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일본의 만화 도박묵시록 카이지를 원작으로하는 TV 애니메이션.2. PV
|
컴플리트 공식 트레일러 |
3.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도박묵시록 카이지 문서의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TVA 1기: 역경무뢰 카이지
역경무뢰 카이지 (2007~2008) 逆境無頼カイジ |
|||
|
|||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도박 | |
원작 | 후쿠모토 노부유키 | ||
감독 | 사토 유조 | ||
시리즈 구성 | 타카야시키 히데오(高屋敷英夫) | ||
캐릭터 디자인 | 타카다 하루히토(高田晴仁) | ||
미술 감독 | 요코마츠 노리히코(横松紀彦) | ||
색채 설계 | 오오노 하루에(大野春恵) | ||
촬영 감독 |
오성하 이숙범 |
||
편집 | 테라우치 사토시(寺内 聡) | ||
음향 감독 | 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 ||
음악 | 타니우치 히데키(タニウチヒデキ)[1] | ||
프로듀서 |
나카타니 토시오(中谷敏夫) 타무라 마나부(田村 学)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타카하시 료헤이(高橋亮平) | ||
애니메이션 제작 | 매드하우스 | ||
제작 | 역경무뢰 카이지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07. 10. 03. ~ 2008. 04. 02. | ||
방송국 |
닛폰 테레비 / (수) 00:59 바둑TV, 투니버스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1쿨,
▶2쿨▶ |
||
편당 러닝타임 | 23분 | ||
화수 | 26화 | ||
시청 등급 | 19세 이상 시청가[2] | ||
15세 이상 시청가[3] | |||
관련 사이트 |
역경무뢰 카이지(逆境無頼カイジ)란 이름[4]으로 묵시록 1, 2부가 애니화됐다. 매드하우스 제작. 2007년 10월부터 방영해서 총 26화로 완결. 하청 업체는 시간을 달리는 소녀뿐 아니라 굵직한 애니메이션들에 참여한 한국의 디알무비.
원작 특유의 독특한 그림체를 살리면서도 깔끔해진 작화와, 부족한 그림체를 훌륭히 보완하는 연출, 원작을 뛰어넘는 음울한 분위기, 그에 걸맞게 긴장감을 더하는 OST, 성우들의 명연기로 크게 호평을 받았던 작품이다.
애니메이션의 큰 특징으로, 내레이션이 추가됐다. 성우는 각각 타치키 후미히코와 김기현. 가히 원작을 그대로 박제한 듯한 극상의 퀄리티를 자랑한다. 특히 카이지의 성우 연기와, 효도 회장의 연출은 정말 마왕 그 자체. 원작이 대사로 꽉꽉 채워진 작품인만큼 애니에서도 대사가 끊기는 경우가 거의 없다.
또한 애니판은 원작의 전개를 충실하게 따르면서도 사소하게 각색되거나 추가된 부분이 존재하는데, 감정 묘사나 장면 순서 및 설정이 미묘하게 달라지고 특정 대사[5]가 변경되었으며 원작에서 묘사되지 않은 디테일이 추가된/혹은 원작에서 묘사된 디테일이 생략된 부분이 많다.[6]
허나, 작품 성격상 여성 캐릭터의 비중이 거의 없고, 모에 요소가 전무한 탓에 DVD 등 영상매체 판매량은 평균 500장 정도로 폭망했다. 이는 같은 제작사에서 담당한 아카기 ~어둠에서 춤추듯 내려온 천재~도 마찬가지.
의외로 진격의 거인에 영향을 준 작품이다. 진격의 거인 감독 아라키 테츠로가 극화풍과 만화적인 느낌 모두 살리고 싶어서 고민한 찰나 카이지가 갑자기 떠올라서 본작의 감독 사토 유조를 찾아가서 캐릭터의 그림자와 윤곽선을 강조하는 '엣지 하이라이트' 기법을 직접 전수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진격의 거인도 카이지처럼 인물들에 윤곽선이 강조된다. 게다가 본작에는 아라키 테츠로도 콘티로 참여했다.
4.1. 주제가
4.1.1. OP
자세한 내용은 未来は僕等の手の中 문서 참고하십시오.
