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11:09:41

스위트홈(드라마)/평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
[ 시리즈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949494><tablecolor=#660000>
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
(2020)
||<width=33%>
파일:스위트홈(드라마 시즌 2) 로고.png
(2023)
||<width=33%> ||
[ 등장인물 ]
##엔딩크레딧 순서대로 기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즌 1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949494>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즌 2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즌 3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 관련 문서 ]
||<tablebgcolor=#660000><tablewidth=100%><width=1000> 등장인물 ||<-3><width=80%><colbgcolor=#949494> 시즌 1 시즌 2 시즌 3 ||
괴물 시즌 1 시즌 2 시즌 3
설정 그린 홈 까마귀부대
줄거리 음악 원작과의 차이점 원작


1. 개요2. 종합
2.1. 시즌 12.2. 시즌 22.3. 시즌 3

[Clearfix]

1. 개요

넷플릭스 시리즈 스위트홈》의 평가를 정리한 문서이다.

2. 종합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IMDb=tt11612120, IMDb_user=7.3,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sweet_home, 로튼토마토_tomato=81, 로튼토마토_popcorn=67,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sweet-home-2020, 레터박스_user=3.7,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7780,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3.7,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1331277, 키노포이스크_user=7.2,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TMDB=96648, TMDB_user=84,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sweet-home, 무비파일럿_user=6.5,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2.1. 시즌 1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로튼토마토=sweet_home/s01, 로튼토마토_tomato=83, 로튼토마토_popcorn=85,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Filmarks=10075/14128, Filmarks_user=4.0,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4858078, 도우반_user=7.8,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tEQkroK, 왓챠_user=3.5,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86545, 키노라이츠_light=82.69, 키노라이츠_star=3.3,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MyDramaList=34064-sweet-home, MyDramaList_user=8.7,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초반부와 후반부의 오리지널 스토리의 평은 꽤 좋다.[1] 하지만 늘어지는 중반부에 대해서는 비판이 많다. 초반부의 긴장감 넘치는 분위기에 기대를 높였던 시청자들은 갈수록 괴물과 한 공간에서 지내는 데에서 오는 공포감과 스릴이 대폭 감소한 점을 혹평하고 있다.

우선 주요 등장인물들이 퇴장할 때 신파가 상당히 강조되었는데[2] 이것이 시간을 많이 잡아먹으면서 텐션이 늘어지는 데에 영향을 끼쳤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극중 등장인물들이 마치 이런 일이 벌어질 줄 알았던 것처럼 무감각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긴장하던 시청자들을 맥 빠지게 하기도 한다. 너무나 전형적인 한국적 설정의 신파조 캐릭터 설정과 연기, 대사톤 등은 넷플릭스여서 가능했던 신선한 소재를 그야말로 또 다른 평범한 "한국영화"로 만들어 버린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요소이다. 그리고 괴물이 곳곳에 돌아다니는데도 아무 걱정 없이 엘리베이터를 타거나,[3] 심지어 홀로 오토바이를 타고 그린홈을 떠나기까지 하는 등 긴장감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소들도 지적받고 있다.

장르가 크리처 공포물인데도 불구하고 긴장감과 공포 요소가 크게 떨어지는 연출 또한 주 비판점 중 하나이다. 음향과 구도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영상 매체'로 왔음에도 ' 그림 매체'보다도 긴장감이 떨어지는 부분은 원작에서 느낀 긴장감과 전율을 기대했던 팬들에게는 매우 아쉬운 부분이다.[4][5]

