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4:26:33

비FA 다년계약

1. 개요2. 제도 도입 과정3. 역대 비FA 다년계약
3.1. 투수3.2. 야수3.3. 100억 클럽
4. 특징
4.1. 장점4.2. 단점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BO 리그에서 FA 자격[1]을 얻기 전에 원 소속 구단과 추가로 체결하는 다년 계약을 의미한다. 사실상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연장계약과 거의 동일하나 현재는 해당 제도 도입 초창기라 FA가 아닌 선수의 2년 이상 장기 계약에 따로 명칭을 붙여 부르기 시작했고 이것이 어느정도 굳어진 것이다.[2]

2. 제도 도입 과정

안치홍이 남긴 위대한 유산…KBO리그 '다년 계약' 시대 열렸다

2020 FA 시장에서 안치홍이 2+2년 최대 56억으로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을 했다. 그런데 당시 계약 내용에는 2년 계약 후 선수와 구단의 상호 합의시 남은 +2년을 파기하고 FA 자격을 얻을 수 있다는, 기존 한국 프로야구에는 없었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3] 그러나 KBO 규정상 FA 선수의 FA 재자격 취득은 4시즌을 뛰어야 부여받을 수 있었고, 만약 안치홍의 해당 내용이 실행된다면 롯데와 계약을 해지하더라도 'KBO가 인정하지 않는 자유계약선수'가 되어 1년 계약을 두 번 맺어 4시즌을 채운 후에야 2차 FA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는 희한한 상황이었다. 이에 대해 안치홍의 에이전트 이예랑을 포함한 여러 곳에서 목소리를 내었고, KBO가 법적 검토를 거친 후 "계약 기간이 끝나면 연장계약이 가능하다"는 유권해석을 내리면서 본격적으로 비FA 다년계약이 허용이 됐다.

유권해석으로 출발한 비공식적인 제도 때문에 초창기에는 다년계약 기간도 FA 자격 일수 기준에 충족되어서 FA 등록에 혼선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고, 실제로 비FA 다년계약을 체결한 오지환과 LG는 보호 명단을 늘리기 위해 2023 시즌 종료 후 계약을 파기하고 FA로 다시 계약을 체결하는 전략을 썼다. 일단은 규정이 없었으니 오지환의 FA는 인정됐지만,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결국 2024년 1월 11일 KBO 이사회 결정에 따라 비FA 다년계약 규정이 신설되었다. 구단은 비FA 다년계약 발표 다음 날까지 KBO에 계약서를 제출하고 KBO는 계약서를 받은 다음 날 계약 사실을 공시하며, 계약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계약 질서를 어지럽히는 행위로 간주해 상벌위원회에서 제재 심의를 한다. 비FA 다년계약 선수는 계약 기간 중 FA 자격을 취득할 수 없다.

3. 역대 비FA 다년계약

3.1. 투수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역대 KBO 리그 비FA 다년계약 투수 목록
<rowcolor=#fff> 이름 소속 구단 계약 일자 계약 규모 역대 비고
1 문승원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2021년 12월 14일 5년 55억
2022~26년, 연봉 총액 47억, 옵션 8억
공동
1호
역대 최초
비FA 다년계약
박종훈 5년 65억
2022~26년, 연봉 총액 56억, 옵션 9억
2 김광현 2022년 3월 8일 4년 151억
2022~25년, 연봉 총액 131억, 옵션 20억
5호 [4][5]
3 박세웅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2022년 10월 26일 5년 90억
2023~27년, 연봉 총액 70억, 옵션 20억
6호 군 복무시 2029년까지[6]
4 구창모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2022년 12월 17일 6년 125억
2023~2831년[7], 연봉 총액 90억, 옵션 35억
(조건부 7년 132억)[8]
7호 역대 최연소
5 고영표 파일:kt wiz 엠블럼.svg 2024년 1월 25일 5년 107억
2024~28년, 연봉 총액 95억, 옵션 12억
13호
6 김상수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2024년 2월 2일 2년 6억
2024~25년, 연봉 총액 4억, 옵션 2억
14호
7 류현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2024년 2월 22일 8년 170억
2024~31년, 연봉 총액 nnn억, 옵션 nn억
15호 역대 최대 규모 역대 최장기간 계약

