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살상무기 일람 | |
  핵 무기 | <colbgcolor=white,black> 원자폭탄 · 수소폭탄 · 중성자탄 |
  생물학 무기 | 마버그바이러스 · 보툴리누스균 · 에볼라바이러스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 두창바이러스 ( 천연두) · 탄저균 · 페스트균 · 디프테리아 |
  화학 무기 | 겨자 가스 (질소 머스터드) · 루이사이트 · 사린 · 소만 · 청산 ( 치클론 B) · 타분 · 트리코테신 (황우) · CG · VX · 삼플루오르화염소 |
1. 개요
청화수소( 靑 化 水 素)로도 불린다. 영어로는 hydrogen cyanide인데 Prussic acid로도 많이 불렸다.맹독성의 무색 액체 또는 기체다. 화학식은 HCN, 구조식은 H-C≡N. 어떤 경로를 통해 흡수되어도 위험한 맹독이다.
요소, 멜라닌, 폴리우레탄, 아닐린 등의 연소시 발생한다. 즉 시체를 태워도 유독성 가스가 발생한다.
2. 상세
사이안화 수소는 약산성이며 물에 잘 녹는다. 물에 녹으면 사이안화수소산 또는 청산( 靑 酸)[1]이라고 한다.. 물에 녹으면 부분적으로 이온화되어 사이안화이온 (CN )을 내놓는데 바로 이것이 치명적인 역할을 한다. 미토콘드리아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일종인 사이토크롬(cytochrome)에 작용하는 산화효소(oxydase)가 사이안화염과 결합해 활성을 잃고[2] 결국 세포호흡이 불가능해진 세포가 사멸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사이안화물 중독으로 죽은 사람의 혈액은 빨갛고 입술도 맑은 분홍색인데 적혈구가 산소와 결합한 그대로이기 때문이다.이는 다시 말하면 사이안화염을 산화효소가 아닌 다른 화학물질과 결합시키면 사이안화물 중독으로 인한 사망을 막을 수 있다는 의미도 가진다. 실제로 이 원리를 이용한 사이안화수소의 해독제가 개발되었는데 2006년에 미국 FDA의 인증을 받은 이 해독제는 하이드록소코발라민으로 바로 비타민 B12a다. 사이안화이온이 비타민 B12a와 결합하면 흔히 비타민제에서 먹을 수 있는 형태의 비타민 B12로 바뀌어 신장을 통해 오줌으로 안전하게 배출된다.
휘발성이 크고 끓는 점이 26℃로 낮은 편이며 어는 점은 -14℃인데 이 말은 사이안화수소를 흘리기라도 하면 쉽게 증발해서 퍼져 나간다는 뜻이다. 군사적 용도의 독가스로 사용할 경우 이 점이 중요한데 별다른 제독 없이도 금방금방 날아가서 지속시간이 짧은 편이지만 적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해당 거점을 점령하는 데는 적절하다.[3] 거기다 현용 방독면은 이 사이안화수소에 대한 방호력이 낮아서 15~30분 이내에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4] 빨리 증발한다고 위험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군대에서 화생방 시간에 교육하는 작용제의 종류 중 혈액작용제가 바로 이 사이안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한 물건. 영화 쏘우에서도 이 물질을 사용한 부비트랩으로 경찰특공대를 전멸시키는 장면이 나온다.
공기 중 농도가 5.6%를 넘어가면 폭발성을 띤다.
아몬드 냄새[5]가 난다는데 유전적 능력이 있는 일부 사람만 냄새를 맡을 수 있다고 한다. 약간 쓴맛이 난다고 한다.[6]
산소를 발견한 스웨덴 화학자 쉴레(C. W. Scheele)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진파랑색 염료인 프러시안 블루로부터 분리되었고 산성이기 때문에 청산(blue acid)이라 명명되었다. 참고로 쉴레가 자기가 발견한 이 청산을 이용해 자살했다는 소문은 근거가 없다. 여러 업적을 남겼던 연구 과정에서 수은과 납을 비롯한 중금속과 사이안화수소, 플루오린화수소 등의 화합물에 노출되었고[7] 그로 인해 결국 사망했다. #
자연에서도 사이안화수소가 발견된다. 체리, 복숭아, 사과, 살구, 배 같은 과일[8]의 씨 부분에서 발견되며 쓴 아몬드(bitter almonds)[9]에서도 발견된다. 물론 순수한 수소 형태는 아닌데 어쨌거나 천천히 사이안화수소를 방출한다고 한다. 매실청을 담글 때 흔히 들을 수 있는 소리가 '24절기 중 망종 이후에 수확한 매실을 이용해야 한다'인 이유도 망종 이전에 수확한 풋매실 씨방 부근의 청산배당체[10] 때문이다. 풋과일을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난다고 하는 이유도 이것으로 생각된다. # 그래서 토끼에게 사과 씨까지 먹이면 안 된다. 자세한 건 여기 참조. 사람은 어떤가 하면.... 사과를 꼭지에 씨까지 먹는 사람이 있기도 하고 일반적인 양으론 큰 탈이 없다. 복숭아씨(도인)나 살구씨(행인)를 쪼개서 나오는 배와 배젖 부분은 약용이나 건강식품으로 쓰기도 한다.
