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5:05:00

아수라장

아사리판에서 넘어옴

1. 한자성어
1.1. 일본에서의 용례
2. 게임 만화 모음집3. 동경사변이 부른 오오쿠 화의란의 맺음곡4. 영화5. 게임

1. 한자성어

阿修羅場

전란이나 싸움, 사고 등으로 끔찍하게 혼란 상태에 빠진 현장을 일컫는 말.

아수라(阿修羅)의 아(阿)와 수라장이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다. 불교 용어 수라장은 악신 아수라와 선신 제석천의 싸움 장소를 말한다. 야단법석이나 이판사판 등과 마찬가지로 불교 용어가 일반화된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국어사전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전에서 불교 유래 용어로 이 말을 정의하고 있는데, 네이버에서 최상단에 검색 결과가 노출되는 두산백과에서는 불교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명이 완전히 빠진 채, 이 말이 인도의 서사시 마하바라타에서 비슈누신에게 공격을 당한 아수라의 시체를 묘사한 장면에서 유래되었다고만 설명되어 있어서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불교 교리 중 많은 부분이 인도 신화를 흡수해서 생겨난 것이긴 하지만, '아수라장'이라는 사자성어가 생겨난 것은 인도 신화보다는 불교의 영향이 가장 직접적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한데도 오로지 인도 신화만 언급되어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부분.

속어로 아사리판이란 말도 쓰이는데 이 역시 불교 용어로 아사리는 불교의 수행자들을 지칭하며, 그들이 박수를 치며 매우 시끄러운 수행 과정을 거쳤기에 생겨난 말이다. 난장(難掌)판이라는 용어도 이에서 비롯된 것. 한중일 중에서 수라장은 모두 사용 되나 아수라장은 한국에서만 사용 한다.

1.1. 일본에서의 용례

일본에서는 보통 수라장(修羅場:しゅらば)이라고 표기한다. 발음은 슈라바. 나무위키 문서에서도 일본 작품들의 스토리를 설명하면서 '수라장'이라는 표현이 많이 사용되는 편. 원래는 1번의 아수라장과 별다를 것이 없는 말이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뜻이 변용되어서 치정 싸움을 의미하는 단어로도 종종 쓰인다. 왜 뜻이 변했는지는 알 수 없다. 설화 내용에서 제석천이 아수라의 딸을 겁탈한 것이 싸움의 원인이었으니 이러한 용법으로 사용되는 것도 어거지지만 정당화할 수는 있다.

치정문제로 수라장이 되는 좋은 예시로는 스쿨 데이즈가 있다. 시나리오 라이터 마루토 후미아키도 수라장 전개를 즐겨 쓴다. 화이트 앨범 2가 후미아키의 작품 중에서도 수라장이 심각하고 어두운 편. 단 위의 작품처럼 선혈이 난무하지는 않는다. 제목에 이 단어를 사용한 작품들도 존재한다. 내 여자친구와 소꿉친구가 완전 수라장, 슈라바라 등.

2. 게임 만화 모음집

파일:attachment/56_8.jpg

FF7 관련 만화 '개 잡는 여자', 녹색 피가 흐르는 버섯을 뜯어먹는 '달리는 버섯의 怪' 등이 수록되었다.

창간호부터 1998년 10월 호까지의 게임라인 게이머즈의 전신인 월간 PS 창간부터 아수라장 발간 당시까지의 게이머즈 만화는 거의 실려 있으며, 공개되지 않은 만화도 몇 편 들어 있다.

일부 만화는 잡지 수록판과 달리 수정된 부분이 있다. 이태훈의 데뷔작인 마리의 아뜨리에 만화에서 짱돌 사진이 바뀌었고, 몬스터팜 만화에서 좌측 페이지의 호리이 정면 컷이 다른 컷과 작화가 다르다. 또한 '폭주를 꿈꾸는 사람들' 에서 게임라인 관련 대사가 수정되어 있다. '철권T.T 사랑의 태그'에서 검열 때문에 샤오유 몸위에 덧칠해진, 빨간 속옷이 없는 원판 그대로 나온다. 그리고 스파 3 만화에서 잡지에서는 3 캐릭터의 감전 X레이 장면이 붙어있던 공간에 더 둘리 흉폭하다라는 4컷이 붙어있다(저작권이 있는 캐릭터라서 잡지에선 잘린 듯). 철권 만화 가화만사성에서는 초반부 미시마 그룹의 CM 컷과 중간의 '우리 아빠 왜 해고했냐'라는 대사가 수정됐다(잡지에서는 '너희 같은 놈들 때문에 IMF가 왔다'로 실림). 그리고 바이오 해저드 2 만화의 장면의 일부가 바뀌고 마지막 장면의 칠판에서 가정불화, 매스컴, 게임라인에서 게임라인이 게이머즈에서 바뀌었다. 그리고 게임라이프의 메탈기어 솔리드 만화가 대대적으로 수정당했다.(대표적으로 무전기 사용 장면과 마지막의 최후 장면 "탕탕 드르륵 스걱"이라는 효과음 삭제. 그리고 추석 관련 글도 삭제.) 또한 천주1 햇님달님 만화의 제목 부분이 "재미있고 신나는 전래 라인동화"였는데 삭제.

