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니가타현의 도시 산조시
- 산림조합
-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등장 몬스터 산조 아케노시름
1. 개요
산조( 散 調)는 조선 말기인 19세기에 처음 등장한 국악 중 한 갈래로, 민속악에 속하는 기악 독주곡이다.2. 상세
국악의 갈래 중 전통 민속악으로서는 가장 최근에 만들어졌으며 시나위의 가락에서 파생된 음악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개중에는 백낙준류 거문고 산조나 박종기류 대금 산조, 한일섭류 아쟁 산조같이 판소리의 더늠으로 만들어진 산조도 있다. 진양조부터 시작해서 중모리, 중중모리, 엇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단모리(또는 세산조시)까지 점점 빨라지는 장단에 맞추어 자유분방하게 연주하는 음악이다. 가락은 계면조나 평조, 우조, 경조 중에서 택하는 것이 보통이고, 연주하다가 청이 바뀌며 조바꿈되는 경우도 있다.반주는 장구가 이용되며, 드물게 소리북도 쓰인다. 특히 산조에서 타악 반주는 판소리의 고수에 해당하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조를 듣다 보면 장단 사이사이에 절묘하게 녹아들어가는 장구재비의 '얼쑤!', '으이!', '좋다!' 하는 추임새도 들을 수 있다.
각 장단 하나하나 곡은 그리 길지 않지만 진양조부터 휘모리까지의 전 바탕은 상당히 길다. 원래 짤막하게 짜놓은 산조도 전수 과정에서 계속 새로운 가락이 짜넣어지며 길어지는 경우도 많고,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처럼 제대로 연주하면 한 시간 걸리는 대규모 산조도 있다. 이 때문에 혼자 여는 독주회가 아니거나 여러 곡을 연주해야 하는 경우, 장단 하나만을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한범수류 대금 산조 중 자진모리'라든가). 요즘에는 '짧은 산조' 또는 '새산조'라고 해서 길이를 줄여 한바탕을 연주하기도 한다.
처음으로 산조 가락을 연주하기 시작한 것은 가야금 산조의 시초인 김창조(1865~1919)라고 전해지며, 거문고 산조는 백낙준, 대금 산조는 박종기, 해금 산조는 지용구/지영희/한범수, 피리 산조는 지영희/이충선, 아쟁 산조는 한일섭에 의해 연주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민속음악인 만큼 구전심수로 사사하기 때문에 상당히 유파가 많고, 같은 유파 안에서도 연주자마다 자신만의 애드립을 많이 넣어 연주자들의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음악성이 발휘되는 음악이며, 시나위, 내지는 재즈처럼 즉흥성이 강하다. 또한 비교적 어린 장르라는 특성상 새로운 유파의 탄생과 구성의 개조가 꽤나 자유로운 것도 특징이다.
산조의 '산(調)'은 흩을 산 자인데, 산조가 만들어졌을 때 기존의 예인들이 가진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반영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처음 거문고 산조가 선보여졌을 때도 '선비의 악기로 속된 음악을 연주한다'고 하여 세간에 물의를 빚은 적이 있다고 한다.
3. 종류
3.1. 가야금 산조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 |
진양조와 중모리와 같이 느린 악장에서는 현을 뜯은 뒤 흔들듯이 눌러주는 농현과 미분음의 처리가 중요하며, 자진모리나 휘모리에서는 엇박과 헤미올라의 복잡한 리듬이 특징이다. 휘모리와 단모리에서는 빠른 가락을 연주하는 기교가 들을 만 하다. 전체적으로 보면 가야금 산조는 긴장과 이완, 즉 죄었다 풀었다하는 맛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전하는 유파로는 한성기류-김죽파류, 안기옥류, 정남희류, 성금연류, 최옥삼류, 함동정월류, 강태홍류, 김병호류, 김윤덕류, 김종기류, 심상건류 등의 유파가 있다.
