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12:56:38

부산광역시/인구 추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부산광역시
1. 개요 2. 부산광역시의 전체 인구 추이3. 부산광역시의 각 구, 군별 인구 추이
3.1. 서부산 지역의 인구 추이3.2. 원도심 지역의 인구 추이3.3. 동래 지역의 인구 추이3.4. 서면 지역의 인구 추이3.5. 동부산 지역의 인구 추이

[clearfix]

1. 개요

부산 구군별 인구 변화 (1966-2019)
해방 이전에도 부산은 한반도 제2의 도시이긴 했지만, 50만명 안팎이던 부산 인구가 6.25 전쟁 이후 100만명을 훌쩍 넘게 되는 데는 전쟁 피난민이 부산으로 대거 몰린 것과 연관이 깊다. 이후 남동임해공업지역의 한 축이자 경공업을 중심으로 성장하였고 전국에서 이촌향도 인구를 받아들이며 꾸준히 인구가 증가해 한때 390만을 목전에 두었지만 1992년을 정점으로는 인구가 꾸준히 감소 중이다. 1995년에 기장군이 편입되어 인구가 소폭 증가하기도 했으나 이를 제외하면 계속 감소 추세이며 서울 다음으로 정점 대비 인구 감소폭이 큰 도시이다. 또한 대도시 중에서는 최초로 인구 자연 감소에 접어든 곳이기도 하다.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는 일자리의 감소와 주변 지역의 개발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부산 도심에 있던 산업시설이 경남 울산을 필두로 한 근처 지역으로 이전함에 따라 부산의 생산 및 고용 기능이 약화되었고[1], 많은 근로자들과 가족들이 해당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2000년대 이후로는 주변의 신도시[2]가 본격 개발되어 주거 기능의 교외화도 일어났다. 이 역시 부산이 많은 인구를 배출한 요인이다.

부산에서 빠져나간 인구의 대부분은 김해시 양산시 등 부산의 위성도시로 향했으므로 부산의 인구는 감소했지만 부산권의 인구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김해시와 양산시의 인구는 20년간 2배나 빠르게 증가하여 서울의 위성 도시와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3]

2020년대 이후로는 부산의 제조업 쇠퇴 및 이로인한 일자리의 감소, 전국 최하위의 낮은 임금수준등이 맞물려 수도권/창원/울산 등으로의 인구 유출이 심화되었고, 산업화 세대가 가장 먼저 이주한 도시이기 때문에 전국 광역시 중 고령화가 특히 빠르게 진행되었다. 2019년까지는 부산에서 감소한 인구가 경남 지역으로 유출되었으나 2020년 이후에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수도권 순유출이 늘어나고 있다. "노인과 바다"라는 별명마저 생겼다. #
청년 유출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영상

2020년 10월 기준, 깨지지 않을 것 같던 인구 340만명선이 깨져 330만명대 시대를 맞게 되었다.



2023년에는 330만명마저 깨져 320만명대가 되어 경남과 비슷해졌다.

2. 부산광역시의 전체 인구 추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국영문.svg
부산광역시 인구 추이
(1949년~현재)
1949년 부산부 → 부산시 개칭
1949년 473,619명
1955년 1,049,363명
1963년 부산시 → (정부 직할) 부산시 승격
1970년 1,842,259명
1975년 2,453,173명
1980년 3,159,766명
1981년 (정부 직할) 부산시 → 부산직할시 개칭
1985년 3,514,798명
1990년 3,798,113명
1995년 부산직할시 → 부산광역시 개편
1995년 3,892,972명
2000년 3,796,506명
2005년 3,638,293명
2010년 3,567,910명
2015년 3,513,777명
2020년 3,391,946명
2024년 3월 3,287,292명
인구 수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3. 부산광역시의 각 구, 군별 인구 추이

