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5:54:29

민주당(2007년)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2005년에 창당된 민주당과 2007년에 창당된 민주당을 분리서술하는 것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2005년에 창당된 민주당과 2007년에 창당된 민주당을 분리서술하는 것으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중도통합민주당 민주당 통합민주당
파일:민주당(2005년) 로고.svg
민주당
다른 표기 <colbgcolor=#fff,#191919>Democratic Party(DP), 民主黨
창당일 2007년 6월 27일 ( 중도통합민주당)
당명변경 2007년 8월 13일 (민주당) #
해산일 2008년 2월 17일 ( 통합민주당으로 합당)
대표 박상천
원내대표 최인기
사무총장 김충조
정책위의장 김송자
의석 수
8석 / 299석
당 색 청록색 (#00736D, Blue Green)
정책연구소 국가전략연구소
중앙당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7 (여의도동)
공식 사이트 www.minjoo.kr
1. 개요2. 역사3. 역대 지도부4. 당가5. 역대 선거 결과
5.1. 대통령 선거
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민주당(民主黨)은 2007년 6월 27일 중도개혁통합신당 민주당이 합당하여 만들어진 중도통합민주당이 같은 해 8월 13일 명칭을 바꿔 활동한 대한민국 정당이다. 2008년 2월 17일에 해산되어 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하였다.

중도통합민주당 김한길계 세력(구 중도개혁통합신당)들이 대통합민주신당 참여를 위해 탈당하면서 잔류한 세력으로, 당사도 중도통합민주당 시절 건물을 그대로 썼다.

2. 역사

2.1. 김한길계 탈당

2007년 7월 말에 중도통합민주당에서 6명의 의원이 탈당하였고, 8월 3일에는 김한길 공동대표를 비롯한 19명의 의원들이 탈당하자, 중도통합민주당 이름으로 활동한 지 2개월이 채 안 되어 다시 합당 이전의 상태[1][2]로 돌아갔다.

2.2. 2007년 대선

이후 2007년 대선 독자 주행을 감행했으나 국민중심당에서 탈당한 냄새를 맡고 온 정당 브레이커 피닉제 이인제가 냉큼 대선 후보 자리를 차지해버렸다(…). 당초 장상, 김영환, 신국환, 김민석, 조순형 등이 경선을 치렀고 구민주계의 표가 분산되면서 예전부터 자기 세력이 확고했던 이인제가 이겨버린 것. 당초 경선 승리가 유력했던 조순형 전 대표는 금권선거를 반대한다면서 후보직을 사퇴했고 결국 이후의 결과는 알다시피 이인제의 독주였다. 결국 경선 2위는 철새라는 소리를 들은 김민석이었다는 게 함정

더군다나 이인제 대통령 출마에 불만을 품은 당 핵심 인사들의 이탈이 시작되었는데 11월 7일에는 신국환 의원의 탈당 및 대통합민주신당 입당이 있었다. 이인제 후보나 박상천 대표도 이런 상황을 알고 신당 정동영과 후보 단일화와 지분 나눠먹기를 협상하였으나 정동영은 (당연히) 7:3을 내세웠고 이인제는 받아들일 수 없었다. 사실 대통합민주신당 입장에서는 7:3도 아까운 상황이다.[3]

이후 탈당 릴레이는 계속 이어졌고, 11월 23일에는 조순형 前 대표와 그 계파가 전부 이탈하여 이회창 이명박 지지를 선언하는 상황에 온다. 설상가상으로 강원도당위원장 겸 강원도 선대위원장인 유재규 전 의원이 대선을 일주일 앞두고 탈당을 했고, 대선을 이틀 남긴 시점에서 구민주계의 기반인 목포시 지역구 국회의원인 이상열 의원과 김대중 대통령의 장남인 김홍일 전 의원[4]까지 대통합민주신당으로 이탈해서, 이 시기엔 이인제를 제외하면 민주당에 지역구 의원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태였다.[5] 비례대표 의원[6]들은 탈당하면 의원직이 자동으로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당에 남았다.[7]

그렇게 16대 대선 당시 후단협 수준의 내분[8] 속에 치러진 제17대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인 이인제는 0.7%의 득표율을 보이며 6위로 낙선하였다.[9]

2.3. 통합민주당으로 합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통합민주당(2008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결국 이런 내부적 한계와 17대 대선에서의 충격적인 결과로 독자적인 정당으로서의 역할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당 대표인 박상천은 대선 패배와 함께 쇄신위원회를 출범시켰고, 쇄신위원장이던 김민석은 조순형 전 대표의 복귀 떡밥을 던졌으나 묻혔다. 게다가 2008년 새해 첫 날부터 박상천 대표와 갈등을 빚던 김경재, 김영환, 김성순 전 의원들과 비례대표 의원 전원(4명)이 연합하여 박상천 대표의 용퇴를 주장했다. 여기에 대선 당시에 당을 떠나지 않고 잔류했던 원외 지역위원장 및 지방의원들도 힘을 실어주면서 여전히 대선 패배의 후폭풍에서 벗어나지 못 하는 모습만 보여주었다.

