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9 04:43:36

광역버스(서울)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ae1932><tablewidth=100%>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순환 간선 지선 광역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심야
]]
마을 맞춤 공항
0~50번 51~99번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400번대 500번대 600번대
700번대 800번대 900번대 1000번대~
맞춤 마을
관련 문서
역사 /1970년 개편 이전 비판 및 문제점 노선 조정 내역 업체 목록 /공항버스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f72f08><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72f08><colcolor=#fff> 4권역 9401 [[서울 버스 9401-1|
9401-1
]]
9404
9408 9409
7권역 9707 9711
동행버스 서울01 서울03 서울06
}}}}}}}}} ||
파일:동성9401삼각.jpg
9401번 광역버스의 운행 모습

1. 개요2. 광역버스 노선 축소3. 범례4. 유의5. 운행 노선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에서 인가하고 운영하는 버스로, 2004년 7월 1일 서울 대중교통 개편 당시 서울특별시 외부로 나가는 기존의 좌석버스 광역버스라는 분류로 통합한다. 법령상 인가는 기존과 똑같이 좌석버스로 분류되어 있다.[1] 지선버스와 마찬가지로 4자리 숫자로 되어 있고 간선버스와 같이 3자리 행선지가 새겨져 있으며 바탕색은 연한 빨강색이고 겉면에 RED의 R이 새겨져 있다.

광역버스의 정확한 개념은 서울 도심이나 부도심과 수도권 주요 도시를 빠르게 연결하는 형태의 노선이다.

광역버스 번호체계는 9 + 기점권역 + 일련번호 2자리로 한다.[2] 간선버스나 지선버스와 달리 도착지 권역의 번호가 들어가지 않는다.

현재 요금은 2023년 8월 12일 이후로 교통카드와 현금 구분 없이 3,000원이다. 2004년 7월 개편 당시에는 다른 노선과는 달리 환승할인 혜택이 없었기 때문에 교통카드로 환승해도 기본요금을 징수했다. 2008년 9월 20일부터는 간선 및 지선, 순환버스에서 환승해도 환승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추가로 서울시 버스라도 광역버스는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

사족(?)으로 서울시 광역버스는 경기도 직행좌석버스에 전문형 차량이 주로 들어가는 것과 달리[3] 전중문형 차량이 들어가고,[4] USB 충전기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5] 심지어 9707번은 시트 리클라이닝을 지원하지 않는다.[6] 서울 버스이니 당연히 이즐이 아닌 티머니 단말기가 들어간다.[7]

2. 광역버스 노선 축소

서울시는 버스노선 개편 때마다 광역버스를 축소해오고 있다. 2004년 당시 존재하던 서울시 광역버스 중 1, 2, 3, 5, 6권역의 광역버스 노선은 현재 단 하나도 살아남지 못하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광역버스 참조)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거나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현재는 4권역 7권역에만 서울시 광역버스가 있다.

개편 당시 43개에 달했던 광역버스는 개편 후 20년이 지난 2024년 8월 30일 현재 서울동행버스 노선을 제외하고는 7개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그나마 4권역과 7권역에 많았던 광역버스 노선도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은 점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하거나 폐선시키고 있다.

현재 서울시 광역버스 노선 중 살아남은 노선은 4권역과 7권역밖에 없으며, 사실상 분당신도시 일산신도시 전용 노선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서울시에 이득이 되는 분당과 일산 주민들만 우대하고, 그 외 기타 경기도 도시의 주민에 대해서는 선별과 배제의 정치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 하지만 그 분당과 일산은 2004년 기준으로 서울 광역버스 노선이 굉장히 많았던 지역이고 분당/일산 역시 서울시 광역버스는 계속해서 축소되어 왔기에, 이를 분당/일산 우대로 바로 연결하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서울시가 광역버스를 점차 축소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서울의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그 원인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서울특별시는 시내버스를 준공영제로 운영하다보니 시내버스 운행으로 인한 손실을 보조금으로 메워주고 있다. 그런데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대부분은 경기도민이다. 즉, 서울시민이 내는 세금이 경기도민에게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서울시민 수요가 있는 노선 위주로만 재편하는 것이 서울시 입장에서는 이득이다. 그래서 서울시에서는 버스 회사에 지급하는 보조금이 해마다 늘어나자 어떻게든 광역버스를 실수요자인 경기도로 이관하거나 폐선시키는 것이다.

또한 2004년 개편 당시의 과거와는 달리 현재는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신분당선 등의 광역·도시철도망이 확충된 상태이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도 개통, 확충될 예정이라 서울시 면허의 광역버스의 필요성이 줄어들었을 뿐더러, 2기 신도시 3기 신도시는 서울 통근 수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설계가 되었기 때문에 서울시가 해당 지역으로 향하는 광역버스에 투자할 이유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서울 특히 원도심(한양도성)행/강남행 버스 노선이 이미 포화상태라 교통이 감당할 수 없어서 광역버스를 축소한다는 시각도 있다. 그나마 분당과 일산 노선이 살아남은 건 이들은 비교적 서울시민들이 찾아갈 일이 많은 지역이라[8] 서울시민이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노선에 서울시민의 세금으로 투자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9]

하지만 경기도 대부분의 도시가 서울에 인프라를 의존하는 위성도시인 만큼, 서울시가 차별적 정책을 펼쳐서는 안된다는 반론도 있다. 경기도민들이 서울에 와서 일하고 소비하는 행위 자체가 서울의 경제력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또한 서울시와 경기도가 광역행정구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경기도민에게 서울시민의 세금을 쓰기 싫다고 나오는 것은 지역 이기주의로 비춰질 수 있다.

