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9 08:55:42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개편/2022년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개편의 현황 항목을 최초 개편 이후 6개월 경과시점부터 객관적인 데이터로 평가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개편의 현황 항목을 최초 개편 이후 6개월 경과시점부터 객관적인 데이터로 평가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부산광역시 준공영제 실시 이후 시내버스 노선개편
2007년도 2008년도 2009년도 2010년도 2011년도
2012년도♨ 2013년도 2014년도 2015년도♨ 2016년도
2017년도 2018년도 2019년도 2020년도 2021년도
2022년도 2023년도♨ 2024년도
표시가 있는 연도는 상당히 논란이 된 노선 개편이 일어난 해이다.

1. 개요2. 개편내역
2.1. 2022년 2월 12일2.2. 2022년 3월 31일2.3. 2022년 7월 2일2.4. 2022년 7월 9일2.5. 2022년 12월 28일
3. 노선개편 이후의 현황
3.1. 성공사례3.2. 실패사례3.3. 애매한 사례3.4. 실패복구(극복) 사례

1. 개요

2022년에 시행된 부산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열거하는 문서이다.

2022년 7월 9일에는 세익여객과 일광여객의 해운대 차고지가 송정으로 이전되어 노선 연장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2021년 개편도 평가가 나쁜 편이었지만 그나마 BRT로 인해 중앙대로로 변경된 노선들이나 85, 87, 183번 등 성공사례라도 있었던 것에 반해, 2022년 개편은 2021년에 비해 개편된 노선 수나 빈도는 적으나 대부분 불합리하거나 호불호가 갈리는 노선개편이었기 때문에 2021년 개편때보다 평가가 더욱 부정적이다. 그래도 2021년 개편과 2022년 개편이 그나마 양반으로 느껴지는게 이 다음 해 개편은 총체적 난국이자 혼돈의 카오스 그 자체다.

2021년 개편에 비하면 개편 노선 수 및 빈도가 줄었으며 7월 9일 이후로 12월 28일까지 개편 내역이 없었다. 특히 1년간 9개의 노선만 10회 변경되면서 준공영제 이후 가장 적은 수의 노선이 개편되었다. 그마저도 대다수가 일부 구간에만 행해진 변경들이었다.

2. 개편내역

2022년 2월 12일부터 2022년 12월 28일까지 개편된 내역이다.

2.1. 2022년 2월 12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23 감만동~문현교차로~서면~부암역~(구)당감4동 주민센터~개성고~백양가족공원 감만동~문현교차로~서면~부암역~(구)당감4동 주민센터~개성고~백양가족공원~국제백양아파트~개금주공아파트~동의대역

2.2. 2022년 3월 31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37 고원아파트~월내농협~월내역~월내시장~임랑삼거리~좌천역~금정차고지 고원아파트~월내농협~월내시장~월내역~ 임랑삼거리~좌천역~금정차고지 동해선 월내역 경유 노선에 인한 소음,진동에 따른 인근 월내 주민들의 불편 생활을 해소하기 위함
180(오전 포함) 고원아파트~월내농협~월내역~월내시장~기장문화예절학교~기장군청~청강리 고원아파트~월내농협~월내시장~월내역~ 기장문화예절학교~좌천역~청강리
183(첫차/막차와 심야 제외) 청강리~동해선기장역~교리~안평고촌~반송시장~반여농산물시장~서동역~동래문화회관~온천장역~부산대학교 청강리~ 오시리아역(롯데월드)~청강리~동해선기장역~교리~안평고촌~반송시장~반여농산물시장~서동역~동래문화회관~온천장역~부산대학교 롯데월드 개장으로 인한 이용객 증가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승객 편의 제공
1005 지사~부산경남경마공원~가락IC~사상역~엄궁삼거리~하단역~서부지원 지사~부산경남경마공원~가락IC~사상역,서부터미널~엄궁삼거리~하단역~명지국제신도시~서부지원,서부지검~국회부산도서관 국회부산도서관 개관으로 인한 방문객 증가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승객 편의 제공
37번과 180번은 이날 임시 운행 변경이 되었다는 것을 6월 1일 노선 분과 위원회 공문를 통해 알렸다. 그 후 노선 분과 위원회에서 정식으로 운행 변경 받았다.

