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동대문 종점 당시 | 폐지 직전 |
1. 개요
동성교통에서 운행했던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56.8km다.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3번 | |||||
|
|||||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구미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중곡동(중곡역)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6:35 |
막차 | 00:00 | 막차 | 01:30-35 | ||
평일배차 | 15~20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5~20분 / 공휴일 20~25분 | ||
운수사명 | 동성교통 | 인가대수 | 15대[1] | ||
노선 | 구미동차고지 - 미금초등학교 - 대우.롯데아파트 - 정자3동행정복지센터 - 푸른마을 - 효자촌 - 이매촌한신. 서현역.AK프라자 - 상공회의소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 - 성남시청 - 모란역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복정역 - 장지역.가든파이브 - 문정역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역 - 잠실대교 - 자양동잠실대교북단 → 어린이대공원후문. 아차산역 → 중곡역 → 군자역 → 어린이대공원 → 자양동잠실대교북단 → 이후 역순 |
3. 역사
- 구 906번 심야좌석버스(분당 - 을지로5가)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403번으로 변경됐다.
- 2017년 2월에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이 개정되면서, 운행 종료 후 8시간 이상 운수 종사자의 휴게시간을 보장해야 하는 것이 법으로 정해졌다. (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규칙 별표4 제1호 라목 3) 이로 인해 2017년 5월 6일에 구미동발 첫차가 03:20에서 05:00로 1시간 40분 늦춰졌고, 막차는 01:00에서 00:00로 1시간 앞당겨졌다. 관련 게시물
- 2020년 6월 26일부터 '동묘역앞(ID 01-235)' 정류소에 추가 정차한다. 관련 공문
- 2021년 9월 24일을 기해 9409번 신설을 위해 7대가 감차됐다. 이번 감차로 운행 댓수가 평일/토요일 각각 6대, 공휴일 5대 감축됐다.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 횟수도 98회/98회/80회에서 76회/74회/60회로 22회/24회/20회씩 감회됐으며, 배차간격 역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11분/9~13분/9~13분에서 10~15분/12~16분/13~16분으로 늘어나게 됐다. 관련 공문
-
2023년 2월 13일부터
아차산역으로 단축됐으며, 아차산역 → 대원고교앞 → 중곡역 → 군자역 → 어린이대공원 → 광진구청 경로로 회차하며, 천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경유하지 않는다. 단축과 동시에 4대가 감차되어
9401-1번 신설에 투입됐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으로 운행 댓수가 평일/토요일 각각 4대, 공휴일 3대 감축됐고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76회/74회/60회에서 69회/65회/52회로 7회/9회/8회씩 감회됐다. 배차간격 역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15분/12~16분/13~16분에서 15~20분/15~20분/20~25분으로 늘어났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공문(운행계통 소급적용)
{{{#!folding [ 노선 단축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 2023년 8월 21일을 기해 서울01번 개통을 위해 2대가 감차됐다. 이번 감차로 평일 운행댓수가 1대 감축됐다. 또한 전일에 걸쳐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도 병행되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69회/65회/52회에서 60회/60회/48회로 9회/5회/4회씩 감회됐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관련 공문
- 2024년 2월 5일을 기해 간선버스 422번으로 전환되었으며, 이후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
4. 특징
-
서울 광역버스 중
분당신도시로 갈 때 유일하게
성남 본시가지를 경유했다.
복정역 1번출구 정류장에서
수정구가 아닌송파구 위례신도시를 잠깐 지나갔다. 참고로 9408번은 수정구와 중원구를 경유하지만 원도심이 아닌 서울공항, 고등동, 여수동만 거치고, 다른 버스는 분당신도시와 판교신도시만 경유한다.
- 9401번, 9404번, 9408번과 함께 구미동 일대에서의 정류소 간격이 매우 촘촘하다. 특히 대우.롯데아파트/신원아파트 - 미금초등학교 구간이 가장 촘촘한데, 약 120m 간격이다. 형간 전환 이후로는 미금역 경유로 변경되면서 구미동을 지나지 않고 그 부분을 성남 버스 351이 매꿔주게 되었다.