3.2. 야수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역대 KBO 리그 비FA 다년계약 타자 목록
<rowcolor=#fff> 이름 소속 구단 계약 일자 계약 규모 역대 비고
1 한유섬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2021년 12월 25일 5년 60억
2022~26년, 연봉 총액 56억, 옵션 4억
3호 야수 최초
2 구자욱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2022년 2월 3일 5년 120억
2022~26년, 연봉 총액 90억, 옵션 30억
4호 최초 100억 돌파
3 - 오지환-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2023년 1월 19일 6년 124억
2024~29년, 연봉 총액 100억, 옵션 24억
8호 FA 계약기간 중 최초
내야수 최초
2023 시즌 종료 후 계약 취소[9]
3 이원석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2023년 6월 28일 2+1년 10억
2024~26년, 연봉 총액 7억, 옵션 3억
9호
4 김태군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2023년 10월 16일 3년 25억
2024~26년, 연봉 총액 20억, 옵션 5억
10호 포수 최초
5 최형우 2024년 1월 5일 1+1년 22억
2024~25년, 연봉 총액 20억, 옵션 2억
11호 역대 최고령
6 김성현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2024년 1월 20일 3년 6억
2024~26년, 연봉 총액 6억
12호

3.3. 100억 클럽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역대 KBO 리그 비FA 다년계약 100억 선수 목록
<rowcolor=#fff> 이름 소속 구단 계약 일자 계약 규모
1 구자욱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2022년 2월 3일 5년 120억
2022~26년, 연봉 총액 90억, 옵션 30억
2 김광현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2022년 3월 8일 4년 151억
2022~25년, 연봉 총액 131억, 옵션 20억
3 구창모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2022년 12월 17일 6년 125억
2023~31년, 연봉 총액 90억, 옵션 35억
4 고영표 파일:kt wiz 엠블럼.svg 2024년 1월 25일 5년 107억
2024~28년, 연봉 총액 95억, 옵션 12억
5 류현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2024년 2월 22일 8년 170억
2024~31년, 상세 계약내용 확인불가.

