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2:53:42

요코하마 아레나

요코아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분류 공연장
스타디움
(30,000명~72,000명)
닛산 스타디움 | 도쿄 국립경기장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니가타 스타디움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 나가이 육상경기장 |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미야기 스타디움 | 한신 고시엔 구장 | 도요타 스타디움 | 메이지진구 야구장 | 홋토못토 필드 고베 | 히로시마 시민구장 | 요코하마 스타디움 | ZOZO 마린 스타디움

(30,000명~50,000명)
도쿄 돔 | 삿포로 돔 | 교세라 돔 오사카 | 후쿠오카 PayPay 돔 | 반테린 돔 나고야 | 오이타 스포츠공원 종합경기장 | 베루나 돔
아레나
(6,000명~30,000명)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나고야시 종합체육관 | 요코하마 아레나 | 오키나와 아레나 | 아리아케 아레나 | 마쿠하리 멧세 | 일본 무도관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마린 멧세 후쿠오카 | 그린 돔 마에바시 | 미에 현영 선 아레나 | 마코마나이 세키스이 하임 아이스 아레나 | 도쿄 체육관 | K-아레나 요코하마 | 피아 아레나 MM

(1,500명~10,000명)
코라쿠엔 홀 | 오사카 성 홀 | 시부야 공회당 | 퍼시피코 요코하마 국립대홀
라이브 하우스
(1,000명~3,000명)
Zepp | STUDIO COAST | BLITZ
야외 스테이지
(20,000명~200,000명)
후지큐 하이랜드 }}}}}}}}}

파일:SeibuGroup_logo.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acc 0%, #007acc 20%, #007acc 80%, #007ac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행 계열사
지주회사 <colbgcolor=#fff,#1f2023> 세이부 홀딩스
교통사업 세이부 철도 | 세이부 버스 | 세이부 관광버스 | 세이부 하이어 | 세이부 종합기획 | 오미 철도 | 오미 택시 | 코코쿠 버스 | 이즈하코네 철도 | 이즈하코네 교통 | 이즈하코네 버스 | 이즈하코네 택시
유통사업 츠치야마 고속도로서비스 | PePe | BIG BOX | Emio | TOMONY | 카루이자와 프린스 호텔프라자 | 나스 가든 아울렛 | 사야마 소바 | 이케부쿠로 쇼핑파크 | 치치부 소바 | 토와운수
호텔·리조트 사업 세이부 프린스 호텔 월드와이드 ( 프린스 호텔) | 카와나 호텔 | 도큐 쉐어링 | 이즈 관광호텔 | 르네사 | 우에다 도큐 REI 호텔
건설·정비 사업 세이부 전설공업 | 세이부 리얼티 솔루션즈 | 세이부 조원 | 세이부 SCCAT | 세이부 녹화관리 | 요코하마 녹지 | 에코다역 정비 | 시모이구사역 정비 | 노가타역 정비 | 히가시나가사키역· 시나마치역 정비 | 타마가와 개발 | 고시샤 | 요도세이
레저사업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SEIBU 프린세스 라빗츠 | 프린스 아이스월드 | 세이부 레크리에이션 | 세이부엔유엔치 | 베루나 돔 | 사야마 스키장 | 토코로자와노 유리엔 | 세이부엔 골프장 | 세이부엔 경륜장 | 레이크사이드파크 미야자와코 | 토시마엔 니와노유 | 히가시후시미 아이스아레나 | 신요코하마 스케이트센터 | 오이소 롱 비치 | 하코네엔 나에바 스키장 | 이즈·미토 시 파라다이스 | 요코하마 아레나 | 센다이 우미노모리 수족관
서비스 사업 세이부 여행 | 세이부 애완동물 케어 | 세이부 철도 서비스 | 세이부 팔레트 | 타마가와 보트시스템 | 타마 리넨
과거 계열사
교통사업 세이부 코겐버스 | 줏고쿠토게 주식회사 | 아시노코 유람선
유통사업 세이부 타나시 스테이션 빌딩 | 세이부 사야마 스테이션 빌딩 | 세이부 무사시세키 스테이션 빌딩 | 세이부 식선시 | 세이부 DPE | 프린스 데리카
레저사업 세이부 철도 아이스하키부 | SEIBU 프린스 라빗츠 | 프린스 호텔 경식 야구부 | 유네스코무라 | 토시마엔 | 카루이자와 스케이트센터 | 치치부 뮤즈 파크 }}}}}}}}}}}}