2.3. 2022년 7월 2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6 청학동~벽산비치아파트~영도여고~흰여울문화마을~남포동~고신대~대티역 청학동~중리초등학교~해동중학교~흰여울문화마을~남포동~고신대~대티역 영도구 벽산 아파트 경유로 발생하는 소음으로 아파트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

2.4. 2022년 7월 9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31 해운대차고지~원동역~동래역~서면교차로~사상역~모라주공 송정차고지~송정터널~좌4동행정복지센터~신도중학교~해운대구청~원동역~동래역~서면교차로~사상역~모라주공 전기버스 충전소 설치를 위한 영업소 이전
307 해운대차고지~해운대시장(해운대구청)~부산소방본부~동래역~남산정역~구포역~강서체육공원~김해공항 송정차고지~송정터널~장산역~중동사거리~해운대해수욕장~부산소방본부~동래역~남산정역~구포역~강서체육공원~김해공항

2.5. 2022년 12월 28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23 감만동~문현교차로~서면한전~부암역~당감동~개성고~화인아파트~동의대 2번 출구 감만동~문현교차로~서면한전~부암역~당감동~개성고~화인아파트~부산진우체국 서면~사상간 BRT구간 설치의 교통체계 개선에 따른 유턴 차로 진입 어려움으로 인한 불가피한 노선 조정
68 엄궁~하단~학장~개금삼거리~서면롯데호텔~서면복개로~문현로타리~용당동 엄궁~하단~학장~개금삼거리~서면롯데호텔~서면한전~문현로타리~용당동 서면~사상간 BRT구간 설치의 교통체계 개선에 따른 광무교 BRT 구간 진입 불가능으로 인한 불가피한 노선 조정
해당 개편 모두 서면~사상간 BRT 관계가 있다. 23번도 서면복개로 구간 대신 서면 한전구간으로 변경되었다.

3. 노선개편 이후의 현황

3.1. 성공사례

파란색 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누가봐도 큰 성공을 거둔 사례다.

3.2. 실패사례

누가봐도 실패한 사례들을 다룬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해당개편으로 인해 수요가 급감했거나 크게 논란이 일고 있는 경우다.

3.3. 애매한 사례

성공/실패를 판가름하려면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한 노선변경사례를 다룬다. 의도는 좋았으나 수요가 저조하다거나 수요는 많지만 노선형태에 문제가 있어보이는 사례도 여기에서 다룬다. 보라색 글씨의 노선은 일각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다른 이유로 인해서 안타까운 노선들을 다룬다.

* 1005번 노선의 경우는 국회부산도서관 개관으로 인해 사실상 강제적인 노선연장이였다.
* 국회부산도서관은 명지국제신도시에서도 외곽에 위치한 까닭에 인근을 지나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가 이 곳을 경유하기가 불가능하여 어쩔 수 없이 인근에서 회차하는 1005번과 강서14번이 연장을 하게 되었다. 연장을 하였지만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것도 아닌 하루에 몇 명 탈까 할 정도로 수요가 아에 없는 상황이라 애매한 사례로 올렸다.

3.4. 실패복구(극복) 사례

녹색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노선 복구/수습으로 큰 성공을 거둔 사례다.