과거 서울시청에서는 광역버스를 살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답변한 바 있지만 #, 관련 사정을 아는 버스 업계나 동호인들은 이를 립서비스로만 보고 있다.

3. 범례

4. 유의

준공영제의 특성상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서울특별시 관계자 이외에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개별 노선 문서에 나와 있는 일일 승객 수 통계는 참고 자료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5. 운행 노선

한때는 의정부, 양주, 남양주, 구리, 하남, 군포, 의왕, 과천, 수원, 인천, 부천, 시흥, 김포 등 다양한 지역에 광역버스가 있었다.

5.1. 4권역 기점: 경기도 성남시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입석금지
9401§★ 분당
구미동
푸른마을 - 효자촌 - 서현역 - 판교역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서울백병원 - 종로2가 서울역 1~12 O
9401-1§★ 분당
푸른마을
서현역 - 판교역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서울시중부기술교육원.블루스퀘어 10~20
9404 분당
구미동
계원예고 - 분당구청 - 내곡터널 - 양재역 - 강남역 신사역 6~10
9408 중앙공원 - 야탑역 - 고등동 - 양재역 - 강남역 - 고속터미널 구반포역 10~14 X
9409 오리역 - 미금역 - 대장지구 - 화랑공원 - 내곡터널 - 양재역 - 강남역 신사역 20~30 O

5.2. 7권역 기점: 경기도 고양시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입석금지
9707 가좌동 대화역 - 마두역 - 능곡역 - 난지한강공원 - 당산역 영등포시장 4~16 O
9711 일산동부경찰서 마두역 - 서정마을 - 서울월드컵경기장 - 한남대교 - 강남역 양재시민의숲역 12~20

5.3. 서울동행버스: 경기도 화성시, 파주시, 광주시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분) 입석금지
서울01 출근 한신더휴
(화성시 동탄)
예솔초 → 이주택지 → 동원.다원중 → 양재역 강남역 15(평일 3회) O
퇴근 신논현역.유화빌딩 양재역 → 동원.다원중 → 이주택지 → 청목초 힐스테이트.호반5차
(화성시 동탄)
20(평일 2회)
서울03 출근 책향기마을10단지11단지 두일초교 → 초롱꽃마을10.12.13단지 → 합정역 홍대입구역 20(평일 3회)
퇴근 홍대입구역 합정역 → 초롱꽃마을10.12.13단지 → 두일초교 책향기마을10단지11단지 20(평일 2회)
서울06 출근 오포베르빌아파트 수레실.오포롯데캐슬 → 신현동행정복지센터 → 태재고개 → 양재역 강남역 15(평일 3회)
퇴근 강남역 양재역 → 태재고개 → 신현동행정복지센터 → 수레실.오포롯데캐슬 오포베르빌아파트 20(평일 2회)


[1] 광역버스는 서울시에서 자체적으로 붙이는 명칭으로 법령상 광역버스라는 등급은 없다. 이는 인천광역시의 광역버스도 마찬가지이다. [2] 단, 2023년 신설된 9401-1번은 예외적으로 부번호가 붙었다. [3] 특히 2023년부터는 도로교통법 시행령 개정으로 광역버스 입석이 싹 막히면서 기존 전중문형 차량도 중문쇄정이 되고 신차가 전문형으로만 도입되는 등 2층버스를 제외하면 전중문형이 전멸하다시피 했다. [4] 또한 경기면허 버스와 달리 2층버스는 전혀 투입되지 않는다. 이 점으로 인해 정원이 경기면허보다 적다. [5] 경기도 공공버스, 대광위 준공영제의 영향으로 요즘 경기도 직행좌석에 USB 충전기는 필수 사양에 가깝다. 심지어 C타입 초고속충전이 되는 차량도 있을 정도. [6] 명색이 3천원 짜린데 경기도에선 일반좌석 급의 차도 들어간다. [7] 태그리스 같은 건 당연히 안 되고, 서울 버스 단말기 특성상 모바일 이즐의 인식률이 병맛인 경우가 종종 있다. [8] 분당신도시행 노선의 경우 서울시민의 판교테크노밸리 출퇴근 수요, 일산신도시행 노선의 경우 KINTEX행 수요가 있다. [9] 9401번 9711번은 서울 강북지구에서 판교테크노밸리와 강남에서 DMC로 가는 서울 시민들도 이 버스를 이용하기 때문. 9409번도 대장지구를 경유하는 노선이지만 출근 시간에는 판교로, 퇴근 시간에 강남으로 향하는 노선의 수요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