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09:25:20

멜로디카

멜로디언에서 넘어옴
관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ecd8aa,#aa672a> 목관악기 동양의 목관악기
대한민국 당적 · 대금 · 중금 · 소금
단소 · 퉁소 · 봉소 · 배소 · · 피리 · 태평소
기타 생황 ·
북한 대피리 · 저피리 · 장새납
중국/대만 디즈 · · · 호로사
일본 시노부에 · 샤쿠하치
몽골 림베 · 초르 · 에웨르 부레
서양의 목관악기
플루트 플루트 · 피콜로 · 피페 · 트라베르소 · 팬플룻
클라리넷 클라리넷 · A♭클라리넷 · E♭클라리넷 · B♭클라리넷 · A 클라리넷 · 베이스 클라리넷
오보에/바순 오보에 · 오보에 다모레 · 잉글리시 호른 · 바순 · 콘트라바순
색소폰 색소폰 · 소프라노 색소폰 · 알토 색소폰 · 테너 색소폰 · 바리톤 색소폰
기타 리코더 · 오카리나 · 백파이프 · 틴 휘슬 · 두둑 · 디저리두
금관​악기
동양 나발
서양 호른 · 트럼펫 · 트롬본 · 코넷 · 플루겔혼 · 튜바 · 유포니움 · 세르팡
타관​악기
동양 떠릉
서양 오르간 · 파이프 오르간 · 풍금
프리 리드
멜로디카 · 하모니카
미분류 카주 · 윈드 컨트롤러
}}}}}}}}}


파일:멜로디카.jpg
1. 개요2. 연주법3. 여담4. 예시

1. 개요

리드 오르간의 일종인 건반 악기 중의 하나. 멜로디언(Melodion)이라고도 불리지만 사실 멜로디카(Melodica)가 본명이다. 스즈키 악기 제작소에서 자사 멜로디카 상표명으로 '멜로디언'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이 이름이 한국에 널리 퍼져서 멜로디언이라고 알게 된 듯.

멜로디카는 입으로 공기를 불면서 건반을 누르면 소리가 나는 악기인데, 구조를 살펴보면 각 건반마다 리드가 달려 있고, 건반은 각각의 리드로 흐르는 공기의 통로를 조절하는 일종의 밸브 역할을 수행한다. 숨을 불어넣으며 건반을 누르면 해당 건반에 연결되어 있는 리드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공기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떨리는 리드(Reed)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자유리드 악기(Free Reed)이며, 자유리드 악기는 관악기에 속하기 때문에 멜로디카는 관악기로 분류된다. 동시에 건반을 이용하여 리드로 가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소리를 내기 때문에 (리드)오르간 악기이고, 오르간은 건반악기에 속하기 때문에 건반악기로 분류된다.

영어권에선 키-플루트, 블로우-오르간, 일본에선 피아니카(피아노+하모니카)[1], 혹은 건반 하모니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기원을 따지고 들어가면 19세기 이탈리아에서 개발되었으며, 지금과 같은 형태와 대중화는 1950년대 호너 사에 의해서라고 알려져 있다.

구입 가능한 가장 비싼 제품과 가장 싸구려 제품을 비교하는 영상

2. 연주법

마우스피스를 붙여서 손으로 들고 연주하기도 하고 호스 + 마우스피스로 불어 연주할 수도 있다.

피아노와 같은 건반을 사용하므로 손가락 주법은 피아노와 동일하다. 하지만 멜로디카는 피아노와 다르게 마우스피스를 불어야만 소리가 나기 때문에 텅잉같은 관악기의 주법 역시 사용된다.

3. 여담

4. 예시

멜로디카 맨

아래 곡들의 대부분은 상단 채널에서 가져왔다. 멜로디카 듀엣 유튜버로, 대학에서 음악을 접하다가 할아버지 집에서 발견한 멜로디카에 꽂혀 듀오를 결성했다고 한다. 현재는 2020년 5월에 대부 메인 테마곡 멜로디카 커버 버전을 올리고 활동을 중단한 상태. 국내 평창대관령음악회에 초청되어 연주를 한 적도 있다.
봄의 제전
랩소디 인 블루[4][5]
1812년 서곡[6]
기욤 텔 서곡
상당히 그럴듯한 스타워즈 메들리[7]
젤다의 전설 메인 테마곡
왕벌의 비행
Bohemian Rhapsody


[1] 이 이름은 야마하에서 발매한 멜로디카의 상품명이다. [2] 해당 문서에도 나오지만 멜로디언을 산 이유는 아들의 가수지망을 반대하던 어머니 몰래 곡을 만들기 위해 이불 속에서 숨어서 불 수 있는 악기를 찾다보니 선택한 것. [3] 광고 음악으로 유명하며, 마성의 BGM항목에도 있다. [4] 초반의 글리산도와 벤딩은 멜로디카의 건반을 아주 얕게 누르면서 숨을 세게 불어넣으면 살짝 낮은 음정이 나오는 특성을 활용하여 건반을 점점 깊게 누르면서 음이 부드럽게 올라가는 벤딩 주법을 구사한 것이다. [5] 이건 멜로디카의 모델마다 다르니 참고. 잘 되는 모델은 정말 잘 구사되고, 안 되는 모델은 정말 죽어라 해도 안 된다. [6] 대포 대신 딱총을, 교회 종 대신 핸드벨을 사용한 것이 멜로디언이라는 악기의 저렴한 음색과 묘하게 어울린다. [7] 메인 테마곡과 임페리얼 마치, 칸티나 밴드를 믹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