- 9408번처럼 고속(화)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노선상의 거의 모든 정류소에 정차하므로, 소요시간이 꽤 길다. 그래서 출퇴근 시간에도 좌석을 노릴 수 있을 정도로 이용객이 많지 않았다.
4.1. 군자역-동대문 구간 단축 이전
- 첫차가 03:20[2]이었을 때에는 오리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불과 1시간 20분대에 주파했다. 게다가 첫차 수요가 많아서, 03:20에 구미동에서는 첫차 3대가 연달아서 나갔다. 그렇게 나간 3대는 서로서로 추월해가며 밤새도록 버스를 기다리던 사람들이나 새벽에 출근객들을 실어 날랐다. 또는 앞차가 미친 듯이 밟고 다른 두 대가 다소 서행하면서 승객을 쓸어담기도 했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는 같은 노선 간의 추월을 허용하지 않음에도 위에 적은 행위가 가능했던 것은 03:00~04:00가 서울시 BMS의 정기점검 시간대였기 때문이다. 버스정보 앱에도 이 시간대에는 운행하는 버스가 보이지 않았다가 2015년 신형 티머니 단말기가 장착된 뒤에야 보이게 됐다. 그래서 신형 티머니 단말기 장착 전까지는 9403번의 저 추월 장면을 보려면 직접 막차나 첫차를 타야 했다.
- 거기다 새벽에 동대문을 나선 막차는 야탑역 ~ 이매촌한신아파트( 서현역 동편) 사이에서 첫차와 만났다. 즉, 막차가 구미동에 도착하여 운행을 마치기 전에 첫차 운행이 시작된 것이다.
- 2017년 5월 6일 자로 첫/막차시각이 조정되자, 많은 버스 동호인들은 이러다 수요가 확 주는 것 아니냐며 탁상행정이라고 비난했으며 예상대로 이 문서를 보듯이 수요가 무려 20%나 증발했다.
- 다만, 이를 무작정 탁상행정이라고 비난만 하기도 곤란하다. 개정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으로 인해, 운전자 휴게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가 반드시 필요했기 때문이다. 기점 기준 21시간 40분(03:20 ~ 익일 01:00)에 달하는 넓은 운영시간대를 유지하면서는 개정된 법을 준수할 수 없어서 내려진 조치라는 것이다. 법을 지키면서도 심야운행을 감축하지 않으려면, 예산 투자액 자체를 늘려 운전인력을 대폭으로 추가고용하든지, 이 노선의 운영 형태를 완전히 갈아엎어야 하는데 둘 중 어느 방향이든 지자체/운수업체 측이 손쉽게 결단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첫차를 더 늦출 수 없다면 이 노선의 막차가 다시 더 늦춰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다만 평상시 수요는 매우 저조한데다 평시에는 대체 노선이 많으니, 첫/막차시각을 각각 늦은 오후와 익일 오전시간대로 설정하고 공백시간은 낮에 두는 식으로 운영 형태를 갈아엎어서라도 심야 운행을 남겨두는 것이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 편익에 있어 더 바람직했을 것이라는 견해도 존재한다.
