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3 18:01:10

빠짐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달랑베르 연산자에 대한 내용은 나블라 문서
번 문단을
달랑베르시안 부분을
, 문자가 깨졌을 때 일부 운영체제에서 나오는 오류 문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서가 있는 문장 부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배경 음영: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되지 않은 문장 부호
동아시아 (CJK)
문장 부호
}}}}}}}}} ||

1. 개요

1. 개요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1. 옛 비문이나 문헌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大師爲法主□□賴之大□薦
  1.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내용을 알 수 없거나 명확하지 않을 때 글자의 수(수효) 만큼 표시하며, 저속한 내용을 검열하는 숨김표 용도로도 쓰인다. 문장의 어느 곳에나 쓸 수 있으므로 빠짐표는 띄어쓰기가 일정하지 않다. 초등학교 수학에서는 미지수의 용도로 쓰인다. [1]
[1] 예: 어떤 수를 □라 하거나 □+6=9 등의 수식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