3.1. 서부산 지역의 인구 추이

북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78년 275,265 북구 설치
1981년 340,432
1984년 345,785 정체사유: 강서출장소 분리
1987년 406,128
1990년 460,688 강서출장소가 강서구 로 승격
1993년 531,782
1996년 284,678 급감사유: 사상구 분구
1999년 297,370
2002년 311,798
2005년 333,581
2008년 324,640 33만 선 붕괴
2011년 311,604
2014년 309,341
2017년 309,789
2020년 290,908 30만 선 붕괴
사하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사하구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76년 138,197 시 직할 사하출장소 설치
1978년 165,704
1981년 209,895
1984년 247,436 1983년 사하출장소가 사하구로 승격
1987년 286,859
1990년 334,455
1993년 371,510
1996년 389,494
1999년 391,515
2002년 383,114 39만 선 붕괴
2005년 373,936 38만 선 붕괴
2008년 365,886 37만 선 붕괴
2011년 358,430 36만 선 붕괴
2014년 348,636 35만 선 붕괴
2017년 334,654 34만 선 붕괴
2020년 320,254 33만 선 붕괴
강서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83년 50,230 시 직할 강서출장소 설치
1984년 50,454
1987년 53,743
1990년 77,299 1989년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로 승격
1993년 80,402
1996년 73,088 8만 선 붕괴
1999년 66,913 7만 선 붕괴
2002년 60,192
2005년 54,611 6만 선 붕괴
2008년 51,736
2011년 62,576 6만 선 돌파
2014년 70,572 7만 선 돌파
2017년 109,810 10만 선 돌파
2020년 130,298
사상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사상구 CI.svg
1995년 294,293 사상구 설치
1996년 293,805
1999년 291,196
2002년 299,687
2005년 281,687 29만 선 붕괴
2008년 265,105 27만 선 붕괴
2011년 257,431
2014년 246,448 25만 선 붕괴
2017년 232,536
2020년 217,594 23만 선 붕괴

3.2. 원도심 지역의 인구 추이

중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66년 126,679
1969년 122,730
1972년 117,318 12만 선 붕괴
1975년 112,542
1978년 105,497
1981년 97,610 10만 선 붕괴
1984년 93,348
1987년 87,677
1990년 79,825 8만 선 붕괴
1993년 74,659
1996년 65,051
1999년 60,227
2002년 56,964 6만 선 붕괴
2005년 53,057
2008년 49,930 5만 선 붕괴
2011년 49,402
2014년 47,347
2017년 45,144
2020년 41,830
서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66년 290,796
1969년 309,945
1972년 337,044
1975년 361,087
1978년 239,419 급감사유: 사하구분구
1981년 234,566
1984년 220,663
1987년 210,205
1990년 204,971 21만 선 붕괴
1993년 199,962
1996년 178,270 18만 선 붕괴
1999년 162,324
2002년 151,403
2005년 142,143 15만 선 붕괴
2008년 132,548
2011년 125,867
2014년 118,584 12만 선 붕괴
2017년 112,628
2020년 107,973
동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66년 236,280
1969년 240,622
1972년 241,387
1975년 232,603 24만 선 붕괴
1978년 224,600
1981년 216,669
1984년 204,454 21만 선 붕괴
1987년 193,801
1990년 186,268
1993년 175,930 18만 선 붕괴
1996년 153,583
1999년 134,953 15만 선 붕괴
2002년 124,267
2005년 113,771 12만 선 붕괴
2008년 104,602
2011년 101,483
2014년 95,857
2017년 89,741 9만 선 붕괴
2020년 88,292
영도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영도구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66년 154,378
1969년 170,671
1972년 192,246
1975년 210,627
1978년 214,873
1981년 213,010
1984년 211,330
1987년 208,956 21만 선 붕괴
1990년 205,519
1993년 204,593
1996년 208,148
1999년 192,641
2002년 179,267 18만 선 붕괴
2005년 165,779
2008년 154,998
2011년 146,519 15만 선 붕괴
2014년 135,532
2017년 125,988
2020년 116,447 12만 선 붕괴

