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9:24:27

신촌블루스

신촌 블루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 파일:신촌 블루스 로고.png 신촌블루스
Sinchon Blues
}}}
파일:external/www.conermusic.com/%BD%C5%C3%CC%BA%ED%B7%E7%BD%BA%281986%29.jpg
<colbgcolor=#fff><colcolor=#000> 그룹명 신촌블루스
결성 1986년
장르 블루스, 블루스 록
멤버 엄인호
이정선
김현식
한영애
정서용

1. 개요2. 활동3. 음반 목록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설적인 혼성 블루스 / 록밴드. 밴드명의 유래는 단순한데 엄인호가 신촌에 살아서 그렇게 지었다고.

가요 블루스 + 록 음악을 접목 시켜서 세련된 음악을 지향했던 밴드로, 1986년, 신촌의 라이브 클럽 레드 제플린에서 엄인호, 이정선[1]( 기타), 김현식, 한영애, 정서용( 보컬)이 모여서 결성되었다.

보컬은 원년 멤버 세 사람을 제외하고도 김동환, 김형철, 박인수, 정경화, 이은미, 강허달림, 강성희 등 여러 수많은 객원 보컬들을 기용하여 다양한 음악적인 색채를 표현해 내었다. 사실 그냥 밴드 그룹보다는 페어포트 컨벤션처럼 느슨한 공동체 느낌의 그룹이었다고 보면 된다.

2. 활동

1988년 첫 앨범 ' 신촌 Blues'는 뛰어난 완성도로 많은 호평을 받았다. 특히 외국 음악에 뒤지지 않는 블루지 한 느낌과 가요의 정겨운 느낌이 절묘하게 조합된 명반이라는 평을 받았다. 첫 번째 곡인 '그대 없는 거리'와 마지막 곡인 '바람인가'에서 들려주는 한영애의 소울풀 한 카리스마가 굉장히 인상적이다. 1998년 발매 된 한국의 대중음악 100대 명반에서 23위, 2007년 2차 한국의 대중음악 100대 명반에서 42위, 2018년 9월 3차에서는 72위에 랭크되었다.

1989년 발표한 2집 ' 신촌 Blues II'에서는 김현식 특유의 소울풀 한 창법이 발휘된 명반으로, 그가 부른 "골목길"은 신촌블루스와 김현식의 대표곡 중 하나로 손꼽힌다. 김현식이 목을 다치기 전에 마음껏 질러대는 보컬을 맛볼 수 있는 귀중한 음반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곡도 한국의 대중음악 100대 명반 83위, 45위, 27위에 랭크되었다.

그 이후 2집까지 같이 활동한 이정선이 떠나고 난 뒤[2], 엄인호를 중심으로 제작된 3집 '이별의 종착역'은 정통 블루스를 추구했던 이정선과는 다르게 '한국의 블루스'를 추구했던 엄인호의 취향이 반영된 작품으로 가요적인 접근이나 블루스의 무게감을 잃지 않은 수작이다.

한때 봄비 박인수가 인간극장에 출연하여 함께 소울 공연을 선보였다. 그리고 3집 앨범 이후의 원년 멤버는 엄인호만 남아 있으며, 객원 음악인들과 함께 카페 '블루버드'에서 정기 공연을 여는 중이다.

3. 음반 목록

신촌블루스의 음반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정규
1집 신촌 Blues
(1988)
2집 신촌 Blues II
(1989)
3집 신촌 Blues III
(1990)
4집 RAINY DAY BLUES
(1992)
5집 신촌 Blues Collection Lights
(1997)
6집 신촌 Blues Revival
(2014)
주요 비정규/Live
신촌Blues LIVE ALBUM
(1989)
신촌Blues LIVE Vol.2
(1991)
신촌Blues 영화 가을여행 OST
(1991)
신촌Blues 30주년 기념 음반
(2016)
}}}}}}}}}



[1] 동덕여자대학교 실용음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한민국 기타 교본 베스트 셀러 '이정선 기타 교실'의 저자이다. 신촌 블루스 활동 이전에도 걸출한 솔로 활동으로 네임드였던 인물이다. [2] 나중에 밝히길 시간이 지나면서 엄인호가 음악적인 욕심이 강해지면서 자유로움이 줄어들었다고 생각해 떠났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