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9:59:36

어거스트(Fear & Hunger 시리즈)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8><table align=center><tablebgcolor=#000><color=#fff><table width=500px><table bordercolor=#000>
파일:피헝2로고.png
관련 문서
등장인물 ( ) · · 헥센 · 아이템 · 지역 · 스토리
{{{#!wiki style="margin: -11px -1px; font-size: min(0.926em, 2.8vw);" 플레이어블 참가자들
파일:피앤헝 리바이 LD.webp 파일:피앤헝 마리나 LD.webp 파일:피앤헝 단 LD.webp 파일:피앤헝 아벨라 LD.webp 파일:피앤헝 오사 LD.webp 파일:피앤헝 올리비아 LD.webp 파일:피앤헝 마르코 LD.webp 파일:피앤헝 카린 LD.webp
전직 군인
레비
오컬티스트
마리나
의사
기계공
아벨라
황마법사
오사
식물학자
올리비아
건달
마르코
기자
카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논 플레이어블 참가자들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min(0.926em, 3.2vw);"
파일:피앤헝 파브 LD.webp 파일:피앤헝 어거스트 LD.webp 파일:피앤헝 칼리구라 LD.webp 파일:피앤헝 다나카 일러스트.webp 파일:피앤헝 사마리 일러스트.png 파일:피앤헝 헨릭 LD.webp
파브 어거스트 칼리구라 타나카 사마리 헨릭 }}}}}}}}}


어거스트
Agust
파일:피앤헝 어거스트 LD.webp 파일:피앤헝 어거스트 SD.webp

1. 개요2. 캐릭터성3. 작중 행적
3.1. Fear & Hunger 2: Termina
3.1.1. 필드 내에서의 상호작용
4. 전투5. 여담

[clearfix]

1. 개요

이 자들에게는 미안하지만 나에겐 끝내야만 하는 일이 있다. 그 누구에게도 정을 줘선 안돼, 조금도...
I feel sorry for these people, but I have a mission to finish. Can't get attached to anyone. Not in the slightest...
어거스트에게 독심술을 사용할 시 나오는 그의 독백

Fear & Hunger 2: Termina의 등장인물.

2. 캐릭터성

여유로운 태도를 보이지만 다른 일행보다 아는 게 많아보이는 수상한 중년 남자. 발란드(Valland)에서 후술할 이유로 프레헤빌을 찾아왔다. 조부는 올데가르드 출신으로 그쪽 피가 4분의 1 섞여있다고 한다. 프리헤빌을 탐험하는 도중 중간중간 나타나 파쿠르 실력을 과시하고 사라지기에 대화하거나 공격할 기회는 거의 없다.

7월 1일~15일 사이에서 고통받는 영혼을 지니고 태어났는데, 이는 전작의 라겐발드르, 론 참바라와 영혼을 공유한다. 후술할 라겐발드르와의 연관성을 생각해보면 의미심장한 부분.

그 외에도 늙은 신부의 동전 던지기 공격에 당해 십자가에 못박힌 플레이어를 구해주기도 하고, 문리스와 전투 시 어거스트가 살아있을 경우 중간에 전투를 멈추고 문리스를 죽이지 못하게 말린다. 자기 가족과 오랫동안 알고 지낸 사이라는데 형제나 다름 없다고.

독심술을 사용했을 때의 대사를 볼 때 남들에게 자신의 일에 휘말리지 않게 최대한 정을 주지 않았을 뿐, 악인은 아니다.

3. 작중 행적

3.1. Fear & Hunger 2: Termina

3.1.1. 필드 내에서의 상호작용

2일차 아침에 프리헤빌 도심에서 화살로 반 고치화 인간을 쓰러뜨려주기도 한다. 이때 말고는 만날 기회도, 제대로 공격할 기회도 적으니 A엔딩을 노리는 게 아닌 한 공격해주는 편이 좋다. 또한 깊은 숲에서 캠프를 치고 있으며 여기서도 대화 및 공격이 가능하다.

