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1:02:38

워 썬더 모바일/지상 병기/독일 트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워 썬더 모바일

1. 개요
1. 1랭크 (4호 전차 F2형 소대)2. 2랭크 (4호 전차 G형 소대)3. 4랭크 (티거 H1형 소대)4. 5랭크 (판터 D형 소대)5. 6랭크 (판터 F형 소대)6. 7랭크 (레오파르트 I 소대)7. 8랭크 (레오파르트 A1A1 소대)

1. 개요

워 썬더 모바일의 지상 병기 독일 장비에 대해 서술

1. 1랭크 (4호 전차 F2형 소대)


4호 전차 F2, 4호 전차 F1, 3호 전차 L, Sd.Kfz. 251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장갑이 빈약해 뭐 하나 맞으면 뚫리는데다 장포신 75mm 43구경장 주포, 일명 장포신 75mm를 장비한 F2형을 제외하면 우회플레이나 약점사격이 강제되는 탓에 보통은 T-34 소대가 더 추천되는 편이다.

2. 2랭크 (4호 전차 G형 소대)


4호 전차 G형과 H형, 3호 돌격포 G, 비르벨빈트로 구성된 소대.

이전 티어에 비해 장갑도 늘어났고 관통력도 향상되었지만 포탑장갑은 그대로라 웬만해선 숭숭 뚫리는 것은 여전하다. 그래도 4호 G형 H형이 모두 75mm 43구경장 주포를 가져가게 되어 관통력 면에서는 숨통이 좀 트이긴 하나, 보통 이 랭크대 전투에서 돌아다니는 게 떡장의 KV-1, T1E1 같은 중전차들이다 보니 관통력을 과신하지 않는 게 좋다.

3. 4랭크 (티거 H1형 소대)


6호 전차 티거 H1, 38t 구축전차(헷처), VK 30.02(M)(일명 만터), 오스트빈트로 구성된 소대.

티거 H1의 성능은 높게 솟은 큐폴라를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좋다. 단순히 차체 모서리를 적을 향해 돌릴 줄만 알아도 동랭크 탄 대부분을 튕겨낼 수 있으며, 88mm 주포는 관통력도 동랭크 전차 대부분을 무리없이 뚫어제낄 수 있는 수준. 다만 조작이 구린 모바일 환경이라 티타임을 정확하게 주기가 좀 더 까다롭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워 썬더 PC버전에선 보통 관통력이 더 적어도 작약량이 더 많아 폭압이 적용되어 관통 시 피해량이 더 높은 PzGr. 탄을 주력탄으로 쓰며, 중장갑 적에 대비해 PzGr.39탄 챙겨가지만, 모바일에선 가지고 나갈 수 있는 포탄이 최대 2종류 뿐이므로 경장갑차 상대 시 불리함을 감수하고 철갑탄 2종류로 채울지, 경장갑 사냥을 위한 고폭탄을 챙길지는 플레이어의 선택.

단점은 다른 차량들 성능이 미묘하다는 것. 헷처는 작은 맵+아케이드 고정이라는 모바일 환경 특성상 특기인 작은 크기와 그곳에서 나오는 은신 능력을 활용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만터는 판터의 고관통 75mm 70구경장 주포를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은 장점이지만, 낮은 관통 후 피해와 얇은 정면장갑, 느린 포탑 회전 속도 때문에 아케이드 환경인 모바일에서는 굴리기가 어렵다.

4. 5랭크 (판터 D형 소대)

판터 D형, 티거 2(P), 4호 구축전차 L/70(V)(일명 포마그), 오스트빈트 2로 구성된 소대.

이전 H1 소대에 비해 전차들 성능이 향상되어 이제 다들 제 구실을 할 수 있다.

판터 D형은 튼튼한 정면 장갑과 관통력이 우수한 75mm 70구경장 주포를 앞세워 동 티어 중형전차 간 대결에서 보통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소대의 주력 전차 중 한 대다. 차체 장갑과 달리 포탑은 대전기 독일 전차들이 다 그렇다시피 뚫리기 쉽고 관통 후 피해량도 만터에서 경험했듯이 좋은 편은 아니지만, 웬만한 곳은 쏘면 대부분 뚫어제낄 수 있어 포탑 선회가 느리다는 점을 빼면 큰 불편함 없이 운용할 수 있다. 측면이 겨우 40mm라 측면을 보였다간 쉽게 뚫려버리니 티타임은 주지 말아야 한다.