- 첫/막차시각의 조정 후에도 동대문 기준 막차시각은 01:40~50이었기에 나름대로 심야버스 역할을 어느 정도는 계속해 주고 있었다. 게다가 9403번을 탈 수 없게 된 시간대에도 2018년 10월말까지는 각 방향별 막차시각이 9403번보다 늦었던 1005-1번(구미동 기준 00:40/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기준 02:00)이 부분적으로 대체재 역할을 했었고, 그 후 2019년 7월 1일자로 성남형 심야버스인 반디1번/ 반디2번이 운행을 개시하면서 서울과 성남을 오갈 때 평일에나마 9403번의 첫/막차시각 조정 전보다도 버스 이용시간 범위가 더 넓어지게 됐다. 이 2개의 반디버스 노선들은 비록 정차 정류소 수는 9403번과 (구)1005-1번보다 더 적지만 평시 버스노선들과 전철의 운행이 시작될 때까지 계속 운행하기 때문에, 평일에는 대중교통을 이용한 서울-성남 심야 이동에 있어 시간대 제약이 완전히 사라진 셈이다.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3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6,341명 | - |
2014년 | 6,480명 | △ 139 |
2015년 | 5,848명 | ▽ 632 |
2016년 | 5,153명 | ▽ 695 |
2017년 | 4,402명 | ▽ 751 |
2018년 | 3,737명 | ▽ 665 |
2019년 | 3,851명 | △ 114 |
2020년 | 3,194명 | ▽ 657 |
2021년 | 2,848명 | ▽ 346 |
2022년 | 2,847명 | ▽ 1 |
2023년 | 1,940명 | ▽ 907 |
2024년 | 1,439명 | ▽ 501 |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24년 자료는 1월 1일부터 형간전환 직전일인 2월 4일까지 3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첫차가 늦춰지고 막차는 당겨지면서 승객수가 크게 줄었다. 성남시 심야버스 반디버스가 2019년 7월부터 운행을 개시하고, 서울특별시도 2022년부터 심야버스 확대운행을 실시하면서 승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 2023년부터는 노선마저 중곡동으로 단축되어 900명이나 감소했고 동년 12월에는 680번 마저 개통되어 승객이 더 감소할 우려가 있었다.
4.3. 노선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3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종합의료복합단지 05269 |
← |
중곡역.국립정신건강센터 05270 |
|||
중곡동성당 05268 |
↓ | ↑ |
용암사입구 05135 |
|||
중곡2동주민센터앞 05112 |
대원고교앞 05136 |
|||||
능동사거리.군자역 05253 |
↓ | ↑ |
중곡동종점 05137 |
|||
능동교회앞 05252 |
신성시장 05138 |
|||||
어린이대공원앞.세종대학교 05251 |
↓ | ↑ |
중곡동입구 05139 |
|||
어린이대공원역3번출구 05231 |
어린이대공원후문 05258 |
|||||
어린이회관 05233 |
↓ | ↑ |
구의2동주민센터입구 05152 |
|||
구의사거리.광진소방서앞 05144 |
구의사거리 05154 |
|||||
이상 편도 회차 구간 | ||||||
광진경찰서 05145 |
↓ | ↑ |
광진경찰서 05146 |
|||
광진구청 05175 |
광진구청 05148 |
|||||
- | ↓ | ↑ |
동서울우편집중국앞 05192 |
|||
자양동잠실대교북단 05188 |
자양동잠실대교북단 05194 |
|||||
잠실역.잠실대교남단 24002 |
↓ | ↑ |
잠실역.잠실대교남단 24001 |
|||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4 |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3 |
|||||
석촌역 24006 |
↓ | ↑ |
석촌역 24005 |
|||
송파역 24008 |
송파역 24007 |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10 |
↓ | ↑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09 |
|||
문정로데오거리입구 24012 |
문정로데오거리입구 24011 |
|||||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24014 |
↓ | ↑ |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24013 |
|||
장지역.가든파이브 24016 |
장지역.가든파이브 24015 |
|||||
- | ↓ | ↑ |
복정역1번출구 24305 |
|||
장지동 24340 |
복정역2번출구 24420 |
|||||
복정동행정복지센터 48068 |
↓ | ↑ |
복정동행정복지센터 48058 |
|||
- |
복정초등학교 48070 |
|||||
동서울대학교 48066 |
↓ | ↑ |