또한 늙은 신부에게 십자가형을 당하고 밤이 될 때 어거스트가 생존해 있다면 어거스트가 플레이어를 구출해주며 옷과 장비를 챙겨주고 자신이 주의를 끌테니 그 사이에 도망치라고한 뒤 다리 절단 + 체력이 1인 상태로라도 플레이 해줄 수 있게 한다. 이후 어거스트를 다시 만나서 대화할 때 구해줘서 감사하다고 하면 반대여도 반드시 그랬을 거라고 말하며 자신을 그 상태로 두고 떠날 수 있냐고 책망하면 따돌리는 주민들이 생각보다 많아 금방 돌아올 수 없었다며 너무 원망하지 말아달라고 한다.

▼ 스포일러
사실 그도 파브처럼 카이저를 죽이기 위해 프리헤빌로 찾아온 것이다. 파브와 마찬가지로 카이저가 죽이기 때문에 문스코치로 변신하지 않는다. 그의 외모, 문리스와의 관계성, 카이저를 향한 복수심, 그리고 나스흐라의 언급을 보면 전작의 이방인 라겐발드르의 후손인 것이 암시된다. 혹은 모종의 수단으로 긴 수명을 가지게 된 라겐발드르 본인이라고 추측하기도 하지만 이 가설은 가능성이 낮다.[1] 1일차에 오사 이외의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카이저를 만나는 데 성공했을 시 카이저를 공격하지만 역으로 반격당해 사망[2], 플레이어가 직접 죽이지 않을 시 3일차 밤에 돌입하면 저절로 사망하는데 깊은 숲에 있는 캠프를 보면 목이 잘린 체로 죽어있다. 정황상 문스코치가 되는 걸 피하기 위해 자살한 모양. 3일차 낮 중으로 숲에서 그를 만났다면 축제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플레이어에게 전투를 걸어와 사망. 따라서 문스코치화 모습은 없다.

4. 전투

파일:어거스트(전투).webp 6실링, 곰덫, 스웨이드 자켓}}}
{{{#!folding 훔치기 시[ 펼치기 · 접기 ]
곰덫 3개}}}
한방이면 충분하다.
(어거스트가 화살을 집더니 느리게 하지만 단호하게 활을 당긴다.)

시작하자마자 활을 조준하며 코인 토스 이벤트가 발동하는데 실패하면 타륜 쪼개기라는 기술을 사용하며 90%의 확률로 명중 시 참수 되면서 즉사한다. 그러니 시작부터 가드를 해준 후 조준한다고 할 때는 가드 해두면서 피해주자. 이것만 제외하면 생각보다 무난한 적.

이런 어거스트의 즉사 패턴은 전작의 요소를 따온 것으로, '타륜 쪼개기(Helm Splitter)'라는 이름은 백색 사도의 즉사 패턴의 이름과 비슷하고,[3] 화살로 헤드샷을 먹이는 동전 던지기 즉사 패턴은 조상으로 추정되는 라겐발드르가 적일 때 쓰는 패턴이다.

훔치기 시 곰덫을 3개나 주기에 활을 들고있는 팔을 무력화 시킨 뒤 훔쳐주자.

5. 여담


[1] 1편에서 분명 라겐발드르를 만난 적이 있을 나스흐라가 눈여겨보라고만 할 뿐 특별한 반응을 하지 않는데다가, 라겐발드르 본인이 지금까지 살아있으려면 초 폭력의 신으로 각성했을 경우가 가장 유력한데, 그럼 본작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나 카이저 따위에게 당할리가 없다. [2] 그래도 공격이 효과가 아예 없던 건 아니라 카이저의 전투 그래픽에 화살이 꽂혀 있는 변화가 생기고 실명 상태이상 내성이 사라진다. [3] 원문은 Helmbreaker로 미묘하게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