파일:요코하마 아레나 외부.jpg

외부
파일:요코하마 아레나 내부.jpg

내부
<colbgcolor=#0057A8,#010101><colcolor=#FFFFFF,#DDDDDD> 요코하마 아레나
[ruby(横浜, ruby=よこはま)]アリーナ | Yokohama Arena
파일:요코하마 아레나 로고 이미지.jpg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종류 공연장
개장 1989년 4월 1일
수용 인원 17,000명
연면적 45,800m²
규모 아레나
운영 주식회사 요코하마 아레나
위치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신요코하마 3쵸메 10번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가는길3. 특징4. 내부시설
4.1. 1층(외부)4.2. 1층(내부)4.3. 2층4.4. 3층

[clearfix]

1. 개요

1989년 4월 1일에 개장한 다목적 이벤트 홀.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다.

운영 주체는 주식회사 요코하마 아레나이다. 약칭은 요코아리. 운영주체는 세이부 그룹 소속이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이벤트 일정을 볼 수 있다.

2. 가는길

요코하마선/ 도카이도 신칸센 신요코하마역에서 도보로 접근할 수 있다.

도쿄역에서 접근할 때는 신칸센을 이용하면 편리하긴 하지만(18분 소요), 운임 510엔 + 자유석특급요금 870엔 도합 1,380엔이 필요하다. 도카이도 신칸센은 교통카드만 가지고는 이용할 수 없으니 출발하는 JR 역에서 반드시 종이 승차권을 구매해야 한다. 도카이도 본선 - 요코하마선 경유로 갈 경우 약 40분 정도 걸리고 운임 570엔(교통카드 561엔)이 필요하다.

도큐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JR 직통선의 개업으로 신칸센을 타지 않아도 도쿄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시부야역[1], 메구로역[2]에서 환승없이 신요코하마역으로 갈 수 있으며, 직행으로 가는 열차가 없더라도 무사시코스기역 등에서 환승해서 비교적 저렴하게 신요코하마역으로 빠르게 갈 수 있다. 시부야역에서는 26분, 메구로역에서는 23분 정도 소요되나, 시부야역은 직통 열차가 한 시간에 두 대 정도로 적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운임은 시부야, 메구로 모두 360엔이다.

3. 특징

최대 수용 17,000명 규모로 콘서트나 스포츠가 열리는 회장이다. 콘서트 대관 시에는 무대 구조에 따라 12,000석 가량으로 구성되고, 무대 뒷좌석도 관람할 수 있게 구성할 경우에는 15,000명까지 입장이 가능하다. 신일본 프로레슬링도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열리고, 매년 성년의 날에 요코하마 시의 성인식이 개최되는 곳이기도 하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분류 공연장
스타디움
(30,000명~72,000명)
닛산 스타디움 | 도쿄 국립경기장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니가타 스타디움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 나가이 육상경기장 |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미야기 스타디움 | 한신 고시엔 구장 | 도요타 스타디움 | 메이지진구 야구장 | 홋토못토 필드 고베 | 히로시마 시민구장 | 요코하마 스타디움 | ZOZO 마린 스타디움