문어체 대사와 많은 인물들에게 서사가 분배된 군상극적인 요소, 괴물과의 전투 양상(누군가 위험 → 다른 사람이 개입/희생해서 몰아냄)은 원작과 동일한 부분. 하지만 위와 같이 긴장감을 저해하는 요소들이 있다 보니 드라마에서는 장르가 모호해졌다, 서사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하며 중구난방으로 흘러간다 등의 단점으로 부각이 되는 불상사가 벌어져버렸다. 크리처 공포물로 보기에는 중후반부 괴물들의 활약이 밋밋하며[6] 앞서 언급된 신파적인 면이 더욱 부각이 되면서 괴물은 그저 전개를 위한 도구에 불과해졌다. 반면 이러한 점이 다채롭고 편집 또한 속도감 있다며 후반으로 갈수록 재밌다는 반응도 있다. 여타 넷플릭스 드라마처럼 클리프행어를 적절히 사용해 뒷 이야기가 궁금하게 만드는 매력 역시 느낄 수 있다는 평도 존재한다.

원작에선 차현수가 원탑 주인공인데 드라마에선 분량이 대폭 줄어 주연 세 명의 비중이 비등하다. 이에 대한 불만도 일부 있는 듯. 조단역 배우들에게도 골고루 서사를 줬다. 그린홈의 주민 모두가 주인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응복 감독이 인터뷰에서 시즌2가 만들어진다면 멀티 주인공을 통해서 소재를 더 확장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시즌2를 기대하게 하는 결말을 보면 편상욱 캐릭터의 활약상이 기대된다.

음악은 혹평하는 의견이 매우 많다. Imagine Dragons Warriors[7] 비와이의 '나란히' 같은,[8]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음악이 자주 삽입되어 오히려 작품의 긴장감을 떨어뜨렸다는 얘기가 많다. 음악의 배치 역시 과하게 극단적이거나 장면에 어울리지도 않아 더 작위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는 지적. 이어지는 비판에 이응복 감독도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반성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음악 선곡에 더 주의를 기울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의도적으로 쨍하게 연출된 색감으로 인해 배경이 더욱 현실과 동떨어져 보이며, 오히려 드라마보다는 게임 트레일러와 흡사해 보인다는 의견 역시 있다. 원작은 칙칙한 핏빛 색감을 유지하며 분위기를 한층 더 살렸는데 도대체 무슨 연유로 반대되게 쨍한 연출을 선택했는지 의문.

미술 면에서 분장, 소품 및 세부적인 디테일은 호평받고 있으나,[9] 배경을 원작의 평범한 오피스텔에서 홍콩 슬럼가에 있을 법한 아파트로 변경한 것은 어색하다는 평이 많다.[10]

요약하자면, 뛰어난 원작과 '이응복'이라는 스타 연출가의 참여로 인한 높은 기대치와는 달리, 공개 이후 비판이 적지 않다. 그렇지만 국내 제작 장편 크리처 드라마가 최초인데다 생소했던 장르를 통해 기존 한국 드라마의 장르적 한계를 벗어나려고 시도한 점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 그리고 작품의 완성도를 떠나 한국형 아포칼립스 크리처물이라는 소재부터가 매우 흥미롭고 신선했다는 점 역시 다수가 공감한다.
원작팬들의 아쉬운 비판도 있지만 그럼에도 전세계적으로 흥행한 요인은 크리처물이긴 하지만 한국적 정서가 잘 녹아있는, 인간애가 넘치고 재미와 감동이 같이 살아있는 작품이란 점이 글로벌적으로 통한 것으로 보인다.

2.2. 시즌 2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로튼토마토=sweet_home/s02, 로튼토마토_tomato=80, 로튼토마토_popcorn=48,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Filmarks=10075/17503, Filmarks_user=3.6,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524443, 도우반_user=5.1,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tPvb8Ny, 왓챠_user=2.2,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17293, 키노라이츠_light=39.06, 키노라이츠_star=2.3,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MyDramaList=705721-sweet-home-2, MyDramaList_user=8.1,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시즌 1 이후 무려 3년이라는 텀 동안 좋은 작품이 나오길 기대한 시청자들을 실망시키며 소포모어 징크스를 그대로 답습해버렸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시즌 1보다 실망스럽다는 평이 많으며, 너무나 많은 등장인물과 개연성 부족한 인물들의 행적, 부족한 연출과 난잡한 스토리까지 제작진에 대한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11]

