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2:50:52

미콜라 마트비옌코

1 부슈찬 · 2 코노플랴 · 3 스바토크 · 4 탈로베로우 · 5 시도르추크 · 6 스테파넨코 · 7 야르몰렌코 · 8 말리노우스키 · 9 야렘추크
10 무드리크 · 11 도우비크 · 12 트루빈 · 13 자바르니 · 14 수다코우 · 15 치한코우 · 16 미콜렌코 · 17 진첸코 ·18 브라즈코
19 샤파렌코 · 20 주브코우 · 21 본다르 · 22 마트비옌코 · 23 루닌 · 24 팀치크 · 25 바나트 · 26 미하일리첸코
파일:UEFA EURO UKR.png 세르히 레브로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74ab2;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ESP.png 비센테 고메스 · 파일:UEFA EURO ESP.png 알베르토 보쉬 · 파일:UEFA EURO UKR.png 흘립 플라토프
파일:250064444.png
UEFA 유로 2024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No. 22
<colbgcolor=#f07022>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No. 22
미콜라 마트비옌코
Микола Матвієнко | Mykola Matviyenko
본명 미콜라 올렉산드로비치 마트비옌코
Микола Олександрович Матвієнко
Mykola Oleksandrovych Matviyenko
출생 1996년 5월 2일 ([age(1996-05-02)]세)
크림 공화국 사키
국적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신체 182cm / 체중 74kg
포지션 센터백[1]
주발 왼발
등번호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22번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 22번
유소년 클럽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2009~2015)
소속 클럽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2015~)
FC 카르파티 리비우 (2017 / 임대)
FC 보르스클라 폴타바 (2017 / 임대)
국가대표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61경기[2] ( 우크라이나 / 2017~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수상 경력
5.1. 팀 수상 경력
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우크라이나 축구 선수. 2번의 임대 생활을 제외하고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주전 센터백으로 뛰고 있다.

2. 클럽 경력

파일:Mykola Matviyenko 2020_21.jpg

크림 공화국의 사키에서 태어난 마트비옌코는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13년 프로계약을 체결한 후 3년간 리저브 팀에서 뛰다가 2015년 여름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의 퍼스트 팀에 이름을 올렸다.

2017년, FC 카르파티 리비우, FC 보르스클라 폴타바에서의 임대 생활을 거친 후 팀의 주전으로 거듭났다.

2020-21 시즌을 앞두고 여름 이적시장 기간에는 아스날 FC 이적설이 떠돌았다. 물론 이적 소식은 없었고, 2020-21 시즌에도 샤흐타르에서 뛰게 됐다.

한동안 이적설이 잠잠하다가 2022-23 시즌 여름 이적시장 후반에 RCD 마요르카와 연결되었다. 그러나 잔류했다.

2023년 1월,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과 링크가 뜨고 있다.

브라이튼과 20m의 이적료에 5년 계약으로 영입이 근접 하다고 한다. 여담으로 브라이튼 구단이 겨울 이적시장에서 20m을 지불할 정도로 빅사이닝은 2018년 위르겐 로카디아 이후로 굉장히 오랜만이다.

만얃 이적이 성사될 경우, 마트비옌코는 로베르토 데 제르비로 감독이 바뀐 브라이튼의 첫 영입이다. 또한 마트비옌코는 데 제르비와 함께 샤흐타르에서 뛴 적이 있다. 그러나 2023년 3월 21일, 샤흐타르 측에서 재계약을 공식 발표했다. 계약 기간은 2027년 12월 31일까지. #

3. 국가대표 경력

U-18, U-19, U-20, U-21 연령대 대표팀 경력을 거쳤다.

2017년부터 성인대표팀에 콜업됐고, 현재까지 대표팀의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하고 있다.

UEFA 유로 2020 C조 네덜란드와의 1차전에서 신성 일리야 자바르니와 호흡을 맞췄으나 팀은 3골을 허용하며 패배했다.

4. 플레이 스타일

희소성이 높은 왼발잡이 센터백으로, 센터백치고 키가 작은 편이지만, 이를 상회하는 빠른 발과 태클 능력, 좋은 왼발 빌드업 능력을 갖추고 있다. 스피드가 빠르고 민첩해서 뒷공간을 침투하는 공격수를 잘 막아내고 태클 능력도 깔끔하다. 수비가 워낙 깔끔해서 카드도 적게 받는 편. 또한 경기당 4.8개의 롱볼을 성공시킬 만큼 패싱력도 좋은 편. 키는 작지만, 점프력이 좋아서 70%가 넘는 공중볼 경합 승률을 보일 정도로 헤딩 능력도 상당한 편.