(30,000명~50,000명)
도쿄 돔 | 삿포로 돔 | 교세라 돔 오사카 | 후쿠오카 PayPay 돔 | 반테린 돔 나고야 | 오이타 스포츠공원 종합경기장 | 베루나 돔
아레나
(6,000명~30,000명)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나고야시 종합체육관 | 요코하마 아레나 | 오키나와 아레나 | 아리아케 아레나 | 마쿠하리 멧세 | 일본 무도관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마린 멧세 후쿠오카 | 그린 돔 마에바시 | 미에 현영 선 아레나 | 마코마나이 세키스이 하임 아이스 아레나 | 도쿄 체육관 | K-아레나 요코하마 | 피아 아레나 MM

(1,500명~10,000명)
코라쿠엔 홀 | 오사카 성 홀 | 시부야 공회당 | 퍼시피코 요코하마 국립대홀
라이브 하우스
(1,000명~3,000명)
Zepp | STUDIO COAST | BLITZ
야외 스테이지
(20,000명~200,000명)
후지큐 하이랜드 }}}}}}}}}


공연장으로써는 무도관과 함께 메이저 입성의 척도로 인정받고 있다. 과거 이벤트 기록 열람에 따르면 개장 첫날 공연으로 마츠토야 유미가 4일간 콘서트를 한 것이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가요 콘서트 목적으로 처음 대관한 것이라고 한다.

12월 31일이면 일본의 국민밴드 중 하나인 사잔 올 스타즈 / 그리고 사잔의 보컬인 쿠와타 케이스케가 높은 빈도로 이곳에서 새해맞이 콘서트를 개최한다.[3] 그동안 전통적으로는 밤 11시 30분에 공연을 시작해서 새해 새벽 2시에서 2시 반에 끝나는 공연이였으나, 2014년 콘서트 때 홍백가합전 생중계 일정과 맞추면서 밤 9시 반에 입장하여 새해 0시 30분에서 새벽 1시에 끝나는 스케줄로 조정되었다.[4] 사잔 올 스타즈 명의로는 1989년(즉, 개장 첫해 연말 공연), 1990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1999년, 2000년, 2004년, 2005년, 2014년, 2020년[5] 공연을 가졌고 쿠와타 케이스케 솔로로는 1994년, 2002년, 2007년, 2011년, 2012년, 2016년, 2017년, 2021년, 2022년으로 요코하마 아레나의 개관 이래 35년 역사 중에서 사잔 올 스타즈/쿠와타 케이스케가 무려 3분의 2에 육박하는 21년 분량을 차지하는(...) 비중을 보이고 있다. 이 정도 기록이면 12월 31일의 요코하마 아레나는 사잔의 성지라고 봐도 될 정도.

다른 기록으로 하츠네 미쿠의 보컬로드이드 콘서트인 매지컬 미라이의 기념비적인 첫 공연 개최지이기도 하다.

2023년, 2024년에는 만화 및 애니메이션인《 5등분의 신부》의 이벤트가 여기서 진행되었다. 담당 성우들이 등단해 토크쇼 및 캐릭터송을 라이브로 불렀는데, 애니메이션 이벤트 치고는 매우 드문 케이스에 속한다.

4. 내부시설

파일:요코하마 아이콘 번역.jpg

밑의 내용에 나오는 그림들은 이 이미지를 참고할 것.

4.1. 1층(외부)

파일:요코하마아레나 1층외부.jpg

4.2. 1층(내부)

파일:요코하마아레나 1층내부.jpg

4.3. 2층

파일:yokohama-arena_2f_kor.png

4.4. 3층

파일:yokohama-arena_3f_kor.png


[1]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2] 도쿄메트로 난보쿠선 · 도영 지하철 미타선 [3] 소속사인 아뮤즈에서 매년 연말에 대관을 잡아놓는다. 1순위는 사잔/쿠와타이며 활동을 하지 않을시 소속사 후배들에게 넘어간다. [4] 2018년에는 사잔 올 스타즈가 35년 만에 ' NHK 홍백가합전'이 열리는 NHK홀에 직접 출연하게 되면서 같은 소속사 후배 가수인 Perfume이 이곳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첫 카운트다운 콘서트를 개최하게 되었다. [5] 코로나19 여파로 무관객 유료 온라인 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