OP 미래는 우리들의 손 안에 未来は僕等の手の中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b30000,#b3000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카이지 with 렛과 본치리즈(カイジwithレッどぼんチリーず)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30000,#b3000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사토 유조 | |
연출 | |||
작화감독 | 타카다 하루히토(高田晴仁) |
4.1.2. ED
ED 패배자들의 레퀴엠 負け犬たちのレクイエム |
|||
[kakaotv(425625564, width=100%)]
|
|||
TV ver.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b30000,#b3000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하쿠류[7] | ||
작사 | |||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30000,#b3000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스즈키 노리미츠 | |
연출 | |||
작화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4.2. 회차 목록
<rowcolor=#ffffff,#dddddd> 회차 | 제목[8]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bet.1 |
出航 출항 |
타카야시키 히데오 (高屋敷英夫) |
오오쿠보 토미히코 (大久保富彦) |
사사키 나나코[9] (佐々木奈々子) |
장희규 (張喜圭) |
타카다 하루히토 (高田晴仁) |
日: 2007.10.03. 韓: |
bet.2 |
火蓋[10] 개전 |
사토 유조 | 나카무라 료스케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7.10.10. 韓: |
||
bet.3 |
勝負 승부 |
히로타 미츠타카 |
이케다 시게타카 (池田重隆) |
김동준 (金東俊) |
타카다 하루히토 장희규 |
日: 2007.10.17. 韓: |
|
bet.4 |
破綻 파탄 |
후데야스 카즈유키 | 이케다 시게타카 |
박주경 (朴湊景) |
이현정 (李炫姃) 권혁정 (權赫正)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7.10.24. 韓: |
bet.5 |
決死 결사 |
이와키 타다오 (岩城忠雄) |
호소다 마사히로 |
스가노 토모유키 (菅野智之) |
日: 2007.10.31. 韓: |
||
bet.6 |
興亡 흥망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오오쿠보 토미히코 |
김민선 (金敏宣) |
이연길 (李延吉) |
김동식 (金東湜) |
日: 2007.11.07. 韓: |
bet.7 |
喝破 갈파 |
히로타 미츠타카 | 사사키 나나코 |
히나타 마사키 (日向正樹)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07.11.14. 韓: |
|
bet.8 |
鉄槌 철퇴 |
후데야스 카즈유키 |
쿠로츠 야스아키 (黒津安明) |
스에다 요시후미 (末田宜史) |
장길용 (張吉容)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7.11.21. 韓: |
bet.9 |
回生 회생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아오야마 히로시 (青山 弘) |
카와무라 켄이치 |
이현정 권혁정 |
김동식 |
日: 2007.11.28. 韓: |
bet.10 |
使者 사자 |
히로타 미츠타카 |
니이도메 토시야 (新留俊哉) |
타나카 히로유키 | 장길용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7.12.05. 韓: |
bet.11 |
狂宴 광연 |
후데야스 카즈유키 | 이케다 시게타카 | 김동준 | 김동식 |
日: 2007.12.12. 韓: |
|
bet.12 |
転落 전락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오오쿠보 토미히코 | 호소다 마사히로 |
아오이 키요토시 (青井清年)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7.12.19. 韓: |
bet.13 |
怪物 괴물 |
히로타 미츠타카 | 나카무라 료스케 | 호소이 미에코 |
日: 2007.12.26. 韓: |
||
bet.14 |
亡霊 망령 |
후데야스 카즈유키 | 아라키 테츠로 | 스에다 요시후미 | 장희규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08.01.09. 韓: |
bet.15 |
天空 천공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사사키 나나코 | 장길용 | 김동식 |
日: 2008.01.16. 韓: |
|
bet.16 |
怒髪 노발 |
이와키 타다오 | 김민선 |
이현정 권혁정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8.01.23. 韓: |
|
bet.17 |
会話 대화 |
히로타 미츠타카 | 니이도메 토시야 |
카와무라 켄이치 이와키 타다오 |
김동준 |
타카다 하루히토 김동식 |
日: 2008.01.30. 韓: |
bet.18 |
翻弄 희롱 |
후데야스 카즈유키 | 사카타 준이치 |
오유남 (おゆなむ) |
우메하라 타카히로 (梅原隆弘) |
- |
日: 2008.02.06. 韓: |
bet.19 |
限界 한계 |
요시노 토모미 (吉野智美) |
호소다 마사히로 | 스가노 토모유키 |
타카다 하루히토 김동식 |
日: 2008.02.13. 韓: |
|
bet.20 |
鬼神 귀신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스에다 요시후미 | 호소이 미에코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8.02.20. 韓: |
|
bet.21 |
心血 심혈 |
히로타 미츠타카 |
하야시 히데오 (林 秀夫) |
장길용 | 김동식 |
日: 2008.02.27. 韓: |
|
bet.22 |
執行 집행 |
후데야스 카즈유키 | 타나카 히로유키 | 장희규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08.03.05. 韓: |
|
bet.23 |
邪道 사도 |
요시노 토모미 | 사사키 나나코 |
우승욱 (禹勝旭) 김동준 장길용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8.03.12. 韓: |
|
bet.24 |
条件 조건 |
히로타 미츠타카 | 고토 케이지 | 김민선 | 이현정 | 김동식 |
日: 2008.03.19. 韓: |
bet.25 |
蒼白 창백 |
후데야스 카즈유키 | 나카무라 료스케 | 스에다 요시후미 | 장길용 | 하마다 쿠니히코 |
日: 2008.03.26. 韓: |
bet.26 |
残光 잔광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사토 유조 |
사토 유조 이와키 타다오 |
타카다 하루히토 김동식 |
- |
日: 2008.04.02. 韓: |
4.3. 해외 공개
4.3.1. 대한민국
바둑TV에서 2009년 12월 28일, 투니버스에서 2010년 5월 12일 새벽 1시에 더빙으로 방영했다. 연출은 김이경 PD.