사과 씨나 복숭아씨의 배 부분에서 나는 특유의 향을 좋아해서 일부러 사과는 씨까지 씹어 먹고 복숭아씨는 핵 부분을 쪼개서 속의 흰 배젖 부분을 먹는 사람도 있지만 그 부분이 독성이 있는 곳이라 장복하거나 엄청난 양의 씨를 우적우적 씹어먹으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는 하는 것이 좋다. 생 행인의 일인 최대 복용량은 성인 남자가 열 개 정도라고 하니 어린이는 먹지 않도록 하자. 다만 오래 말리거나 볶으면 휘발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안전해진다. 전통적으로 복숭아씨와 살구씨처럼 단단한 껍질 안에 있는 것들은 독성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사과씨와 배씨는 전통적으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고 토막상식으로나마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사람 잡는 저 둘에 비하면 그저 맛만 쓴 정도다.
특정 벌레들 중에도. 분비하는 종이 있다고 하며 남미 원산으로 아프리카에서도 식용으로 쓰이는 쓴 카사바[11]라는 식물의 뿌리 1kg 당 1g의 사이안화수소가 있다니 꽤 무섭다. 식용인데.[12]
독성을 활용하여 구서제로 사용되는데 쉽게 말해 쥐용 독가스다. 그리고 사이안화 칼륨과 사이안화나트륨을 만드는데 쓰인다. 물론 이 둘도 맹독성이다. 역으로 사이안화 칼륨과 위산이 반응하면 이것이 된다.[13]
이 물질을 이용해 만든 농약 겸 독극물이 치클론 B다. 홀로코스트에도 쓰였다.[14]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에 등장하는 약물이 바로 이것이다. 경우에 따라선 신경독을 이용하기도 한다.
3. 대중매체에서
기생수에서 이즈미 신이치가 고토에게 찌른 쇠막대에 이 독이 묻어 있었다. 영화판에서는 방사능 물질이었다.영화 007 스카이폴에서 라울 실바가 중국에 잡혀 있을 때 자결하기 위해 어금니 속에 숨겨둔 시안화 수소를 썼으나 실패하고 엄청난 고통과 지우지 못할 상처만 남기고 죽지 못했다. 이때 시안화수소의 영향으로 신체 내부도 심한 손상을 입었지만 입천장과 위턱, 심지어 왼쪽 광대뼈도 살짝 녹아 버려 틀니를 이용한 장치로 정상적인 외모를 유지하는 신세가 돼 버렸다.[15]
오자크에서 달린 스넬은 남편 제이콥 스넬에게 체리씨를 갈아서 커피에 넣고 산책 중 사망하게 한다. 고령의 나이라 단순 심근경색으로 판정받고 제이콥 스넬의 사업을 인계받는다.
영화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에서 시안화 가스가 연구실로 유출되어 주인공들과 공룡들이 위기에 빠지기도 했다.
포탈 시리즈에서 GLaDOS가 사용한다고 한다.
[1]
염화수소를 물에 녹인 것을
염산이라고 하듯, 청화수소를 물에 녹여 청산이라고 부른다.
[2]
일산화탄소도 사이토크롬에 대해 비슷한 작용을 한다.
