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2 16:15:58

발데마르 제멜카

제2차 세계 대전 전투기 에이스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56b94> ▲ 116~139위
순위 이름 국적 격추 수 비고
142위 하인리히 프린츠 추 자인 비트겐슈타인 독일 83대
오토 베슬링 독일
144위 한스 그륀베르크 독일 82대
에밀 다르예스 독일
한스 괴츠 독일
헬무트 미스너 독일
148위 프란츠 바이어 독일 81대
후고 브로흐 독일 현재 생존 에이스 중 가장 격추 수가 많다.
빌리 네미츠 독일
빌헬름 필리프 독일
152위 이와모토 테츠조 일본 80대 비독일계 2위, 일본 1위, 해군 출신 1위
중일전쟁에서 14대 격추
헤르베르트 바흐니크 독일
154위 오토 뷔르펠 독일 79대
155위 게오르크-페터 에더 독일 78대
볼프강 에발트 독일
하인리히 크라프트 독일
막스-헤르만 뤼케 독일
요한-헤르만 마이어 독일
카를-고트프리트 노르트만 독일
알렉산더 프라인팔크 독일
162위 후베르투스 폰 보닌 독일 77대 스페인 내전에서 4대 격추
요제프 하이뵈크 독일
발터 올로게 독일
165위 한스-요아힘 크로신스키 독일 76대
막시밀리안 마이얼 독일
알프레트 토이머 독일
에트빈 틸 독일
169위 한스 빈트 핀란드 75대 핀란드 2위
요하네스 분체크 독일
구스타프 프릴링하우스 독일
헬무트 그롤무스 독일
클라우스 미투슈 독일
요한 피힐러 독일
한스 뢰링 독일
발데마르 제멜카 독일
요아힘 반델 독일
178위 오토 가이저 독일 74대
프리드리히 하스 독일
카를 하인츠 멜처 독일
▼ 181~228위
}}}}}}}}} ||


발데마르 제멜카(Waldemar Semelka : 1920년 1월 8일~1942년 8월 21일)

1. 출신지 논란

독일군 장병의 경우 육해공군 가릴 것 없이 군적에서 기록이 삭제된 경우가 흔한데, 그중에는 기사 철십자훈장(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 같은 높은 훈격을 수여받은 전쟁 영웅들도 다수 포함된다. 적기 75대를 격추한 발데마르 제멜카 또한 그중에 하나여서 그의 출신지에 관해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도우브라바(Dombrau)라는 설과 주데텐란트라는 엇갈린 주장이 제기된다. 확실한 것은 전간기에 체코에서 태어난 독일계 체코인이었다는 사실이다.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보니, 그에 관한 정보는 상당수가 당시 그와 함께 군생활을 했던 동료 전우[1]들의 증언에 의해 재구성되어 여러 주장이 상충되고 있다.

2. 첫 격추

입대 시기에 관해서도 기록이 없는데, 그가 자대에 배치받은 때가 1941년 초여름이라는 설과 가을이라는 자료가 전해지고 있으므로 1939년에 루프트바페에 입대한 것으로 짐작된다. 여하튼 1941년에 오버팬리히(Oberfähnrich) 전투비행학교에서 비행 훈련을 이수한 발데마르 제멜카는 제52전투항공단 제4중대(4./JG 52)에 배속되어 전투조종사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그가 소속된 JG 52는 신생 부대인 탓에 대전 초기인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는 그다지 눈에 띄는 활약상을 보이지 못했지만 RAF 조종사들과 싸운 실전 경험은 동부전선에서 매우 큰 강점이 되었고, 곧 독소전에서 제일 많은 격추전과를 쌓아올리는 부대로 거듭나게 된다.

이처럼 맹활약을 펼치게 되자 자연스레 군 상층부는 제멜카가 소속된 항공단에 많은 걸 요구하게 되었고, 급기야는 소방수 역할까지 떠맡게 된다. JG 52의 각 비행단은 잠시 뿔뿔이 흩어져 다급한 전선으로 파견되었다. 그중에서 제2비행단(II./JG 52)은 스몰렌스크 모스크바 부근의 지상전을 지원하는 슈투카 폭격기들을 엄호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그는 1941년 6월 22일에 나치 독일 소련을 침공하여 독소전을 일으킨 첫날에 폴리카르포프 I-15 복엽 전투기를 쏘아 떨어뜨려 자신의 첫 공인 격추기록을 신고했다. 하지만 제멜카는 신참에 불과했고 이처럼 처음에는 소속 부대가 엄호 임무를 맡았던 터라 그의 격추 기록은 1941년 말까지도 고작 2대뿐으로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었다.