바둑TV에선 19세 시청가였는데 아무래도 도박, 신체훼손, 흡연 이 세 가지가 심의위원회의 심기를 건드리는 삼신기(...)이기 때문이다. 이후 투니버스에서 재방영될 때는 15세 시청가로 낮춰 방영했는데 그 대신 일부 장면이 편집되고 몇몇 대사도 재녹음을 했다. 제목은 역경무뢰 같은 수식어를 제외하고 그냥 카이지. 참고로 투니버스는 방송 사고로 1화를 건너뛰고 2화부터 방영했는데, 사과공지를 올리고 2010년 5월 18일에 다시 1화부터 방영했다.
번역가의 개인 취향인지 2010년대 유행어가 상당히 많이 쓰였는데, 1화부터 "그 자식이 잠수를 타요?!"라는 표현이 나오고 후나이가 " 왜 이래 아마추어 같이" 드립을 친다. 그리고 아예 19금 딱지 먹어서 막나간듯이 어휘들이 아주 직설적이다. 1화의 "엿이나 먹어라"로 시작해서 "개자식", " 지랄", "처먹어라" 같은 어휘가 아주 자연스럽게 나온다. 이런 어휘를 제외해도 전반적으로 번역이 대부분 꽤 속되게 된 편이다.[11] 예를 들어서 10화(원작의 5권)에서 엔도와 재회했을 때도 원문도 한국어판 만화 번역도 '그렇게 외면하지 말고 기다려라' 정도의 평범한 대사였으나, 더빙판에서는 '이리 와 봐, 그렇게 쌩까지 말고' 라고 꽤 속되게 멈춰세운다. 대체로 어두운 애니메이션 분위기에 상당히 어울리는 번역이라는 평.
더빙 퀄리티가 상당하며, 2010년 내외 투니버스의 황금기에 태어난 숨은 명작으로 통한다. 특히 주인공 카이지 역을 맡은 현경수의 열연이 압권인데 안도 마모루가 뒷통수 때리고나서 "무슨 엿 같은 소리야! 너 이 자식 죽여버린다! 가만 안둬! 죽고 싶어?!" 개자식! 개자식! 개자식! 이 개자식아!!"[12]을 외치며 분노의 눈물을 흘리는 씬은 성우 팬들과 원판을 본 이들에게도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뒷이야기에 따르면 현경수 성우는 카이지를 녹음하는 날이면 아침부터 고기를 먹어 든든하게 기력을 보충하고 녹음에 임할 만큼 아주 열정적이었다고 한다. 그 밖에도 토네가와 유키오 역의 이봉준, 효도 카즈타카 역의 온영삼, 내레이션의 김기현 등 원로 성우들의 연기도 엄청난 수준인데, 특히 원판의 내레이션인 타치키 후미히코가 연극이나 경기를 중계하는 것 같은 조금 과장된 톤의 연기를 보여줬다면, 김기현은 마치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차분하면서 진지하고 긴박감 넘치는 컨셉이라 작중 분위기를 원판 이상으로 끌어올렸다는 평이다. 또한 당시 전속이었던 투니버스 7기 성우들이 맡은 수많은 엑스트라들의 현실감 넘치는 비명과 공포 역시도 작품의 분위기를 배가시켰다.
투니버스의 공식 스트리밍 사이트였던 투니랜드와 일부 IPTV에서도 정식으로 볼 수 있었으나, 2014년 6월 경에 한국 내 판권이 전부 만료되어 현재로선 공식 루트를 통해 시청이 불가능하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던 더빙판 영상들은 전부 저화질 불법 녹화본 혹은 음성만 따다가 일본판에 덧씌운 것들 뿐이었고, 2010년대 후반 대대적인 저작권 단속에 의해 전부 짤려서 어둠의 루트에서도 남은 게 없다. 유튜브 등지에 하이라이트 장면을 짧게 편집한 게 돌아다니는 게 유일한 상황.
투니랜드 홈페이지 당시에는 윗부분의 일러스트는 효도에 의해 잘려나간 카이지의 손가락이 붙어있고 주사위를 던지고 있는 일러스트를 사용했는데, 1기의 스토리에서는 이러한 일러스트는 나올 수 없는 일러스트다.[13] 즉, 본의 아니게 스포일러를 하고 있었던 셈이다.
