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1 21:37:47

보건실

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gray> 생활공간 거실 · 침실( 안방 · 건넌방 · 작은방 · 게스트룸) · 사랑방 · 서재 · 응접실 · 다실 · 부엌 · 욕실 · 화장실 · 파우더룸 · 다용도실 · 골방 · 다락방 · 문간방 · 옥탑방
업무공간 사무실 · 회의실
공공시설 다목적실 · 세탁실 · 탈의실
학교 교실 · 연구실(과학실/실험실) · 컴퓨터실 · 교무실 · 보건실
병원 병실 · 수술실 · 응급실 · 중환자실 · 분만실
기타 경비실 · 계단실 · 기계실( 보일러실 · 서버실 · 알람밸브실 · 전기실 · 전산실 · 통신실) · 방재실 · 온실 · 지하실 · 차고 · 창고 }}}}}}}}}
언어별 명칭
한국어 보건실
한자 保健室
영어 Nurse's office
Infirmary (학교에 따라)

1. 개요2. 상세3. 보건실의 설치기준4. 관련 문서

1. 개요

학교보건법 제3조(보건시설) 학교의 설립자·경영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건실을 설치하고 학교보건에 필요한 시설과 기구(器具)를 갖추어야 한다.

넓은 의미로는 학교 회사 그 밖의 각종 사업장 같은 곳에서, 학생이나 근로자 건강, 보건위생관리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곳을 말한다. 그러나 개중에서도 특히, 학교의 보건시설인 학교보건실을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군대 대학교에서는 의무실이라고 부른다. 이름만 다를 뿐이지 기능은 사실상 동일.

2. 상세

예전 명칭은 '양호실'(養護室) 이었으나 1998년 12월 31일 공포된 '학교보건법중개정법률'에 의해 명칭이 보건실로 바뀌었다.[1] 구 학교시설·설비기준령 제5조 제1항 제7호 가목은 교사에 보건위생 및 편의시설 중 하나로 양호실을 두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었으나, 현행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운영 규정'은 따로 중복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학교 보건실은 교실 1개분으로 하고, 진료실, 처치실, 의무실과 휴게실로 나뉘는 것이 보통. 학생들이 체육시간에 다쳤을 때[2] 많이 이용하는 시설이며, 꾀병부리고 수업을 빼먹거나[3] 조퇴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마지막 경계선으로 설치된 시설이라고 한다. 급작스런 사고나 큰 문제가 아니면 보통 병원에 가지 않고 이 보건실에서 처치한다. 보통 침대가 갖춰져 있는 경우가 많아 복통과 두통, 감기 증상 등의 사유로 쉬러 가는 경우도 있다.[4] 기본적으로 응급처치나 간단한 질병을 해결할 약품과, 보건교사의 존재 때문에 거의 쉬는 시간마다 북적이는 곳이다.

3. 보건실의 설치기준

현재 보건실의 설치 기준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학교보건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또한, 보건실에는 학교보건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시설 및 기구를 갖추어야 한다(같은 조 제2항).
이에 따라 보건실에 갖추어야 하는 시설 및 기구의 구체적인 기준은 국립학교인 초·중·고등학교나 고등교육기관의 경우에는 교육부령(학교보건법 시행규칙 제2조, 별표 1)으로 정하고, 공립학교 및 사립학교인 초·중·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시·도 교육규칙(대개 '○○○(광역자치단체 이름) 학교보건실 시설 및 기구에 관한 규칙' 식의 제명으로 되어 있다)으로 정한다(같은 조 제3항).

광역자치단체별로 시설 및 기구 기준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그러한 기준들을 보면, 학교의 종류에 따라서나, 학교의 규모에 따라서나, 보건교사의 배치 여부에 따라서 기준을 달리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4. 관련 문서


[1] 20세기에 나온 만화를 보면 양호실이라 하는 것에서 알 수 있고, 양호실로 불리던 마지막 해인 1998년에 초등학교 1학년이던 1991년생이 양호실을 경험한 마지막 세대이다. 이들은 지금 30대 이상이며 보통 양호실이라고 한다. [2] 축구나 농구, 야구, 피구 등을 하다가 공에 맞아 다친 경우, 운동장 바닥에 다리가 긁힌 경우 등 [3] 결과 [4] 그러나 보건교사가 해당 학생이 일정 시간이 지나도 몸 상태가 나아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조퇴를 권하기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