3.3. 동래 지역의 인구 추이

동래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동래구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66년 191,340
1969년 289,181
1972년 449,686
1975년 646,080
1978년 707,401 정체사유: 남구분구
1981년 680,135 감소사유: 해운대구분구
1984년 770,446
1987년 855,312
1990년 595,858 급감사유: 금정구 분구
1993년 592,013
1996년 312,359 급감사유: 연제구 분구
1999년 300,390
2002년 294,754 30만 선 붕괴
2005년 279,257 29만 선 붕괴
2008년 284,675
2011년 283,649
2014년 277,711 28만 선 붕괴
2017년 273,394
2020년 271,562
금정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금정구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88년 295,916 금정구 설치
1990년 311,205
1993년 322,251
1996년 310,956 32만 선 붕괴
1999년 297,370 30만 선 붕괴
2002년 284,793
2005년 270,429 28만 선 붕괴
2008년 258,893 26만 선 붕괴
2011년 255,574
2014년 252,974
2017년 244,288
2020년 238,556 24만 선 붕괴
연제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연제구 CI.svg
1995년 249,196 연제구 설치
1996년 247,822
1999년 226,080 23만 선 붕괴
2002년 226,512
2005년 221,353
2008년 212,722 22만 선 붕괴
2011년 213,318
2014년 209,173 21만 선 붕괴
2017년 207,208
2020년 209,980

3.4. 서면 지역의 인구 추이

부산진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부산진구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66년 426,496
1969년 530,199
1972년 671,128
1975년 785,762
1978년 690,329 급감사유: 남구분구
1981년 505,898 급감사유: 북구분구
1984년 512,852
1987년 516,615
1990년 515,255
1993년 501,760
1996년 460,391 50만 선 붕괴
1999년 436,039 45만 선 붕괴
2002년 425,735
2005년 406,154
2008년 402,519
2011년 395,299 40만 선 붕괴
2014년 389,132
2017년 375,957
2020년 357,284

3.5. 동부산 지역의 인구 추이

남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75년 353,215 남구 설치
1978년 400,827
1981년 468,845
1984년 505,338
1987년 532,415
1990년 544,186
1993년 549,536
1996년 320,048 급감사유: 수영구 분구
1999년 304,322 32만 선 붕괴
2002년 302,672
2005년 304,283
2008년 296,851 30만 선 붕괴
2011년 297,868
2014년 291,348
2017년 278,472 28만 선 붕괴
2020년 273,707
해운대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해운대구 CI.svg
연도수 인구(명) 비고
1980년 192,622 해운대구 설치
1981년 196,837
1984년 213,927
1987년 230,091
1990년 245,684
1993년 279,310
1996년 310,580
1999년 402,273 40만 선 돌파[18]
2002년 406,841
2005년 403,562
2008년 424,068
2011년 426,460
2014년 423,656
2017년 419,405 42만 선 붕괴
2020년 406,312 41만 선 붕괴
수영구지역의 인구추이[A]파일:수영구 CI.svg
1995년 203,547 수영구 설치
1996년 201,768
1999년 189,395 19만 선 붕괴
2002년 180,933
2005년 180,492
2008년 178,383 18만 선 붕괴
2011년 178,266
2014년 174,980
2017년 179,111
2020년 176,112
기장군지역의 인구추이[A]파일:기장군 CI.svg
1995년 70,748 기장군 설치
1996년 72,092
1999년 74,408
2002년 76,190
2005년 79,816
2008년 79,598
2011년 102,814 10만 선 돌파
2014년 133,860
2017년 158,654 15만 선 돌파
2020년 164,710

[1] 부산 울산권 수도권보다 도시 간 거리가 멀고 부산의 업무 기능이나 소득수준이 서울이나 울산등 보다 크게 약하므로 서로간의 통근보다는 주민들이 이주하는 양상으로 흘러갔다 [2] 김해시 장유신도시, 양산시 양산신도시 물금신도시 [3] 실제로 1995년부터 2020년까지 김해, 양산의 증가한 인구 27만, 19만이며 이를 2020년 부산의 인구에 더하면 약 386만명이다. 이는 1995년 부산의 최대 인구 수치에 육박한다! [A] [A] [A] [A] [A] 각 년도별 인구는 각 해의 1월~3월기준이다(2008년이후로는 1월로 고정) [A] [A] [A] [A] [A] [A] [A] [A] [A] [18] 지방자치제 시행이후 유일하게 자연증가를 통해 40만명 선을 돌파하였다. [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