2022년 11월 기준 라프텔에서 자막판으로 서비스 중이다.
5. TVA 2기: 역경무뢰 카이지 파계록편
역경무뢰 카이지 파계록편 (2011) 逆境無頼カイジ 破戒録篇 |
|||
|
|||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도박 | |
원작 | 후쿠모토 노부유키 | ||
감독 | 사토 유조 | ||
시리즈 구성 | 타카야시키 히데오(高屋敷英夫) | ||
캐릭터 디자인 | 타카다 하루히토(高田晴仁) | ||
미술 감독 | 우에노 히데유키(上野秀行) | ||
색채 설계 | 오오노 하루에(大野春恵) | ||
촬영 감독 | 하타나카 히로노부(畑中宏信) | ||
편집 | 테라우치 사토시(寺内 聡) | ||
음향 감독 | 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 ||
음악 | 타니우치 히데키(タニウチヒデキ) | ||
프로듀서 |
나카타니 토시오(中谷敏夫) 타무라 마나부(田村 学) 이와사 나오키(岩佐直樹)17~26화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미타 케이지(三田圭志) | ||
애니메이션 제작 | 매드하우스 | ||
제작 |
닛폰 테레비 vap |
||
방영 기간 | 2011. 04. 06. ~ 2011. 09. 28. | ||
방송국 |
닛폰 테레비 / (수) 00:59 애니플러스 / (금) 23:30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1쿨,
▶2쿨 ▶1쿨, ▶2쿨 |
||
편당 러닝타임 | 23분 | ||
화수 | 26화 | ||
시청 등급 | 19세 이상 시청가 | ||
관련 사이트 |
전작의 흥행부진에도 불구하고 원작홍보엔 도움이 됐는지 2기 제작이 2011년 3월에 결정나 팬들은 만세를 외쳤고, 이후 역경무뢰 카이지 -파계록편- 으로 2기가 방송됐다. 애니화한 부분은 파계록 3부. 너에게 닿기를 2ND SEASON 후속 타임에 2011년 4월부터 방송했다. 2기의 영상매체 판매량은 1500장 정도로 1기보다는 제법 증가했다.
1기와 마찬가지로 원작의 각종 요소들을 잘 살리고 충실히 묘사했으며, 특히 이 중 늪편의 각종 비유는 그 절정. 원작에서 별개의 작풍으로 묘사된 '왕을 죽일 기회'와 '보병 대 요새' 비유가 카이지와 이치죠의 얼굴로 바뀌면서(...) 묘하게 오그라드는 장면이 되었다.
특이하게도 시작과 끝을 오프닝 주제가로 장식했다. 1화에서 지난 시즌을 요약하며 2기 주제가가 나오고, 26화 마지막을 1기 주제가로 끝맺는 방식이다.
아직까지 3기 소식은 없지만 일본 빠칭코 기계에서 2기 이후의 이야기인 카지노 점장 무라오카 타카시와의 대결 마작 지뢰 게임 17보, 테이아이의 총수 효도 카즈타카의 아들인 효도 카즈야와의 만남 등의 이야기를 단편으로 요약한 특별 영상이 포함됐다.
2기에서는 후쿠모토 작가의 다른 작품의 주인공들이 까메오 출연한다. 2기 오프닝에서 카이지 옆에 졸고 있는 쿠로사와가, 2기 마지막 화에서 우카이 제로의 뒷모습 및 아카기 시게루의 초상화가 등장한다.
아카기와 마찬가지로 1,2기 모두 DVD만 발매되고 BD 발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2021년에 뜬금없이 북미에서 1,2기를 합친 BD를 발매했다.
5.1. 주제가
5.1.1. OP
자세한 내용은 Chase the Light! 문서 참고하십시오.