이제 곧 야당이 될 대통합민주신당이 세력 통합의 필요성+ 민주당계 정당이라는 공통점 등의 사유로 2008년 2월 17일에 대통합민주신당과 신설 합당하여 통합민주당으로 재출범했다. 사실상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으로 분당된 지 4년 3개월 만에 원상 복구가 된 셈.

3. 역대 지도부

파일:민주당(2007년) 흰색 아이콘.svg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4대
박상천
}}}}}}}}}}}}}}}

4. 당가

파일:2005년/2007년 민주당 당가 악보.jpg

[vimeo(1048471495)]
찬란한 새 아침이 이 땅을 비출 때면
희망찬 내일 밝게 열린다 우리 함께 달린다
너와 나 하나 되어 힘차게 나아가자 민주당
새 시대 새 희망 창조하는 민주당
새 시대 열어가는 새 희망 민주당

화합과 개혁의 정치를 우리가 이뤄나갈 때
밝은 미래와 희망의 나라 우리 앞에 열린다
정의와 평화를 이루어 힘차게 나아가자 민주당
새 시대 새 희망 창조하는 민주당
새 시대 열어가는 새 희망 민주당

5. 역대 선거 결과

5.1. 대통령 선거

연도 선거명 후보 득표수(득표율) 결과
2007 제17대 대통령 선거 이인제 160,708(0.7%) 낙선(6위)

6. 둘러보기

민주당계 정당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1998 ~ 200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국민의 정부 이전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개혁국민정당
열린우리당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
중도통합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중도통합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민주당
참주인연합 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
참여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국민) 보수정당(참여)
}}}}}}}}}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참여정부 ~ 이명박 정부
(2003 ~ 201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참여정부 이전
새천년민주당 민주국민당 국민통합21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정당등록취소 자유민주연합
열린우리당에서 분당 민주당 화합과 도약을 위한 국민연대 창조한국당 정당등록취소 국민중심당 자유민주연합
중도개혁통합신당 자유선진당 정당 해산
중도통합민주당 자유선진당
민주당
통합민주당으로 합당 정당 해산
평화민주당 국민행복당 녹색통일당 제3신당 국민생각 국민중심연합 자유선진당
국민행복당 정통민주당 자유선진당
정당등록취소
자유선진당
선진통일당
새누리당에 합당
이명박 정부 이후
}}}}}}}}} ||


[1] 비교섭단체로 강등되고 2005년 당시 민주당으로 당명과 로고를 원상복구했다. 아마 2000년에 창당한 새천년민주당의 직접적인 후신 정당이라는 정통성 강조와, 대통합민주신당이 약칭을 민주신당으로 하려고 하자 그걸 막으려고 도로 민주당으로 복구한 듯하다. [2] 다만 중도통합민주당은 신설합당이었기에, 불과 8개월의 존속이었지만 기준은 2007년 6월 합당이 되었다. [3] 소속 국회의원만 해도 신당이 민주당보다 10배 이상이 많았다. [4] 06.12 의원직 상실. [5] 최인기 원내대표도 탈당만 안 했을 뿐이지 사실상 정동영 지지에 가까운 독자 행보를 펼쳤다. [6] 이 중에서 한 사람이 후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양당의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은 김종인이다. [7] 이는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으로 당선된 지방의회 비례 의원들도 마찬가지. [8] 물론 그 당시 새천년민주당은 원내 2당이자 집권 여당이었기 때문에 후단협 자체가 큰 이슈가 되었지만 이 당시 민주당은 지역 기반마저 대통합민주신당에게 빼앗겼고, 겨우 원내 4당에 불과했으니 언론의 관심도 제대로 못 받았다. [9] 정말 참패했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는 허경영 후보보다도 득표율이 밀렸다. 이는 그야말로 굴욕 중의 대 굴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