티거 2(P)는 흔히 포르쉐 포탑이라고 불리는 초기형 포탑을 장비한 티거 2로, 보통 판터 D형과 함꼐 이 소대의 주력 전차로 꼽힌다. 88mm 71구경장 주포는 5랭크 기준 관통력, 관통 후 피해량, 탄속이 모두 굉장히 뛰어난 고성능 주포라 대전차 성능은 매우 뛰어나지만, 6랭방에 끌려갈 경우 88mm 71구경장 주포를 튕길 만한 전면 장갑을 지닌 T-44-100이 자주 돌아다니고, 정면에선 이빨도 안 먹히는 IS-3, T95 등의 전차들이 등장하는 탓에 상대를 봐 가며 싸울 필요가 있다.
차체 전면 장갑은 상단은 6랭크도 쉬이 못 뚫을 정도로 튼튼하고 하단은 변속기가 파편을 다 먹어버려 폭압사 당하거나 화학탄에 공략당하는 게 아닌 이상 굉장히 튼튼하지만, 포탑 장갑이 형상상 샷트랩을 발생시킬 위험을 가진 포르쉐 포탑인데다 이를 빼고 봐도 겨우 100mm로 얇아 150mm 정도 관통력만 있으면 안정적으로 뚫리며, 포탑 뒤쪽에는 즉응탄이 놓이기 때문에 대놓고 서 있다가는 포탑 맞고 탄약이 유폭되어 털리니 주의해야 한다. 차체부터 내놓고 포탑 노출은 최대한 줄이는 식의 플레이가 필수적이다.

4호 구축전차는 판터와 같은 포를 장비하고 있어 관통력 면에서는 문제가 없다. 다만 장갑은 더이상 해당 랭크에서 먹히는 수준은 아니므로 특유의 고탄속 고관통을 이용한 중장거리 저격을 필요로 한다. 오스트빈트 2는 슬슬 측면 80mm대 전차들이 많이 나오기 시작해 적 전차 측후면 관통이 어려운 관계로 평범한 대공전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통상적인 매치에선 판터 D형/티거 2(P)/포마그 셋을 주로 뽑게 되는 편.

5. 6랭크 (판터 F형 소대)

판터 F형(일명 슈말투름 판터), 티거 2(H), 야크트티거, 그리고 쿠겔블리츠로 구성된 소대. 5랭 판터 D형 소대도 소대 전차들 대다수를 써먹기 좋을 정도로 성능이 출중했지만, 판터 F형은 한 술 더 떠 소대의 모든 전차가 특별화된 면이 하나씩 있고, 넷 모두 성능이 준수해 버릴 전차가 없다 보니 정규 트리 6랭 소대 중에선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받는다. 전체적인 구성이 프리미엄 소대인 Sla.16 탑재형 티거 2(H) 소대의 상위호환격이다.

판터 F형은 기존 판터들의 연장선으로, 공격 성능에 큰 변화가 없는 관계로 떡장 전차에겐 이빨이 잘 안 박히기 시작하나, 6랭방에서도 손꼽히는 떡장 전차들 정도를 상대할 때를 제외하면 여전히 부족하진 않은 공격력을 지녔다. 장갑은 랭크 대비 성능이 내려갔는데, 차체 장갑은 판터 D형과 큰 차이가 없어, 상대적으로 높은 경사 보정으로 정면 장갑을 종잇장처럼 뚫는 소련 100/122mm들 상대로는 더이상 방호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포탑 장갑은 포방패 및 포탑 형상이 바뀌면서 샷트랩이 사라진 대신 정면이 수직 120mm에 근접하는 저경사 장갑으로 바뀌면서 포탑 정면 장갑이 취약해지는 등가교환을 했다(...) 기동성은 최고 속력이 표기상 +55/-4km, 실전에선 60km까지도 나오는 판터 D형과 달리 표기상 +46/-3km, 실질적으로 +50/-4km 정도로 대폭 하락하고 추중비도 1 낮아져 악화되었으나, 포탑 선회만큼은 초당 10도 가까이 빨라진 관계로 순발력은 좋아졌다. 빨라진 포탑 선회와 여전히 어지간한 전차에겐 이빨이 먹히는 70구경장 7,5cm 주포 특유의 화력을 살려 플레이하게 되며, 준 중전차급 방호력으로 어느 정도 탱킹도 하던 기존 판터와 달리, 타 중형전차들처럼 우회 플레이를 하거나 적의 화력이 빠졌을 때 기습하는 등 좀 더 통상적인 중형전차에 가까운 플레이가 요구된다. 6랭방에도 정면에서 이빨이 안 박히는 전차들이 많은 관계로 타 판터들보다 우회플 의존도가 높아졌다. 상대하게 되는 동랭크대 중형전차들이 T-44-100/FV4202처럼 통상시 또는 조건부 탱킹력이 판터 이상에 화력도 더한 놈들이고, 7랭방으로 가면 아예 판터로 이빨도 안 박히거나 판터를 종잇장으로 만드는 냉전기 주력전차들이 나오므로 셔먼/T-34-85 등을 만나던 판터 D형보다 체감상 성능이 떨어지는 편.