OP Chase the Light! |
|||
[kakaotv(425681266, width=100%)]
|
|||
TV ver. | |||
|
|||
Full ver. | |||
|
|||
MV ver. | |||
<colbgcolor=#b30000,#b3000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Fear, and Loathing in Las Vegas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30000,#b3000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카와무라 켄이치 | |
연출 | |||
작화감독 | 타카다 하루히토(高田晴仁) | ||
원화 | 키쿠치 아이, 아비루 타카히코(阿比留隆彦), 사와다 히데히코, 코지나 히로시, 스기우라 코지, 나카자와 카즈토 등 |
5.1.2. ED
ED C부터 시작하는 ABC CからはじまるABC |
|||
[kakaotv(425681265, width=100%)]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b30000,#b3000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와스레란네요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30000,#b30000><colcolor=#ffffff,#dddddd> 콘티 | 사토 유조 | |
연출 | |||
작화감독 | 우메하라 타카히로(梅原隆弘) | ||
원화 | 호소이 미에코, 하야시 치히로(林 千博)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爆音で
チャットモンチーを聴いた 바쿠온데 찻토몬치오 키이타 폭음으로 챗몬치를 들었지 涙が もう涙がぼろぼろ溢れた 나미다가 모오 나미다가 보로보로 아후레타 눈물이, 정말 눈물이 뚝뚝 흘렀어 そんなこと ブランキー以来だから 손나코토 브란키이 이라이다카라 그런 건 블랭키 이후 처음이었으니 思い切ってファンレター書いた 오모이킷테 환레타아 카이타 큰 마음 먹고 팬레터를 썼어 拝啓、俺のエレキギター 하이케에 오레노 에레키기타아 삼가 아룁니다, 내 일렉기타를 いつか聴いてくれませんか 이츠카 키이테 쿠레마센카 언젠가 들어 주지 않겠습니까 いつのまにか三十路になっていく 이츠노마니카 미소지니낫테유쿠 어느덧 삼십줄이 되어 가 いい それでいい 이이, 소레데이이 됐어, 그거면 됐어 逢いたいとかあなたを愛してるとか 아이타이토카 아나타오아이시테루토카 만다고 싶다든가 그대를 사랑한다든가 そんなもん 今さらもう聴きたかねえよ 손나몬 이마사라모오키키타카네에요 그런 건 이제와서 듣고 싶지 않아 あの娘は彼氏候補の男と 아노코와 카레시코오호노오토코토 그 아이는 남친 후보인 남자랑 グループでスノボに行った 구루우푸데 스노보니잇타 그룹으로 스노보드 타러 갔어 残された俺たちは 노코사레타 오레타치와 남겨진 우리들은 つぼ八で飲みました 츠보하치데 노미마시타 츠보하치에서 마셨습니다 夢の中で今も もがいてる 유메노나카데이마모 모가이테루 꿈속에서 지금도 발버둥치고 있어 いい それでいい 이이, 소레데이이 됐어, 그거면 됐어 オナニーで失われるエナジー 오나니이데 우시나와레루 에나지이 자위로 잃어버리는 에너지 いい それでいい 이이, 소레데이이 됐어, 그거면 됐어 でかい音じゃなきゃ意味がねえよ 데카이오토자나캬 이미가네에요 큰 소리가 아니면 의미가 없어 いい それでいい 이이, 소레데이이 됐어, 그거면 됐어 CからはじまるABC 시이카라 하지마루 에에비시이 C부터 시작하는 ABC |
5.1.3. 26화 ED
자세한 내용은 未来は僕等の手の中 문서 참고하십시오.
26화 ED 미래는 우리들의 손 안에 未来は僕等の手の中 |
|
|
|
Full ver. | |
<colbgcolor=#b30000,#b30000><colcolor=#ffffff,#dddddd> 노래 | 카이지 with 렛과 본치리즈(カイジwithレッどぼんチリーず) |
5.2. 회차 목록
<rowcolor=#ffffff,#dddddd> 회차 | 제목[14]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Bet.1 |
地の獄 땅속 감옥 |
타카야시키 히데오 (高屋敷英夫) |
사토 유조 |
타카다 하루히토 (高田晴仁) 우메하라 타카히로 (梅原隆弘) |
- |
日: 2011.04.06. 韓: 2011.04.08. |
|
Bet.2 |
勝負の鉄則 승부의 철칙 |
히로타 미츠타카 | 카와지리 요시아키 | 홍헌표 | 김동식 | 우메하라 타카히로 |
日: 2011.04.13. 韓: 2011.04.15. |
Bet.3 |
強運の欠片 강운의 파편 |
타카야시키 히데오 | 김민선 | 김동준 |
日: 2011.04.20. 韓: 2011.04.22. |
||
Bet.4 |
逆襲の糸口 역습의 실마리 |
히로타 미츠타카 |
마츠무라 마사키 (松村政輝) |
아비루 타카히코 (阿比留隆彦)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1.04.27. 韓: 2011.04.29. |
|
Bet.5 |
虐待と忍耐 학대와 인내 |
타카야시키 히데오 |
후지야마 토모미 (藤山智美) |
우승욱 |
장길용 강일구 |
우메하라 타카히로 |
日: 2011.05.04. 韓: 2011.05.06. |
Bet.6 |
熱風の到来 열풍의 도래 |
히로타 미츠타카 | 카와무라 켄이치 | 이현정 |