2.3. 시즌 3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1] 다만 결말의 경우 시즌 2를 염두에 둔 것인지 몇몇 장면들에 대한 설명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는데 이 때문에 결말이 더 난해해졌다는 평이 주축이다. [2] 이는 감독이 "한국적인 요소를 담고 싶었다."는 인터뷰에서도 밝힌 바 의도적인 연출로 보인다.식상해지면 거르고 싶다는 걸 모르나 [3] 작중 경비원 괴물이 단신으로 엘리베이터를 탔을 때 정원을 초과할 정도면 최소 1t 가량의 무게를 가질 것으로 보이나 정작 팔이 잘린 치명상을 입은 성인 남성이 오른팔 하나와 부서진 칼 한자루로 개싸움을 시작하자 맥없이 밀려버리는 모습을 보인다. 정작 경비괴물이 쓰러져 깔렸음에도 딱히 무거워하는 묘사가 없다. 이럴 거면 차라리 정원초과가 되는 장면을 삭제하는 게 나았을 지경. [4] 색감과 컷 전환, 서체만으로도 시시각각 좁혀오는 괴물들의 위협과 공포적인 분위기를 잘 살려낸 원작과 다르게, 드라마의 연출은 대부분이 그저 여타 좀비/호러 영화에서 흔히 보던 '갑자기 놀래키기' 수준에 그친다. 예를 들어, 1화에서 차현수가 처음 옆집 여자 괴물과 마주하는 장면을 보면 원작에서는 고양이 방울을 보고 공포에 질린 차현수와 이어지는 괴물의 음성, 옆집에서 걸어나와 차현수 집 앞까지 움직이는 괴물을 색감과 의성어만으로 살려냈지만, 드라마에서는 세세한 묘사 없이 순식간에 지나가며 원작이 처음 선사했던 긴장감의 절반도 조성하지 못했다는 평이 많다. [5] 그래도 제작비로 인한 한계는 감안을 해야 한다. 한화 300억 원, 미화 2750만 달러 정도인데, 할리우드 영화계에서는 제작비가 1억 달러를 넘지 않으면 블록버스터로 대우받지 못한다. 물론 할리우드 영화에서는 스타 배우들의 출연료가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그것을 고려하더라도 500분 분량의 크리처 드라마를 찍기 빠듯한 예산은 맞다. [6] 여기엔 불규칙한 CG의 퀄리티가 이러한 단점을 더욱 부각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7]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삽입곡이었던 Warriors에 대한 평가의 경우는 주로 리그 오브 레전드 유저들의 혹평이 특히 심하다. 그러나 리그 오브 레전드를 모르는 Warriors를 처음 듣는 사람들은 호평하는 의견도 있다. [8] 의외로 '나란히'는 기괴한 배경과 어우러져 분위기가 있다며 호평하는 의견이 많다. [9] 다만, 총기 디테일이 매우 아쉽다. 당장 등장하는 K2만 봐도 비비탄 총에서 보이는 펌프 부분이 그대로 보인다. 청테이프라도 감았다면 좋았겠지만. [10] 대한민국 건국 이전에 건립된 아파트인 충정아파트를 모델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 [11] 시즌 1의 경우 원작을 좋아하던 사람들 외에는 대부분 좋은 평가를 남겼으나, 시즌 2의 경우 거의 모든 사람이 혹평을 남기고 있다. [12] 1화의 숨바꼭질 괴물과 사치 괴물에 대한 CG가 대표적으로 비판받는다. 특히 사치 괴물의 CG는 게임 그래픽보다도 떨어지는 질감과 밋밋한 움직임을 보여줘 더욱 비판받고 있다. [13] 반면 시즌 1에 이어 재등장한 연근 괴물과 눈알 괴물을 비교했을 때 CG가 훨씬 발전되었다고 호평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8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83 ( 이전 역사)
문서의 r461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