동, 원종2동, 고강본동, 고강1동, 오정동
[14]
부천오정경찰서가 있는 동네.
[15]
오정구청이 있는 동네.
[16]
부천종합운동장이 있는 동네.
[17]
원미구청이 있는 동네.
[A]
[19]
인구 구성만 보면 부천시 정(오정구) 지역에 원미구 일부가 흡수된 구성이다.
[20]
기존 부천시 정 지역구는 보수정당이 한 번도 차지하지 못한 험지이며, 기존 부천시 갑도 지난 총선에서 김경협 의원이 20% 이상 차로 승리한 지역구이다. 게다가 서영석은 3선 시의원, 초선 도의원을 지내며 재선 시장 출신인
김만수를 경선에서 이길 정도로 강력한 기반을 갖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