[1] 해당 문제는 6번과 88-1번, 190번의 운송회사를 변경하면 해결될 문제이기도 했다. 6번을 유한여객이나 계열사인 신한여객이 운행하도록 하고, 88-1번과 190번의 유한여객 인가분을 남부여객이 운행하도록 맞바꿀 경우 6번을 청학고개까지만 연장하면 되기 때문. [2] 100-1번은 고분로 연선지역, 연산교차로로 돌아가기때문에 소요시간이 꽤 많이 든다. [3] 상행(부산대 행) 노선은 온천장교차로를 미경유하므로 온천장역에서 내려서 걸어가야한다. [4] 100번을 이용해도 한 번에 갈 수 있지만 연산8.9동, 동래봉생병원, 안락교차로 순으로 돌아가므로 그동안 최선의 루트는 아니었다. 200번을 타고 해운대경찰서 정류장에서 144번으로 환승하는 쪽이 마음이 더 편하다. 다만 해운대로가 통행량이 많기때문에 만화리, 안평리, 윗반송을 통해서 가는게 오히려 소요시간이 더 절감될 수도 있다. 하지만 석대~서동역에서 막힐 것이다. [5] 그리고 되려 심하게 저속운행을 하던 36번이 속도가 정상화 되어버렸다. [6] 운행대수가 13대 뿐인데다 현재는 엄청난 장거리 노선이 된데다 배차간격이 심각하게 늘어나면서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조정되었다. [7] 운행대수가 183번과 동일한 12대인데 문제는 후술한 63번보다 노선이 훨씬 길다는 거다. 운행소요시간은 일광신도시를 경유할때부터 200분을 넘긴 상황이다. [8] 일광여객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운행대수로 20대를 넘김과 동시에 운행소요시간(왕복 기준) 200분 미만 노선이다. 하지만 2020년 개편 이후 서면 구간이 복구됨에 따라 수요가 증가되어 감차할 수 없는 상황까지 와버렸다. [9] 동부산공영차고지 시종착 노선들의 경우 좌동, 송정동, 기장읍 교리에서 시종착하다가 넘어온 노선들이라 죄다 장대화된 상황이다. 일광여객 36번의 경우는 아예 다른 노선으로 바뀌었고, 63번의 경우에는 우동에서 시종착하다가 연장되었기때문에 연장거리가 가장 길다. 물론 180번, 182번처럼 단축된 노선들이 있지만 문제는 182번도 정관 방면으로 장산역까지 갔다와서 한 대라도 빼면 큰일난다. 무엇보다 준공영제로 인한 차량총량제 때문에 순수증차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180번을 폐선시켜서 이 노선에 증차를 시키면 어떻냐는 의견들도 있지만 180번 운행사가 부산여객이며, 요즘 부산 시내버스 업체들 사이에서 공동배차를 꺼리는데다가 공동배차 노선들도 예전보다 많이 줄어든 상황이라서 이게 이루어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10] 우동, 중동, 좌동, 송정동 이 외의 행정동 [11] 그동안 롯데월드/롯데몰/롯데아울렛 원년 경유 노선들의 경우에는 139번, 181번, 185번은 죄다 기장군과 해운대구를 벗어나지 못한다. 그나마 늦게 합류한 100번과 1001번이 해당지역을 벗어나는 노선들이라 전술한 3개 노선들보다는 평가가 좋지만 두 노선 모두 운행소요시간 190분을 초과하는 초장거리 노선들인데다 해운대권 지역을 거쳐가기에 소요시간이 꽤 든다. 특히 1001번의 경우 배차간격이 더욱 늘어나서 기존 이용객들의 불편을 샀다. [12] 50-2번은 폐선되었지만, 현재 용진교통에서 부산 버스 금정2-2 예비차량을 빼와 노포역 ↔ 스포원파크 순환노선을 운행함으로써 50-2번이라는 번호만 사용하지 않을 뿐이지, 사실상 노선 자체는 현행유지되고 있는 셈이다. [13] 2007년도에 26번이 여름철 한정으로 송도까지 운행했었다. 그러나 여름철이 끝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민원이 들어와서 결국 송도해수욕장/남부민1동 구간이 정규 노선으로 편성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83번의 경우에도 우선적으로 주말이나 공휴일 한정으로 롯데월드를 경유하고 지속적인 민원이 다량 들어올 시 그때 상시운행을 해도 충분했었다. 더군다나 주말/공휴일에만 운행을 한다면 시실로 연선지역 주민들이나 기장읍에서 윗반송역으로 왕래하기 위해 이용하는 승객들이 입는 피해도 현재보다 적었을 것이다. [14] 그나마 대안으로 부산 버스 36 부산 버스 기장11이 있다. 다만 기장11번은 전 차량 카운티에다 배차간격이 20~30분에 육박한다. 36번의 경우에는 저속운행 문제가 대두되었으나 3월 1일부로 시정 조치가 되어 더 이상 저속운행을 하지 않는다. 다만 36번도 기장11번보다는 나을 뿐, 배차간격이 좋은 편은 아니다. 특히 36번과 183번은 반송동에서 대표 번화가인 연산교차로 부대앞으로 운행하는 노선들인데 모두 배차간격이 심하게 늘어나버려 이용에 큰 불편함을 겪고 있다. [15] 이쪽은 배차 12~13분 간격의 동래7번이 있다. 183번이 시실로로 진입하면서 겨우 과수요로 인한 문제가 해소했는데 이번 개편으로 인해 또 다시 가축수송이 심화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183번의 노선 연장으로 이제는 동래7번의 배차간격이 183번보다 더욱 좋아졌다. [16] 무엇보다 해당 시간대는 롯데월드 개장 시간대(10:00~21:00)가 아니라서 경유할 이유가 없다. 차라리 롯데월드 개장 시간대에만 경유하는 것으로 조정했다면 그나마 괜찮았을 것이다. 그러면 출근시간대 한정으로 예전처럼 갈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출근 시간대에 빠르게 도심으로 진입하기 위해 승객들이 롯데월드 미경유 민원을 많이 넣고 있으나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17] 총 13대로 자사노선인 63번의 절반에 불과하다. [18] 일광여객이나 세익여객들의 노선들이 차고지 문제로 한바탕 시달려야 했고 그나마 63번이 수습되긴 했지만 나머지 노선들은 여전히 논란중이다. [19] 37, 180 [20] 수정터널 위에서 회차를 하면 가야1동이나 동의대학교에서 당감동으로 가려는 수요도 확실히 잡을 수 있을 것이다. [21] 동의대 방면 한정 [22] 신평~국제백양 시절에는 26대였지만 현재 노선은 14대로만 운행중이다. 감차 과정이 상당히 복잡했는데, 상세한 사유는 부산 버스 17, 부산 버스 171 문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23] 19대였으나 1009-1번의 신설 및 차량공수로 인해 현재는 9대로만 운행중이다. [24] BRT 동의대역 정류장은 동의대어귀사거리 기준으로 한참 뒤쪽으로 이전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