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7:36:01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1]
Adrien-Marie Legendre
파일:Legendre.jpg
그의 캐리커처, 1820년 살아있을때 그를 그린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작품으로 그림 전체는 이렇다.(이 그림 오른쪽은 조제프 푸리에)
출생 1752년 9월 18일
프랑스 왕국 파리
사망 1833년 1월 10일 (향년 81세)
프랑스 왕국 파리
직업 수학자
학력 파리 고등사범학교
수상 논문으로 수여받은 상 (1782)
레지옹 도뇌르 훈장 (1831)
소속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1783–?)
왕립학회 (1789 선출됨)
배우자 마르게리트클로딘 쿠앵 (1793년 – 1833년)
스승 레온하르트 오일러


[clearfix]

1. 개요

프랑스 수학자. 흔히 '르장드르'라고 한다.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제자이기도 했다.

2. 업적

미적분학(그중에서도 적분학)과 유클리드 기하학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나다순으로 문단을 정렬한다.

2.1.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함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장드르 다항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장드르 함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르장드르 변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르장드르 변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소수생성다항식

르장드르는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면서 소수를 무수히 만들어내는 소수생성다항식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하였다.

2.4. 소수 정리

소수를 항상 생성하는 다항식이 없는 것을 증명한 것과는 별개로, 자연로그 해당 수 이하의 소수의 개수를 어림하는 함수를 제시했다.

2.5.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완벽히 증명하지는 못했지만, 소피 제르맹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한 부분적인 증명을 하는 등 큰 진전을 이끌어냈다.

임의의 소수 [math(p)]에 대하여 [math(2p+1)]이 소수이면 [math(p)]를 소피 제르맹 소수라고 하는데, 소피 제르맹의 아이디어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서 [math(n)]이 소피 제르맹 소수인 경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참일 것 같다는 것이었다.[2] 소피 제르맹의 이러한 아이디어는 결국 1825년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3]와 아드리앵 마리 르장드르에 의해 빛을 발했는데, 이 수학자 두 명이 [math(n=5)]일 때를 증명한 것이다. 다만 둘이서 협동 연구를 한 것이 아니라 각자 알아서 증명을 해낸 것이다.

3. 기타

최소제곱법의 최초 발견자를 두고 가우스와 분쟁을 일으킨 적이 있다. 현대 수학자들에 의한 당대의 논문 연구에 따르면 가우스가 더 먼저 개발한게 맞으며, 둘이 독립적으로 개발한 것이라는게 확인되었다. 미적분학의 최초 발견자에 대한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분쟁과 비슷한 상황이며, 실제로 당대에 이미 수학적으로 명망 높던 르장드르가 가우스를 일방적으로 공격한 것도 유사성이 높은 편. 이 둘 사이를 피에르시몽 라플라스가 중재했는데[4] 이 때 가우스의 대처가 유명하다. 라플라스가 가우스에게 르장드르가 이러니 저러니 하면서 가우스 당신을 공격하고 있는데, 최소제곱법을 먼저 연구했다는 연구 증거 일부를 보내줄 수 있겠냐라고 편지를 보냈더니, 가우스가 보낸 답장 말미에는…
최소제곱법이 100년 전에는 발견되었어야 했는데도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랐다. 이런 별로 대단하지도 않은 것을 르장드르 씨는 뭐하러 저렇게 대단한 업적인양 치켜세우며 선두분쟁을 하려고 하는건가.

라면서 르장드르가 별 시덥잖은 것에 열을 낸다며 소인배로 만들어버린 것. 가우스는 정말로 별로 대단한 업적이 아니다라고 여긴 것으로 보인다.

자신의 얼굴을 그림으로 그리는 걸 싫어하여 생전에 그려진 그림이라고 상술하던 대로 1820년에 푸리에와 같이 그려진 캐리커처뿐이고, 얼굴 표정 봐도 매우 화가 난 얼굴이다. 죽은 다음에 그려진 그림은 더 있긴 한데 ,1892년에 그려진 그림이 있지만 스케치를 토대로 이럴 것이란 상상화에 가깝다.


[1] 원어 발음으로는 '아드히양 마히 르정드흐'에 가깝다. [2] 실제로 제르맹은 '참일 것 같다'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제르맹 자신도 완벽히 증명하지는 못했고, 다만 그것이 참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였기 때문이다. 제르맹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관해서 확실히 증명에 성공했던 것은, [math(n)]이 소피 제르맹 소수일 때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거짓이 되려면 [math(x)], [math(y)], [math(z)] 중 적어도 하나가 [math(n^2)]의 배수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말하자면 충족시키기 매우 까다로운 조건이기에, 그만큼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참일 가능성이 현저히 올라간다는 뜻이다. [3] 디리클레 정리, 디리클레 함수의 그 디리클레이다. [4] 당대에도 르장드르의 공격에 의해 둘 사이의 최소제곱법의 우선 발견자가 누구냐는 논쟁이 당대 학계의 뜨거운 떡밥이 된지라 수많은 수학자들이 심판을 보겠다고 자처했었고, 그 중에서 중립적이며 명망 높은 수학자가 라플라스였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