日: 2011.05.11. 韓: 2011.05.13. |
||
Bet.7 |
魔法の賽 마법의 주사위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코지나 히로시 | 야지마 테츠오 |
모리 토모코 (森 智子)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1.05.18. 韓: 2011.05.20. |
Bet.8 |
因果応報 인과응보 |
히로타 미츠타카 | 아사카 모리오 | 홍헌표 | 김동식 | 우메하라 타카히로 |
日: 2011.05.25. 韓: 2011.05.27. |
Bet.9 |
喝采、そして… 갈채, 그리고…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카와지리 요시아키 | 김민선 | 김동준 |
日: 2011.06.01. 韓: 2011.06.03. |
|
Bet.10 |
最後の博奕 최후의 도박 |
히로타 미츠타카 | 마츠무라 마사키 | 아비루 타카히코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1.06.08. 韓: 2011.06.10. |
|
Bet.11 |
歓喜と嘆声 환희와 탄성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카와지리 요시아키 | 우승욱 |
장길용 강일구 |
- |
日: 2011.06.15. 韓: 2011.06.17. |
Bet.12 |
破天・破漢 파천·파한 |
히로타 미츠타카 | 카와무라 켄이치 |
나카가와 준 (中川 淳) 마츠오카 토모미 (村岡朋美) |
이현정 | 우메하라 타카히로 |
日: 2011.06.22. 韓: 2011.06.24. |
Bet.13 |
攻略の糸口 공략의 실마리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야지마 테츠오 | 모리 토모코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1.06.29. 韓: 2011.07.01. |
|
Bet.14 |
無頼の軌跡 (総集編) 무뢰의 궤적 (총집편) |
사토 유조 | - |
日: 2011.07.06. 韓: 2011.07.08. |
|||
Bet.15 |
虚仮の一心 거짓된 일심 |
히로타 미츠타카 | 카와지리 요시아키 | 홍헌표 | 김동식 | - |
日: 2011.07.13. 韓: 2011.07.15. |
Bet.16 |
決戦の幕開け 결전의 개막 |
타카야시키 히데오 | 김민선 | 장희규 | 우메하라 타카히로 |
日: 2011.07.20. 韓: 2011.07.22. |
|
Bet.17 |
不毛な貫徹 무모한 관철 |
히로타 미츠타카 | 마츠무라 마사키 | 아비루 타카히코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1.07.27. 韓: 2011.07.29. |
|
Bet.18 |
鉄壁の門 철벽의 문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카와지리 요시아키 | 우승욱 | 장길용 | - |
日: 2011.08.03. 韓: 2011.08.05. |
Bet.19 |
奇跡の軌道 기적의 궤도 |
히로타 미츠타카 |
나카가와 준 마츠오카 토모미 |
이부희 | 우메하라 타카히로 |
日: 2011.08.10. 韓: 2011.08.12. |
|
Bet.20 |
宿運の差 숙명의 차이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야지마 테츠오 | 모리 토모코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1.08.17. 韓: 2011.08.19. |
|
Bet.21 |
確実な勝利 확실한 승리 |
히로타 미츠타카 | 카와무라 켄이치 | 홍헌표 | 김동식 | - |
日: 2011.08.24. 韓: 2011.08.26. |
Bet.22 |
諭吉の威光 유키치의 위광 |
타카야시키 히데오 | 타나카 히로유키 | 김민선 | 장희규 | 우메하라 타카히로 |
日: 2011.08.31. 韓: 2011.09.02. |
Bet.23 |
風前の灯火 바람 앞의 등불 |
히로타 미츠타카 | 마츠무라 마사키 | 아비루 타카히코 | 타카다 하루히토 |
日: 2011.09.07. 韓: 2011.09.09. |
|
Bet.24 |
徘徊する銀玉 배회하는 은구슬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사토 유조 | 우승욱 |
장길용 타카다 하루히토 |
- |
日: 2011.09.14. 韓: 2011.09.16. |
Bet.25 |
怨嗟の涙 원망의 눈물 |
히로타 미츠타카 | 카와무라 켄이치 |
우메하라 타카히로 장길용 |
日: 2011.09.21. 韓: 2011.09.23. |
||
Bet.26 |
未来は僕らの… 미래는 우리의… |
타카야시키 히데오 | 사토 유조 |
사토 유조 나카가와 준 마츠오카 토모미 |
김동식 아비루 타카히코 타카다 하루히토 우메하라 타카히로 |
日: 2011.09.28. 韓: 2011.09.30. |
5.3. 해외 공개
5.3.1. 대한민국
2기 파계록편의 경우 방송사가 애니플러스로 변경되어서 2011년 4월 22일부터 매주 금요일 23시에 더빙 없이 자막으로만 방영됐다. 가급적이면 자체 편집 없이 무삭제로 방영하는 것을 고수했던 당시 애니플러스였던 만큼 TV 방송, VOD 모두 19세 시청가로 했다.2022년 11월 기준 라프텔에서 자막판으로 서비스 중이다.
