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17:28:40

소신공양

1. 개요2. 사례
2.1. 실제 사례2.2. 가공 매체에서
3. 관련 문서

1. 개요

소신공양()은 스스로의 몸을 불살라 공양하는 것을 말한다.

《묘법연화경》에서 약왕보살이 향유를 몸에 바르고 일월정명덕불(日月淨明德佛) 앞에서 보의(寶衣)를 걸친 뒤 신통력의 염원을 가지고 스스로 자기 몸을 불살랐던 데서 유래한다. 경전은 이를 찬양하여, '이것은 참다운 법으로써 여래를 공양하는 길이다. 나라를 다 바치고 처자로 보시하여도 이것이 제일의 보시이다'라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약왕보살은 나중에 다시 화생[1]한다.

위의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가지고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것이 최고라는 논리를 통해서 미화한다는 일부 인권단체의 주장이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불교에서는 위에 인용한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자신을 희생하는 정신을 나타낸 것으로 보며 실제로 자기 몸을 태우는 분신자살로 보지 않는다. 그리고 이 문서의 제목은 소신공양이지만 묘법연화경에는 소신공양이라는 말이 안 나온다.

불교에서는 원칙적으로 자살을 금지하고 있다. 석가모니조차 소신공양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다. 불교 뿐 아니라 일반적인 종교라면 순교 급의 대의명분이 있지 않은 이상, 기본적으로 자살을 권장하지 않는다.[2]

불교 내부에서 소신공양, 그러니까 인신공양이 아주 없었던 일은 아니지만, 극히 드문일이다. 살생을 금하는 종교가 분신자살을 부추길 이유가 있을까.

그러나 간혹 아래 서술과 같이 실제 소신공양 사례는 있으며 자살을 종교로 미화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엄밀히는 분신 자살의 범주에 들어간다.

2. 사례

2.1. 실제 사례

2.2. 가공 매체에서

3. 관련 문서



[1] 의존함이 없이 저절로 태어나는 것을 말함 [2] 이슬람교나 가톨릭도 일반적인 자살은 율법에서 굉장한 중죄로 치며, 원불교에서는 믿음을 증명하고자 몸을 다치거나 죽는 일을 금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종교-사회에 도움이 되는 자살(행위)는 소신공양, 순교, 희생으로 미화하고 권장하되, 도움이 안되는 자살만 선택적으로 금기시 했다고 보는게 맞다. 당장 원불교에서도 다른 사람을 구하고 입적한 김충식 교무만이 세속적으로 보건복지부에 의해 의사자로 인정받음에 따라 순교자로 인정받았다. [3] 제도화된 수사로 소신공양을 수식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기 때문에 모호함 [4] 이전에 노승은 제자가 동자승 일때 물고기와 개구리, 뱀의 몸에 돌맹이를 실로 매달아 괴롭히는 것을 보고 동자승이 잘 때 등에 돌을 얹고 묶어 놓는다. 아침에 일어난 동자승이 힘들다고 풀어달라 이야기 하자 고통스럽냐고 물은뒤 물고기와 개구리, 뱀에 묶어 놓은 돌을 모두 풀어주고 돌아와야 동자승의 돌도 풀어주겠다 이야기 하며, 만약 그중 하나라도 죽었다면 평생 마음에 돌을 안고 살 것이라 이야기 한다. 동자승은 묵묵히 배를타고 건너가 산의 개울가로 가서 찾은 물고기가 죽어 있자 땅에 묻어 주고, 개구리의 돌맹이를 풀어준뒤 산을 더 올라 찾은 뱀이 죽어 있는것을 보고 펑펑 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