다만, 워낙 전진성이 강한 유형의 센터백이라, 위치를 너무 자주 벗어나 상대방에게 뒷공간을 자주 내어준다. 또한 헤딩 능력은 좋지만, 몸을 쓰는 경합 능력에서는 아쉬움을 드러낸다.[3]

5. 수상 경력

5.1. 팀 수상 경력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000>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키릴문자 성명 비고
2 FW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라시나 트라오레 Lassina Traoré Лассіна Траоре
3 DF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스타브 렘킨 Stav Lemkin Став Лемкін
5 D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발레리 본다르 Valeriy Bondar Валерій Бондар
6 M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타라스 스테파넨코 Taras Stepanenko Тарас Степаненко 주장
7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에기나우두 Eguinaldo Егіналду
8 M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드미트로 크리스키우 Dmytro Kryskiv Дмитро Криськів
9 FW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마르얀 시베드 Maryan Shved Мар’ян Швед
10 M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헤오르히 수다코우 Georgiy Sudakov Георгій Судаков
11 M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올렉산드르 주브코우 Oleksandr Zubkov Олександр Зубков
12 GK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티무르 푸잔코우 Tymur Puzankov Тимур
Пузанков
13 DF 파일:조지아 국기.svg 기오르기 고촐레이쉬빌리 Giorgi Gocholeishvili Георгій Гочолеішвілі
14 FW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다닐로 시칸 Danylo Sikan Данило Сікан
16 DF 파일:조지아 국기.svg 이라클리 아자로비 Irakli Azarovi Іраклій Азаров
18 DF 파일:튀니지 국기.svg 알라 그람 Alaa Ghram Алаа Грам
21 M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아르템 본다렌코 Artem Bondarenko Артем Бондаренко
22 D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미콜라 마트비옌코 Mykola Matviyenko Микола Матвієнко
23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페드리뉴 아제베두 Pedrinho Педріньйо
25 DF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노바투스 미로시 Novatus Miroshi Новатус Міроші 쥘터 바레험에서 임대
26 D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유힘 코노플랴 Yukhym Konoplya Юхим Конопля
29 M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예호르 나자리나 Yehor Nazaryna Єгор Назарина
30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를롱 고미스 Marlon Gomes Марлон Гомес
31 GK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드미트로 리즈니크 Dmytro Riznyk Дмитро Різник
37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케빙 Kevin Кевін
38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페드리뉴 Pedrinho Педріньйо
39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네웨르통 Newerton Невертон
48 GK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데니스 트바르도우스키 Denis Tvardovskyi Деніс Твардовський
77 M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빅토르 추카노우 Viktor Tsukanov Віктор Цуканов
-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비니시우스 토비아스 Vinicius Tobias Вінісіус Тобіас
구단 정보
감독: 마리노 푸시치 / 홈 구장: 아레나 르비우
출처: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공식 홈페이지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6월 15일
}}}}}}}}} ||

파일:FC 샤흐타르 도네츠크 로고.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2024-25 시즌 스쿼드
2 트라오레 · 3 렘킨 · 5 본다르 · 6 스테파넨코 (C) · 7 에기나우두 · 8 크리스키우 · 9 시베드
10 수다코우 · 11 주브코우 · 12 푸잔코우 · 13 고촐레이쉬빌리 · 14 시칸 · 16 아자로비 · 21 본다렌코 · 22 마트비옌코
23 페드리뉴 · 24 추카노우 · 25 미로시 · 26 코노플랴 · 29 나자리나
30 마를롱 · 31 리즈니크 · 37 케빙 · 39 네웨르통 · 48 트바르도우스키 · 90 카시추크 · - 페드리뉴 · - 비니시우스 · - 그람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마리노 푸시치
<colcolor=#fff>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1 부슈찬 · 2 코노플랴 · 3 스바토크 · 4 탈로베로우 · 5 시도르추크 · 6 스테파넨코 · 7 야르몰렌코 · 8 말리노우스키 · 9 야렘추크
10 무드리크 · 11 도우비크 · 12 트루빈 · 13 자바르니 · 14 수다코우 · 15 치한코우 · 16 미콜렌코 · 17 진첸코 ·18 브라즈코
19 샤파렌코 · 20 주브코우 · 21 본다르 · 22 마트비옌코 · 23 루닌 · 24 팀치크 · 25 바나트 · 26 미하일리첸코
파일:UEFA EURO UKR.png 세르히 레브로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74ab2;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ESP.png 비센테 고메스 · 파일:UEFA EURO ESP.png 알베르토 보쉬 · 파일:UEFA EURO UKR.png 흘립 플라토프


[1] 레프트백도 소화 가능하다. [2] 2023년 11월 21일 기준 [3] 우크라이나 대표팀에서는 주전인 자바르니와 함께 출전하면, 자바르니가 빠른 스피드와 침착한 수비커버를 통해 뒷공간을 커버하고, 대신 자바르니의 부족한 빌드업 능력과 헤딩 능력을 마트비옌코가 커버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