6. 카이지 잠언(箴言)
애니메이션 후반부에 강렬한 한 마디로 등장하는 부분. 1기에선 사카모토 마미라는 배우가 등장하여 전 세계의 카지노라든가 유명한 리조트를 돌면서 강렬하게 마음에 꽂힐 대사를 남긴다. 서울에 있는 카지노와 이 작품의 하청사로 참여한 한국 애니메이션 제작사 DR무비의 부산 본사에도 후쿠모토 노부유키와 동행해 온 적이 있었다.2기에서도 카이지 잠언 리턴즈라는 이름으로 건재. 1기와 달리 사카자키 미코코의 성우인 쿠보 유리카가 참여했다. 장소는 아무데서나 찍는 듯. 후쿠모토 선생의 작업실이 나오기도 했다.
참고로 1기 한국어 더빙판에선 삭제되어 나오지 않고, 라프텔 등에서 서비스하는 VOD에서도 짤렸다.
7. 원작과의 차이점
7.1. 한정 가위바위보 편
- 극초반에 카이지가 외제차를 망가트리는 취미를 벌일때 원작에서는 한정 가위바위보 편 내내 입고 다니는 미 극동공군(Far East Air Force) 자켓을 입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냥 자켓 없이 나가서 망가트린다.
- 원작에서 '미래는 우리들의 손안에' 라는 구호를 이야기할 때와 토네가와의 연설 도중 노모, 하부, 이치로를 예시로 들지만 전부 실존인물인지라 애니메이션에서는 전부 잘렸다.
- 원작에서는 토네가와의 연설을 듣고 감동하여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이 나오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런 거 없다.
- 원작에서는 탈락자가 늘어날 수록 홀 내의 총 별의 개수는 폭등하여 최종적으로 전원이 구제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그런 상황을 막기 위해 주최측에서 잉여분의 별을 개당 400만엔에 구매하여 홀 내의 별의 개수가 줄어드는데, 애니메이션에서 이 과정이 생략되고 바로 독점 전략으로 이어진다[15].
- 한정 가위바위보 후반, 신사클럽을 결성하여 카드를 섞은 후 분배하는 과정에서 후나이의 심술로 흩뿌러진 카드를 허겁지겁 줍는 와중에 안도가 "X랑 승부해도 된다"고 말했고 카이지는 자기의 카드가 훤히 보이는 상대가 승부하겠냐고 반박하고 해당 대화를 들은 후나이는 X란 존재가 카이지 일행이 만들어낸 존재가 아니라 실존하는 인물이라고 추측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해당 대화가 잘렸다.
- 원작에서 탈락자가 탈락할 때 어깨를 불로 지져서 숫자 낙인을 새기는 장면은 심의 문제 때문인지 삭제되었다. 이 때문에 원작에서 홀 안쪽에서 들려오는 불에 지져지는 탈락자의 비명 소리를 듣고 기겁해서 발버둥치다가 흑복에게 끌려들어가는 탈락자의 모습이,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냥 끌려가기 싫다고 발악하는 걸로 축소되었다. 당연히 뒤에 나오는 탈락자 장면에서 카이지는 물론이고 다른 탈락자들의 어깨에도 숫자는 남아있지 않다. 파계록에서 카이지가 노역장에 끌려가 가축 같은 대접을 받을 때도 원작에서는 옷을 벗은 카이지의 어깨에 숫자 낙인이 드러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당연히 생략.
- 최후반부에 이시다를 구할 때 카이지는 이득을 따지는 인간군상을 차버리기 위해 별을 버리다시피 썼는데, 원작에서는 단순히 그 이유뿐만이 아니라 배신과 책략이 난무하는 배 안에서 유일하게 자신을 진심으로 걱정해주었던 이시다에게 무의식적으로 감사의 마음을 품었기 때문이라는 내레이션이 나온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에서 이 부분은 삭제되었다.
7.2. 인간 경마
7.3. E카드
- 원작에서는 토네가와가 12회전에서 카이지가 부린 책략을 시민 카드 디자인의 미묘한 차이로 간파하는 내용이 나오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생략되었다.
- 원작에서 효도 회장이 돈을 갚는 사람의 성의는 "내장을 팔든 강도짓을 하든" 돈을 갚는 것뿐이라고 예를 들어 이야기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언급이 잘린 대신 피투성이가 되어 다리를 저는 채무자가 돈을 내던지는 씬으로 대체되었다. 또한 효도 회장이 철판 사죄를 정당화할 때 한 연설 도중 카이지가 "그건 폭리니까 그런 거다" 라고 항변하자 "이 세상에 폭리라는 건 없다. 하루에 1할이라는 말도 안 되는 이자라도 서로 알고 동의한 상태라면 그건 약속이다." 라고 대답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부분이 잘렸다.