[3]
영화 와일드 기스에서 바로 이 방법을 이용해 내무실에서 취침중이던 적 경비병력을 제거하는 묘사가 나온다. [4] 정화통의 필터는 최루작용제나 수포작용제 등 대부분의 독가스를 방어할 수 있으나 혈액작용제에는 거의 반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과 반응하는 제제를 활성탄 표면 등에 따로 코팅한다. 그 반응이 모두 끝나면 프리패스. [5]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볶은 아몬드의 고소한 냄새가 아닌 생아몬드 종자를 쪼갰을 때 나는 냄새, 특히 식용으로 쓰지 못하는 쓴아몬드(bitter almonds)의 종자 냄새를 뜻한다. 비릿하고 화학적인 느낌(소위 플라스틱 타는 냄새)이 강하게 난다. [6] 독물을 맛보는 방법이 있기는 하다. 대량의 물에 한 방울 떨어뜨려 희석하고 그걸 다시 대량의 물에 한 방울 식으로 희석하는 걸 필요한 만큼 반복한 다음 맛보기. 물론 치사량 같은 건 동물실험으로 확인한 다음 일이다. 치사량이 좀 널널한 경우에는 원액을 그냥 한 방울 정도 혀에 올려본 다음 물로 씻어내기도 한다. 그라목손 같은 것도 그렇게 맛을 볼 수는 있다. 몸엔 안 좋겠지만 그라목손이 아무리 무시무시하다고 해도 한방울 혀에 대고 바로 씻어내는 정도로도 사망에 이르는 치사량을 가진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참고로 그라목손의 LD50은 15ml이지만 5ml 이하로 음독하면 별다른 치료 없이도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치사량은 적은 양이지만 안전한계(99% 이상 단기 생존)와 치사량과의 차이도 매우 적은 편이다. [7] 자신이 발견, 합성한 물질들을 직접 냄새 맡고 맛을 보는 아주 나쁜 버릇이 있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물질의 성질을 연구하기 위한 설비가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았던 때라 연구 목적으로 그랬다는 말도 있지만 여하튼 중금속과 맹독성 화합물이 즐비한 실험실에서 하나하나 맛을 본다는 것은 자살행위나 다름없다. [8] 전부 장미나무과 식물들이다. [9] 식용으로 부적합한 야생종 아몬드. 식용으로 사용되는 아몬드는 단아몬드(sweet almonds)라고 부르는데 야생 쓴아몬드의 돌연변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10] 체내 효소와 결합하여 극미량의 청산가리가 된다고 한다. [11] 쓴 것과 단 것 두 종류가 있다. [12] 이 때문에 카사바는 반드시 열을 가하는 가공을 거쳐 전분의 원료로 이용되거나 흐르는 물에 오래 담가 독을 뺀 뒤 반죽을 만들어 발효시킨다. 이러한 과정 없이 카사바 전분을 이용해 음식을 만들었다가 대량 중독사태가 일어나기도 한다. [13] KCN + HCl → HCN + KCl [14] 단 2곳에서만 쓰였다고 한다. 그 중 하나가 그 유명한 아우슈비츠 수용소. [15] 그러나 한국 번역판에서는 청산가리로 오역했다.
영화 와일드 기스에서 바로 이 방법을 이용해 내무실에서 취침중이던 적 경비병력을 제거하는 묘사가 나온다. [4] 정화통의 필터는 최루작용제나 수포작용제 등 대부분의 독가스를 방어할 수 있으나 혈액작용제에는 거의 반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과 반응하는 제제를 활성탄 표면 등에 따로 코팅한다. 그 반응이 모두 끝나면 프리패스. [5]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볶은 아몬드의 고소한 냄새가 아닌 생아몬드 종자를 쪼갰을 때 나는 냄새, 특히 식용으로 쓰지 못하는 쓴아몬드(bitter almonds)의 종자 냄새를 뜻한다. 비릿하고 화학적인 느낌(소위 플라스틱 타는 냄새)이 강하게 난다. [6] 독물을 맛보는 방법이 있기는 하다. 대량의 물에 한 방울 떨어뜨려 희석하고 그걸 다시 대량의 물에 한 방울 식으로 희석하는 걸 필요한 만큼 반복한 다음 맛보기. 물론 치사량 같은 건 동물실험으로 확인한 다음 일이다. 치사량이 좀 널널한 경우에는 원액을 그냥 한 방울 정도 혀에 올려본 다음 물로 씻어내기도 한다. 그라목손 같은 것도 그렇게 맛을 볼 수는 있다. 몸엔 안 좋겠지만 그라목손이 아무리 무시무시하다고 해도 한방울 혀에 대고 바로 씻어내는 정도로도 사망에 이르는 치사량을 가진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참고로 그라목손의 LD50은 15ml이지만 5ml 이하로 음독하면 별다른 치료 없이도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치사량은 적은 양이지만 안전한계(99% 이상 단기 생존)와 치사량과의 차이도 매우 적은 편이다. [7] 자신이 발견, 합성한 물질들을 직접 냄새 맡고 맛을 보는 아주 나쁜 버릇이 있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물질의 성질을 연구하기 위한 설비가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았던 때라 연구 목적으로 그랬다는 말도 있지만 여하튼 중금속과 맹독성 화합물이 즐비한 실험실에서 하나하나 맛을 본다는 것은 자살행위나 다름없다. [8] 전부 장미나무과 식물들이다. [9] 식용으로 부적합한 야생종 아몬드. 식용으로 사용되는 아몬드는 단아몬드(sweet almonds)라고 부르는데 야생 쓴아몬드의 돌연변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10] 체내 효소와 결합하여 극미량의 청산가리가 된다고 한다. [11] 쓴 것과 단 것 두 종류가 있다. [12] 이 때문에 카사바는 반드시 열을 가하는 가공을 거쳐 전분의 원료로 이용되거나 흐르는 물에 오래 담가 독을 뺀 뒤 반죽을 만들어 발효시킨다. 이러한 과정 없이 카사바 전분을 이용해 음식을 만들었다가 대량 중독사태가 일어나기도 한다. [13] KCN + HCl → HCN + KCl [14] 단 2곳에서만 쓰였다고 한다. 그 중 하나가 그 유명한 아우슈비츠 수용소. [15] 그러나 한국 번역판에서는 청산가리로 오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