전체적으로 잡지 연재 당시와 비교하여 대사가 수정된 부분이 많다. 이는 윤리 문제나 심의상 수정된 케이스도 많지만, 잡지 사이즈에 연재되던 만화를 축소 인쇄 하다 보니 작은 말 칸에 대사가 밀집되어 있는 경우 텍스트가 심하게 뭉개지는 사태가 발생해서 부득이하게 대사의 길이를 줄이거나 생략한 것이 많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특유의 찰진 맛이 상당히 흐릿해진 대사가 많아졌다.

암흑시대( 게이머즈 문서 참고)의 만화는 게임매거진에서 나왔던 좋은 친구들(FF8+텔레토비), 뺑끼통(파이널파이트) 외에도 더 있으나 좋은 친구들과 뺑끼통 이 외의 것들은 아수라장에 실리지 않았다.

게임라이프 시절의 만화 전체와 게임라인의 임성길의 만화가 1998년 9월호 이전 게임라인에 대여섯 편 이상 실렸으나 아수라장에는 철권 3 4컷 만화 외에는 실리지 않았다.

발매 당시 기준 가장 최신 만화인 사쿠라 대전 3 만화도 실려있는데, 이는 게이머즈에는 연재되지 못한 미공개작이다. 사쿠라 대전 시리즈의 등장인물들이 아직도 생존하여 고령의 할머니가 되었고, 당시 정태룡이 출연 중이던 SBS의 '게임쇼 즐거운 세상'에 게스트로 출연한다는 내용[1]이었는데 100살을 넘긴 사쿠라 대전 시리즈의 캐릭터들이 너무나 리얼하게 꼬부랑 할머니가 된 모습을 묘사한 데다가 신구지 사쿠라가 갑자기 칼부림을 하여 메인 MC를 썰어버리는 등 사쿠라 대전 측에도, SBS 측에도 양쪽으로 논란이 될 소지가 다분한 문제작이었다. 정태룡이 해당 만화의 후기에 '이 만화를 들고 갔더니 편집장한테 뭐라뭐라 욕을 잔뜩 먹었다. 뭐라 했는지 기억도 안난다. 그다음 아수라장은 쉬었고 그다음도 쉬었고 지금도 쉬고 있다'라고 밝힌 것으로 보아 당시에도 내부에서 큰 논란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2]

풀 컬러에다 고급 용지를 사용했다고는 하지만 발매 당시(2002년) 얄팍한 두께와 아쉬운 퀄리티에 비해 만 원이라는 비교적 고가의 가격 책정으로 인해 정태룡을 비롯한 게이머즈 기자 계열의 팬들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좋은 평가는 듣지 못한 책. 따지고 보면 오랫동안 게임라인 을 보거나 그 당시 여러 게임들을 섭렵하지 않았던 이상 70 ~ 90%가량이 이해하기에 난해한 내용들이었던 매우 매니악한 만화였기 때문에 좋은 평가를 기대하는 게 무리였기는 하지만.[3]

그래도 발매 당시의 대중문화(특히 한국 조폭 영화 관련)와 오덕 문화가 어떻게 어우러졌는지 알기엔 더없이 좋은 만화. 칭찬 같은 촌평이지만 딱히 칭찬한 건 아니다.(?!) 사실 취미 그 이상으로 읽기엔 어렵다.

과거 게임라인의 게임 만화 팬으로서, 잡지를 잃어버렸거나 검열된 부분을 보고 싶다는 사람에게는 적당한 책. 그렇다고 모든 게임라인 관련 만화가 있는것이 아니다.

3. 동경사변이 부른 오오쿠 화의란의 맺음곡

동경사변이 부른 곡. 배신과 의심으로 얼룩진 드라마 총체적인 내용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슈라바라 읽는다.

TJ미디어의 노래 반주기기에도 수록되어 있다.

4.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수라장: 범털들의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수라장(게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해당 프로그램의 MC들도 박수옹, 김언이라는 가명으로 출연했다. [2] 다만 훗날 밝혀지길 이 시절 즈음은 정태룡과 성용 팀장 간에 갈등이 심화되어 정태룡이 게이머즈 퇴사를 마음먹기 시작하던 시절이기에, 그야말로 막 나가는 심정으로 만화를 질러버린 것일 수도 있다. 정태룡 항목 참조. [3] 특히나 홍박, 김박, the9 등 캐릭터성이 강렬한 당시 게임 기자들이 그대로 만화에 등장하는 일이 많았는데, 잡지 전체를 보지 않고 만화만 읽으면 그들의 캐릭터를 이해하기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