가야금 산조는 물론이고 산조 그 자체의 효시가 되는 김창조류는 김창조의 제자들인 안기옥, 정남희, 최옥삼 세 사람이 모두 한국 전쟁 이후 모두 월북 및 납북이 되고 말았고 이후 행방이 묘연해지는 바람에 전해지지 못했다.
3.2. 거문고 산조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 |
농현으로 표현되는 미분음과 심오하고 섬세한 가락이 특징이다. 기본 형식은 진양-중모리-자진모리의 3악장 형식이나 중중모리, 엇모리가 삽입되는 경우가 많다. 간혹 천년만세의 양청도드리를 변주한 휘모리도 드물게 연주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거문고의 16개의 괘 중 정악은 가장 높은 음을 13괘로 내어 괘를 13개만 사용하지만 산조를 탈 때는 15괘까지 타고, 유파나 전수자에 따라 15괘에서 줄을 더 밀어 16괘의 음까지 내기도 해서 실질적으로 모든 괘의 음을 다 사용한다.
전하는 유파로는 신쾌동류, 한갑득류, 김윤덕류 등이 있다.
3.3. 대금 산조
이생강류 대금 산조 |
정악 대금보다 훨씬 짧은 산조 대금으로 연주한다. 장단 구성은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의 4악장 구성으로 가장 많이 연주되고, 때때로 굿거리, 엇모리, 동살풀이, 휘모리 등을 첨가하여 다양한 장단으로 구성된다. 특히 도섭으로 진행되는 자진모리의 푸는 가락들은, 빠른 장단의 달아가는 긴장감을 순간 이완시켜 긴장과 이완을 고루 보여주게 된다.
조(길 또는 악상조)는 우조와 평조, 계면조를 사용하게 된다. 유파에 따라 경조(경드름)를 첨가하기도 하고, 4도 내지 5도 6도 윗음으로 전조되는 변청을 넣어 다양한 느낌을 주기도 하며, 엇청으로 또다른 맛을 내기도 한다.
전하는 유파로는 이생강류, 서용석류, 원장현류가 있다. 이 외에도 박종기제, 강백천류, 한주환류, 한범수류, 김동진류 등이 있다.
3.4. 해금 산조
지영희류 해금 산조 |
기본 구성은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지영희류는 중중모리와 자진모리 사이에 굿거리가 첨가되어 있다.
3.5. 아쟁 산조
박종선류 아쟁 산조 |
아쟁 산조는 계보에 의한 한 바탕(본바탕)이 없고, 시나위 가락을 혹은 판소리 더늠을 모아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의 장단에 얹어 연주하고 있다. 그것은 소위 아쟁산조의 3대 창시자로 불리는 정철호, 장월중선, 한일섭 등이 모두 다른 산조주자와는 달리 판소리와 시나위 가락을 먼저 익혔던 부류이기 때문이다. 특히 장월중선을 제외하고는 도드리니 당악이니 하는 풍류 연주를 제대로 학습하지 않았고, 대신 판소리와 민요, 시나위에 더 친숙했으며, 장월중선의 경우에도 풍류를 배우기는 했지만, 그 자신이 풍류 연주자가 아니라 판소리, 병창, 산조, 시나위 등으로 더 많이 활동했기에 더욱 판소리, 시나위 계통과의 친연성이 강조된 것이라 하겠다. 거기다가 결정적으로 한일섭과 정철호는 본래 판소리꾼에서 악사로 전업하면서 창극과 여성국극 반주자로 자주 활동했는데, 자연히 판소리와 음악적 친연성이 컸다.
아쟁산조는 1970년대를 거치면서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었는데, 유파로는 고형에 해당하는 한일섭류, 정철호류, 장월중선류 등이 있고, 이들의 제자 세대로서 박종선(한일섭 계), 김일구(장월중선 계) 등이 또 유파를 새로 만들었다. 이 외에도 여성국극단 악사 출신인 윤윤석이나 백인영 등이 자신의 유파로서 아쟁산조를 발표하기도 했다.