- 달군 철판 위의 사죄를 시키는 강제 철판 사죄기의 대한 설명을 원작에서는 효도 회장이 직접 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내레이션이 한다. 그런데 이 설명은 원작에서 효도 회장이 한 '빌린 돈을 떼어먹으려는 비양심적인 자들' 운운의 자기합리화에 가까운 대사였는데, 이를 그대로 내레이션이 읊는다.
7.4. 티슈상자 제비뽑기
- 효도가 판돈 올리기를 제안할 때 자신의 뇌는 평범한 자극으로 만족 못 할 정도로 타버렸다고 이야기할 때, 카이지 역시도 인간 경마와 E카드라는 지옥 속에서 회생하는 그 기쁨을 느낌과 동시에 뇌가 타버렸고 앞으로의 인생은 그 자극을 쫓는 여행이 될 것이라고 예언을 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장면이 삭제되었다. 참고로 카이지는 효도의 말을 듣고 정반대로 이 돈만 들고 나가면 지긋지긋한 이 지옥과 작별할 거라고 단언한다.
7.5. 친치로
- 원작에서는 카이지가 자신을 쫓는 엔도를 도발하기 위해 일부러 주차된 엔도의 차 양옆의 차를 테러하고 엔도의 차는 멀쩡하게 내버려두는 등으로 엔도에게 자신의 존재를 어필하여 쫓게 만들고 그 끝에 도박 이야기를 꺼냈으나, 애니메이션에서 엔도가 차를 타고 가다가 우연히 카이지를 보게 되어 만나게 되었고 카이지도 엔도를 도발한다기보다는 진짜 의미로 반갑다는 말투로 맞이한다.
7.6. 늪
- 모든 승부가 끝난 후 45반 일행이 지상으로 나왔을때 원작에서는 자기들끼리 고기집에 들어가 파티를 하는 와중에 카이지가 찾아와 재회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고기집 앞에서 카이지와 재회하게 된다. 원작에서는 이후 저마다의 다짐을 이야기 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대사 대신 1기의 OP ' 미래는 우리들의 손에'가 흘러나온다.
[1]
데스노트의 OST 작곡가로 참여했던 사람이다. 때문에 카이지의 OST를 들어보면
그와 비슷한 분위기의
음악이 꽤 있다. 투패전설 아카기의 OST에도 참여했다.
[2]
바둑TV판
[3]
투니버스판
[4]
제목이 변경된 이유는 아마도 도박이란 단어를 TV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에 쓸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와는 별개로 역경무뢰란 단어 자체가 "어려운 상황에 의지할 곳이 없다"는 뜻으로 카이지한테 딱 맞는 수식어다. 또한 카이지는 역경에 강하다는 작중 대사와도 관련있는 대사이다.
[5]
대표적으로
토네가와 유키오의 "Fuck You."
[6]
예시로 원작에선
한정 가위바위보에서 패배해 별실로 떨어질 시 패스포트를 분쇄한 뒤 안대를 끼우고 팔에 낙인을 찍었으나 애니판에선 생략됐으며 때문에 별실 너머에서 비명이 들리는 장면도 생략되었다. 또한 안도가 카이지가 800만으로 별을 사는걸 보고 어쩌면 부모에게서 돈을 뜯어내려는걸지도 모른다고 주장하던 부분이 삭제되었다.
[7]
토네가와 유키오의 성우.
[8]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바둑TV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9]
시마자키 나나코(島崎奈々子)의 필명.
[10]
화승총의 화문 뚜껑
[11]
사실 번역이 속되게 되었다기보다는 원판 자체가 문어체적인 대사가 상당히 많았는데 이를 한국 정서에 맞게 풀어 썼다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예를 들어
E카드에서 노예가 황제를 이기는 이유도 원판에서는 "가질 것 없는 자의 필사의 노여움이 세상에서 제일 무섭다고들 하지"라고 더빙에서 쓰기엔 부적절한 대사였고, 그래서 더빙에서는 "없는 놈이 죽자사자 덤벼드는 게 제일 무섭거든" 정도로 구어체가 되었다.
[12]
바둑TV 방영 당시엔 "개새끼"였는데, 투니버스에서는 15세 시청가로 내려지면서 재녹음한 듯하다.
[13]
1기에서는 효도에게 패배하고 카이지가 질질 짜며 복수를 다짐하는 걸로 끝난다.
[14]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15]
초반부에 팔아치울 수 있을 정도로 별을 버는 사람들은 대부분 리피터인데, 막바지에 가면 6~700만에도 팔리는 걸 아는 사람들이 400만에 판다는 게 말이 안 된다고 판단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