3. 독소전

발데마르 제멜카는 장차 위대한 대에이스로 발돋움하게 되는 비행중대장 요하네스 슈타인호프의 리더십 아래, 항공단에 함께 전입온 4명의 동료 조종사들과 소위로 진급했고, JG 52의 격추 기록을 서서히 끌어올리기 시작했다. 모스크바 공방전인 태풍 작전(Operation Typhoon) 기간인 9월 23일과 24일 이틀간 그는 3대를 더 격추시켰다. 그가 속한 4중대는 러시아 포병들이 쏘아대는 포탄이 활주로에 떨어질 정도로 최전선이 바로 코앞인 칼리닌(Кали́нин)에 주둔했고, 승무원들은 소련 지상군의 공격을 막아내기 위해 출동해야만 했다. 몇 달 동안 놀랍도록 추운 러시아의 혹독한 겨울을 견뎌낸 제2비행단은 1942년 1월에는 비로소 휴식과 재정비를 위해 동프로이센으로 잠시 물러났다. 그때까지 제멜카 소위는 17번의 승리를 거두었지만, 이 정도 전공으로는 엑스페아텐은 고사하고 주목받는 존재감을 보이지는 못하고 있었다.

4. 두 번째 대공세

그의 그루페는 4월 말에 다시금 슈타인호프 대위와 함께 돌아와 동부전선을 떠날 때 맡고 있던 섹터를 또다시 떠맡게 된다. 그들은 즉각 세바스토폴 공격과 중앙 전선의 돌출부인 이줌(Ізюм) 지역의 전투에 합류했다. 5월 12일에 그가 탄 Bf 109F-4/Rl(W.Nr. 13057)가 피탄되어 적진에 불시착했지만, 다행히도 그를 추적하는 소련군 병사들에게 잡히지 않고 원대로 복귀할 수 있었다.
6월부터 제멜카는 소위였지만 부상당하여 전선을 잠시 떠난 지크프리트 짐슈(Siegfried Simsch) 중위 대신 제5중대(5.Staffel)를 임시로 지휘하게 된다. 그가 4중대로 다시 돌아온 것은 7월 1일로, 7월 6일에 독일군의 두 번째 여름 대공세가 진행되는 동안 코카서스 지역으로 연일 출격을 반복했으며 그 공로로 공군 명예컵을 수여받았다.

5. 절정

공세 초기에 제2비행단은 마이코프(Майкоп) 유전을 향해 진군하는 지상군을 엄호했다. 이 유전 지대는 소련으로서도 양보할 수 없는 중요한 지역이었기 대단히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고, 대규모의 공중전이 계속 이어지며 독일 조종사들은 경이로운 전과를 거두었는데 제멜카 소위도 자신의 기록을 50대까지 끌어올리게 된다. 7월 25일에는 그가 속한 중대를 지휘하던 게르하르트 바르크호른이 부상을 입었고 그를 대신해서 임시 중대장 직책을 수행하라는 명을 받았다.

바르크호른이 맡고 있던 구역은 그중에서도 최대의 격전지였던 탓에 제멜카 소위의 격추 페이스에는 급가속이 붙었다. 8월 중순에 중대는 1주일 동안 28대나 격추시켰는데 그중에서 제멜카는 무려 21대를 독식하다시피 했다. 그중에는 8월 18일에 노보로시스크(Новоросси́йск) 상공에서 LaGG-3 I-153으로 구성된 혼성 대편대를 맞아 고작 몇 분 만에 4대를 격파하고 곧 이어진 두 번째 출격에서 1대를 더 떨궈 일일 에이스가 되는 사건도 포함되어 있었다.

6. 최후

다음날에도 제2비행단장 슈타인호프는 발데마르 소위를 비롯한 부하들을 이끌고 스탈린그라드에서 절박한 상황에 빠진 우군을 구하기 위해 출격했다. 임무 3일째가 되던 8월 21일, 제멜카는 운명의 날을 맞았다. 오전 일찍 나간 출격에서 적 전투기 3대를 격추시킨 발데마르 소위는 75대째 승리를 달성했다. 그러나 그날의 2회 출격에 나선 그는 스탈린그라드 남쪽에서 실종되었다고 보고되었다. 다급하고 혼란스러운 전투였던 탓에 아무도 그가 추락하거나 격추되는 순간을 직접 목격한 전우는 없었다.

그와 친했던 동료 조종사인 하인츠 슈미트가 당시 공중전에서 맞아 싸운 적기들이 페틀랴코프 Pe-2 전폭기였다는 증언[2]과 소련 공군의 전투 보고서를 종합해보면, 제멜카가 몰고 있던 Bf 109G-2(W.Nr. 13558)는 소련 공군의 제86폭격비행연대(86-й БАП) 소속의 Pe-2에 의해 격추된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격추 페이스가 절정에 달해있던 발데마르 제멜카 소위는 그때까지 240회의 임무를 통해 75대의 격추 기록을 달성했는데, 자료에 따라서는 65대라고 언급되기도 한다. 그가 죽던 무렵, 제멜카는 동부전선을 통틀어 격추수 3위를 달리고 있던 고득점자였다. 루프트바페 사령부는 죽은 영웅에게 1942년 9월 4일에 기사 철십자훈장을 추서했고, 9월 7일에 독일 황금십자장을 추가해주었다.

7. 서훈

파일:Das Deutsche Kreuz in Gold mit Brillanten.jpg 독일 십자훈장


[1] 그나마 전후까지 생존한 이는 극히 드물다. [2] 하인츠 슈미트는 이 교전에서 Pe-2 전폭기 3대를 동시에 격추시켰지만 전우의 추락을 목격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