3.6. 피리 산조
박범훈류 피리 산조 |
현재 흔히 연주되는 산조의 종류 중에 가장 최근에 탄생했다. 피리 산조는 한바탕을 완주하는 연주자가 흔하지 않고, 있다 해도 사사 계보가 불분명하여 체계적으로 전해지지 못하였고 다른 산조에 비해 인지도도 다소 낮다. 한때 한주환의 대금산조 가라을 피리로 연주한 적도 있다. 오늘날과 같은 피리산조 가락은 이충선이 연주한 피리 가락을 서한범이 채보하고, 더불어 다른 악기의 산조 가락을 피리에 알맞게 옮겨 채보하고 가락과 장단을 정리해 틀을 짜 한 바탕으로 전해지고 있다.
피리 산조의 발달이 늦은 까닭은 몇 가지가 있는데, 주된 이유로 꼽히는 것은 피리의 음역 제한 문제이다. 정악에서는 애초에 사용되는 음역이 넓지 않은 관계로 피리가 주선율을 담당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넓은 음역을 자유자재로 사용해야 하는 산조에서는 음역의 제한이 치명적인 문제가 된다. 특히 음 진행 중 한 옥타브 이상 혹은 이하의 음으로 급하게 도약할 경우는 연주 흐름이 끊겨버릴 가능성이 높다. 또 피리를 불 때는 볼과 입술에 힘을 많이 줘야 해서 한바탕 완주가 힘든 것도 피리산조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단점이 있지만, 피리 산조 역시 음악적 아름다움은 충분하다. 특히 악기 자체가 가지고 있는 크고 아름다운 음량을 통해 다이나믹한 효과를 잘 살려 낼 수 있고, 한 포지션에서 2~3도 이상의 음정을 만들어 내거나 미분음 처리를 하는 것, 꺾는 대목 등의 기교나 표현을 자유로 구사할 수 있다는 점 등이 피리 산조의 장점이라고 들 수 있다.
전하는 유파로는 정재국류, 서용석제 한세현류, 박범훈류 등이 있다. 박범훈류 산조의 경우 작곡자가 오선보에 기보하는 식으로 작곡된 최초의 국악기 산조로 알려져 있다.
3.7. 단소 산조
전용선류 단소 산조 |
단소는 체제도 작고 조옮김도 힘들어서 산조 연주가 힘들다고 생각되어 왔으나, 전용선류 이래 앞편의 지공을 3개만 사용하는 일반적인 주법과 달리 5개의 지공을 모두 사용하며, 조옮김은 반규법(지공을 반만 막는 법)을 사용해서 연주한다. 하지만 반규법으로 정확한 소리를 내는 것이 어렵고, 산조의 굵은 요성을 단소로 내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흔하게 연주되는 편은 아니다.
유파로는 전용선류, 최옥삼류 등이 있다.
3.8. 양금 산조
서공철류 양금 산조 |
타현악기인 양금은 농현이 힘들어서 시초가 되는 서공철류의 경우 시김새가 별로 없는 소박하고 꿋꿋한 구성이 특징이며, 휘모리에서는 양금 특유의 트레몰로 주법을 통해 시원하게 몰아가는 것이 특징. 이후 윤은화류 등에서 꺾기와 흘리기를 추가하기도 했다. 주 감상 포인트는 타현악기 특유의 셈여림의 기교에 집중하는 것.
유파로는 서공철류, 윤은화류 등이 있다.
3.9. 서양 악기 산조
김도균류 기타 산조 중 자진모리(...)[2] |
김수철의 기타산조(김덕수 듀오) |
플루트 산조 |
요즘에는 서양 악기를 사용해 산조를 짜기도 한다. 기타 산조(일렉트릭 기타 산조도 있고 클래식기타 산조도 있다), 플루트 산조, 첼로 산조, 피아노 산조 등. 이러한 새로운 산조의 경우 처음부터 오선보 등 악보에 작곡되는 경우가 많다.
3.10. 기타 다른 악기들의 산조
김효영류 생황 산조 | 김경아류 태평소 산조 | 원완철류 소금 산조 |
정영범류 비파 산조[3] | 김영철류 철현금 산조 | 김동근류 퉁소 산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