4. 특징

4.1. 장점

4.2. 단점

5. 관련 문서



[1] 고졸 8시즌/대졸 7시즌 소화. 기존 FA의 경우 FA 자격 재취득에 4시즌 소화. [2] 기존에는 FA 취득 전까지 구단에 선수의 보류권이 있지만 매번 1년씩의 계약만 가능하다가 1년이 아닌 그보다 더 긴 기간을 계약하는 것이 허용된 것인데, 한국에서는 그동안 FA 자격을 취득해야만 2년 이상의 계약이 가능했기 때문에 새로운 제도라 이런 특수한 명칭이 붙은 것 뿐으로, 먼 미래에 제도에 대해 익숙해지면 "비FA 다년계약"과 같이 긴 이름으로 쓰지 않고 미국처럼 그냥 연장 계약이라 불릴 수도 있다. [3] 안치홍의 에이전트 이예랑이 메이저리그 에이전트도 겸하고 있던 인물이라, 메이저에 있는 계약 형태를 따온 것이다. [4] 계약 당시 금액만 보았을 때 151억 계약은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롯데 자이언츠로 4년 150억에 리턴한 이대호 NC 다이노스에서 KIA 타이거즈로 이적한 나성범의 6년 150억을 넘는 역대 KBO 리그 최고 금액이었다. 현재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에서 한화 이글스로 리턴한 류현진의 8년 170억이 1위이다. [5] MLB에서 FA로 풀린 상태에서 계약했으니 FA 계약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포스팅 시스템으로 진출할 경우 MLB와 KBO의 FA는 별개로 돌아가므로 이는 잘못된 해석이다. 김광현은 SK 시절 1차 FA 계약을 맺은 후 포스팅을 거쳐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이적했는데, KBO 규약상 포스팅으로 해외 리그에 진출하면 FA 자격 요건이 초기화돼 국내 복귀시 4시즌을 다시 채워야 FA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김광현이 SSG에 복귀하면서 맺은 계약은 비FA 다년계약이다. 당시 단장이었던 류선규도 비FA 자격이라고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만약 김광현의 이 계약이 FA 계약이 되려면 처음부터 MLB에 진출할때 김현수처럼 KBO리그에서 FA 자격을 얻은 후 진출했어야 한다. [6] 2022 아시안게임 금메달로 예술체육요원 자격 획득. [7] 군 복무로 인한 계약 기간 연기 [8] 2024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획득하지 못하면 +1년 계약으로 7년 132억 계약으로 변경됨. 변경시 연봉 총액 88억, 옵션 44억. [9] 2023 시즌 종료 후 계약을 상호 동의 하에 파기한 이후 동일 조건으로 FA 계약서를 작성했다. 다년 계약 합의 후에 2차 드래프트 부활이 결정됨에 따라 슬롯을 하나라도 더 비울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한다. 계약 기간이 2024 시즌부터라 아직 KBO 측에 계약서를 제출하지 않아서 가능했다고 구단이 밝혔다. [10] 때문에 계약금을 챙겨주려고 한다면, 김광현의 계약 1년차인 2022년 연봉 81억을 몰아넣은 것 처럼 한 시즌 연봉에 몰아 넣는 방식으로 계약금을 챙겨줄 수 있다. (이것은 2023년에 리그에 샐러리캡 제도가 시행되기 이전에 최대한 연봉을 많이 지급해서 연봉단위로 운영되는 샐러리캡을 여유있게 운영하기 위한 SSG의 전략적 판단이었다.) 그리고 보통 구단측에서 계약금은 첫 번째 시즌에 나눠서 지급하므로 선수 입장에서 첫 시즌 연봉을 많이 받는 것이나 계약금을 따로 받는 것에는 큰 차이가 없다. [11] 현재까지 가장 큰 피해자는 SSG로 꼽히며, NC 역시 거액의 계약을 맺은 구창모가 첫 시즌부터 부상과 부진으로 돈값을 전혀 하지 못 한 뒤 상무로 입대하며 사실상 망한 계약 취급받고 있다. [12] 다만 똑같은 제도를 이미 시행하고 있던 MLB에서도 이미 수많은 초장기계약과 수많은 초고액먹튀(...)가 나왔지만 끝끝내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선수에게는 연장계약을 계속해서 선사하고 있는 만큼 좀 더 지켜볼 필요는 있다. MLB 역시 조정 심리가 작용해 FA나 연장계약에서 한파가 몰아친 적이 있지만 길어야 1~2년 가고 원래대로 돌아갔다. [13] 일례로 오지환의 경우 당초 2023시즌을 마치고 FA로 풀릴 예정이었지만, 2023년 초 LG 트윈스와 2024년부터 효력이 발생하는 비FA 다년계약을 체결해 발표했다. 그러나 LG 구단에서 2023시즌 후 FA 시장에서 보호 선수 T.O 1명을 아끼기 위해 양측의 합의로 계약서를 KBO에 제출하지 않았고, 2023시즌 후 오지환이 FA를 신청한 뒤 동일 조건으로 FA 계약을 새로 체결했다. # 이에 관해 좋은 전략이라는 긍정적 시선과 편법이라는 비판적 의견이 나뉘었는데, KBO에서는 이를 편법으로 판단해 제재 규정을 만들어 이러한 방식은 앞으로는 보기 힘들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