티거 2(H)는 5랭크의 티거 2(P)의 연장선이다. 화력/차체 방호력/기동성 모두 변화가 없지만, 포탑이 소위 헨셸 포탑으로 불리는, 정면이 수직에 가까운 185mm 저경사 장갑으로 바뀌면서 샷트랩도 사라지고, 수직 관통력 190mm 이하인 전차들에게 의문사 당하는 일은 거의 없어졌다. 포방패도 대형화된 관계로 185mm 장갑인 면적이 기존 티거 2(P)에서 관통되던 면적보다 소폭 작아진 건 덤. 다만 이 185mm 장갑부는 평균 관통력이 수직 200mm를 넘기는 6랭크급 전차들의 관통력으로는 포탄이 포방패나 차체 상단이 착탄하지 않는다면 관통 가능한 수준이고, 티거 2(P)가 그랬듯이 포탑 후방에 준비탄 탄약고가 위치해 포탑 정면이 관통당하면 최소 포탑 승무원 상당수 몰살, 최대 유폭으로 즉사하니 포탑 정면이 취약한 건 여전하다. 71구경장 8,8cm 주포 관통력도 6랭크대 전차 기준으로는 평균치에 가깝고 살상력도 더 높은 100+mm대 주포들이 나오기 시작해 공격력의 우위도 사라졌고, 6랭방에는 8,8cm으로는 정면에 이빨이 아예 안 박히는 IS-3와 작은 약점을 노리면 이빨까진 박히나 공격력 우위로 티거 2(H)를 정면 교전에서 찢어발기는 야크트티거나 T95 등이 자주 돌아다녀 운용 난이도가 높아졌다. 7랭방에 끌려가면 정면에선 대전기 철갑탄 절대다수로는 공략이 불가한 T-54 시리즈 및 T-10A 같은 대전기~냉전 초기 소련 중형/중전차들, 티거 2 계열 상판을 손쉽게 관통하는 화학탄들, 그리고 티거 2(H) "따위"로는 측면에서 기습하는 게 아닌 이상 감히 상대할 염두를 못 내는 치프틴 Mk 3[1]이나 측면도 각이 조금이라도 들어가면 8,8cm조차 안 박히는 마우스 등의 괴수들이 돌아다니다 보니 고생할 것이다. 그래도 6랭방에서라면 약점이나 정면 관통이 쉬이 안 되는 전차들만 숙지하면 부족할 것 없는 성능을 내므로 성능 자체가 딸리는 전차는 전혀 아니다. 티거마냥 APHE 폭압킬만 못 낼뿐 포탄 자체의 살상력은 높아 일단 관통만 한다면 최소 부품 대다수 파괴/승무원 상당수 사살은 보장해준다.

야크트티거는 6랭크 기준으로도 대구경인 12,8cm Pak 44를 사용하고, 티거 2 계열 차체에 정면 전투실은 수직에 가깝지만 250mm 이상이라는 떡장을 자랑하는 관계로, 6랭크 전체를 통틀어봐도 최상위급 단발 화력과 떡장을 자랑한다. 비록 재장전이 20초 가까이 걸릴 정도로 길지만, 12,8cm이라는 무식한 구경 덕에 60도 장갑 상대로도 100mm를 넘기는, 구식 철갑탄치고 높은 경사 보정에, 수직 장갑을 270mm나 관통하면서 작약량도 800g에 근접해 관통 시 폭압킬을 보장해주며, 탄속마저 900m/s를 넘기는 APCBC는 각만 좋다면 중근거리에서 7랭크의 T-54 계열의 포탑 전면이나 소련 중전차들의 차체 정면 하단, 심지어 각 안 둔 마우스의 포탑 정면 수직 232mm 장갑부까지 관통하는 미친 화력을 자랑한다. APCBC로 안 뚫리는 전차는 관통력 37mm짜리 고폭탄으로 폭압킬할 수 있다. 여기에 기관총구를 제외하면 수직 260mm를 한참 넘기는 관통력의 포탄을 맞지 않는다면 관통이 어려운 정면 장갑이 겹쳐, 정면에서만큼은 6랭크 최강의 전차라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티거 2(H)보다도 늘어난 중량으로 인해 추중비가 9로 초중전차들 뺨치는 수준이고, 그만큼 직후진이던 선회던간에 티거 2들보다도 한참 느려터졌는데 무포탑 구축전차라 반응성이 답도 없고, 티거 2(H)보다도 덩치가 큰 전차면서 측면은 여전히 80mm에 한참 넓어 우회플이나 기습에 극단적으로 취약한, 한계는 명확한 전차다. 7랭크는 물론이고 6랭크에도 IS-3처럼 APCBC로도 안 뚫리는 전차가 있긴 한 건 덤. 물론 이를 다 감안해도 6랭방에선 정면 교전 한정 최강급인 전차이고, 이 소대 전차들 중에선 7랭방에서도 확실히 먹힐 만한 화력을 지닌 단 둘 뿐인 전차라 운용 가치가 높다.