동서울대학교 48065 |
|||
복정파출소.복정캠퍼스맛집거리 05170 |
복정파출소.복정캠퍼스맛집거리 05205 |
|||||
복우물.웃말입구 48059 |
↓ | ↑ |
복우물.웃말입구 48067 |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48069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48019 |
|||||
수진리고개.태평고개 48020 |
↓ | ↑ |
수진리고개.태평고개 48023 |
|||
성남수정경찰서앞 48018 |
성남수정경찰서 48021 |
|||||
모란고개 48041 |
↓ | ↑ |
모란고개 48042 |
|||
모란역(광역.시외버스) 49005 |
모란역4번출구 49001 |
|||||
성남시청전면 49602 |
↓ | ↑ |
성남시청전면 49074 |
|||
동부.코오롱아파트 49604 |
- |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전면) 47115 |
↓ | ↑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광역버스) 47116 |
|||
야탑2동행정복지센터.차병원 47637 |
야탑2동행정복지센터.차병원 47636 |
|||||
하탑초교.탑마을진덕아파트 47125 |
↓ | ↑ |
하탑초교.탑마을3차아파트 47140 |
|||
이매중학교 47075 |
삼환아파트 47092 |
|||||
상공회의소 47093 |
↓ | ↑ |
이매촌삼성아파트 47088 |
|||
- |
상공회의소 47070 |
|||||
진흥아파트 47089 |
↓ | ↑ |
이매촌안말초교.성지아파트 47071 |
|||
이매촌금강아파트.코오롱아파트.동부아파트 47072 |
이매촌금강아파트.코오롱아파트 47090 |
|||||
이매촌한신.서현역.AK프라자 07616 |
↓ | ↑ |
이매촌한신.서현역.AK프라자 47104 |
|||
새마을연수원입구 47055 |
새마을연수원입구 47059 |
|||||
서현중학교 47063 |
↓ | ↑ |
서현중학교 47065 |
|||
동아우성아파트.효자촌.시범단지 47064 |
효자촌 47054 |
|||||
중앙공원.샛별마을라이프아파트 47023 |
↓ | ↑ |
중앙공원.샛별마을.라이프아파트 47022 |
|||
중앙공원.샛별마을우방아파트 47018 |
샛별마을.우방아파트 47024 |
|||||
푸른마을 47021 |
↓ | ↑ |
푸른마을 47017 |
|||
한솔마을.LG아파트 47025 |
한솔마을.LG아파트 47029 |
|||||
정든마을.우성아파트 47037 |
↓ | ↑ |
정든마을.우성아파트 47043 |
|||
정자3동행정복지센터 47035 |
정자3동행정복지센터 47041 |
|||||
더샵분당파크리버.헬스케어혁신파크 47044 |
↓ | ↑ |
더샵분당파크리버.헬스케어혁신파크 47036 |
|||
청솔마을 07410 |
대원사거리.까치마을 47154 |
|||||
신원아파트 47160 |
↓ | ↑ |
대우.롯데아파트상가 47157 |
|||
미금초등학교 47149 |
미금초등학교 47150 |
|||||
오리초등학교 47159 |
↓ | ↑ |
오리초등학교 47155 |
|||
하얀마을.그랜드빌.벽산빌라 47156 |
하얀마을.그랜드빌.벽산빌라 47148 |
|||||
무지개마을.건영아파트 47166 |
↓ | ↑ |
주공4단지 47170 |
|||
신한아파트 47168 |
LG아파트.무지개마을사거리.신한아파트 47163 |
|||||
낙생농협 47162 |
↓ | ↑ |
성우스타우스 47167 |
|||
구미동차고지·구미동차고지앞 47172·07476 |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기준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구의역[3]
- 수도권 전철 3호선: 가락시장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아차산역[4], 군자역[5]
- 서울 지하철 7호선: 중곡역, 군자역, 어린이대공원역[6]
- 수도권 전철 8호선: 모란역, 복정역,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잠실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석촌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미금역, 서현역, 이매역[A], 야탑역, 모란역, 태평역, 가천대역, 복정역
- 수도권 전철 경강선: 성남역, 이매역[A]
- 신분당선: 미금역
[1]
공휴일 12대 운행
[2]
이 첫차시각은 한참이 지나 2024년 6월 1일부터
4318번이 물려받는다. 이쪽은 풍납동에서 방배동 방향으로의 기존 첫차시각을 유지하기 위한 일환이다.
[3]
광진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
[4]
중곡동 방면만 경유, 어린이대공원후문 정류장 하차
[5]
분당 방면한정
[6]
분당 방면한정
[A]
중곡동 방면 성남역 하차 구미동 방면 이매촌안말초교.성지아파트 하차 후 도보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