쿠겔블리츠는 꽤나 훌륭한 대전차 능력을 갖춘 대공전차로, 수직 관통력이 90mm를 넘어가는 HVAP-T 탄띠를 사용할 수 있어 상대로 만나는 전차들 대다수의 측면, 경전차라면 정면까지도 관통할 수 있으며, 이를 0.1초마다 사격하다 보니 이게 대공전차인지 구축전차인지 헷갈릴 정도의 화력을 자랑한다. 대놓고 바로 옆에서 공격하는 게 아닌 이상 사실상 90mm 이상의 방호력이 나오는 측면 80mm 이상인 중형/중전차들의 측면이 안 뚫릴 때가 있긴 하나, 그 이하급은 아무 문제 없이 뚫어버리고, 무엇보다도 어지간한 경전차/장갑차들은 정면에서 찢어발기는 관계로 7랭의 팰컨이나 7/8랭의 AMX-30 DCA처럼 하라는 대공은 안 하고 대전차/대장갑차전으로 더 자주 사용하게 될 것이다. 포지션이 대공전차인 만큼 대공 능력도 충실하게 갖추고 있는데, HVAP-T 탄띠 구성이 HVAP-T>HEI-T>HEI-T 식으로 대공용 고폭탄이 섞여있는 구성이라 대기갑과 대공 모두 가능한 구조[2]라 탄띠를 바꿀 필요도 없다. 다만 이런 대공전차들이 다 그렇듯이 장갑은 경전차 수준으로 약하고, 쿠겔블리츠는 4호 전차 베이스인 만큼 직후진이 +39/-7km에 추중비도 12 정도로 썩 빠르진 않으니 AMX-30 DCA마냥 초반부터 미친듯이 달려가 자리잡고 30mm 기관포로 지나가는 적 전차들 측면을 갈아버리는 플레이에는 한계가 있다. 대공 능력이 있는 느린 경전차 정도로 굴리게 되는 물건. 6랭방에서도 이빨이 먹히긴 하지만 측면이 80mm대 이상인 대전기 최후반 전차들이 꽤 많이 나오는 6랭방보단 전차들이 전반적으로 경장갑화되어 쿠겔블리츠 관통력으로 측면 관통이 더 용이해진 7랭방에서 상대적으로 더 활약하는 편이다. 고로 7랭방에선 야크트티거와 함께 소대의 주력 전차로 열일하게 된다.

6. 7랭크 (레오파르트 I 소대)

7. 8랭크 (레오파르트 A1A1 소대)


[1] 그도 그럴 게 티거 2(H)의 본가 BR은 아케이드/리얼리스틱 기준 6.7이고 치프틴 Mk 3는 8.7으로, 현 워 썬더 모바일 7랭 전차들 중 AMX-30 DCA와 함께 본가 BR이 가장 높다. BR이 2.0이나 차이나니 치프틴이 대놓고 측면이나 하단 내놓고 "나 죽여줘요" 하는 게 아닌 이상 상대가 안 되는 게 당연지사. 애초에 치프틴은 준 날탄급 경사보정의 APDS로 티거 2(H)의 차체 정면조차 손쉽게 뚫어재낀다. [2] 다만 탄띠의 2/3이 대공용 고폭탄이라 그만큼 대전차 화력이 생각보단 덜 나온다는 약간의 아쉬운 점도 있다. 탄띠의 절반이 철갑탄 계열인 팰컨/AMX-30 DCA의 APDS 탄띠와 비교해보면 랭크 차이를 감안해도 쿠겔블리츠 측의 살상 속도가 확연히 열세인 걸 볼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