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20:59:25

마다가스카르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남수단 국기.svg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파일:레위니옹 기(기학 협회 제안).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레위니옹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잔지바르 기.svg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잔지바르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남부아프리카축구연맹.png 남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보츠와나
세이셸
에스와티니
앙골라
잠비아
짐바브웨
코모로 }}}}}}}}}


파일:madagascar-football-logo-2020 (1).png
마다가스카르 축구 국가대표팀
Équipe de Madagascar de football
정식명칭 Équipe de Madagascar de football[1]
FIFA 코드 MAD
FIFA 랭킹 109위[2]
Elo 랭킹 134위[3]
협회 마다가스카르 축구 연맹 (FMF)
연맹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 남아프리카 축구 연맹 (COSAFA)
감독대행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로뮈알드 라코톤드라베
(Romuald Rakotondrabe)
주장 이브라힘 아마다 (Ibrahim Amada)
최다출전자 폴린 보아비 (Paulin Voavy) - 67경기
최다득점자 폴린 보아비 (Paulin Voavy) - 15골
홈 구장 마하마시나 스타디움 (Mahamasina Stadium, 40,880석)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1:2 패)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1947년)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8:1 승)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1960년 4월 19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0:7 패)
파일:레위니옹 기(기학 협회 제안).svg 레위니옹 (1952년 7월 31일)
VS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1966-1971).svg 콩고 민주 공화국 (0:7 패)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1965년 7월 18일)
별칭 Barea (제부)
네이션스컵 진출 1회, 8강 1회 ( 2019)
유니폼 어웨이
<colcolor=#373a3c> 상의 초록 하양
하의 빨강 하양
양말 초록 빨강

마다가스카르 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clearfix]

1. 개요

홈구장은 마하마시나 스타디움이며 2023년 4월 현재 감독은 임시직인 로뮈알드 라코톤드라베이다. 제부(Barea)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없다. 국가대표 축구실력 또한 타국가대비 좋지 않아서 FIFA 랭킹은 2012년 9월 171위, 2014년 1월에는 187위로 아프리카에서 최하위급이었다.

2022년까지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예선에서 1차 예선은 53개의 아프리카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들 중에서 최하위 수준의 10개 팀만 출전해서 이 중 5개 팀이 2차 예선에 합류하는 방식이고, 나머지는 전부 2차 예선에 직행한다. 결과적으로 1차 예선 대상팀이 본선에 진출하기는 불가능하고 실제로 1차 예선을 치른 팀이 본선에 올라간 경우도 없다. 즉 1차 예선은 그저 머릿수를 맞추기 위해 치르는 경기일 뿐이다. 그런데 마다가스카르는 2018년까지 이 빵셔틀 선발대회 1차 예선에 언제나 포함되었다. 이 정도로 축구를 심각하게 못했다. 물론 FIFA 랭킹에서 2014년 1월, 아프리카 최저인 (204위) 지부티같은 경우도 있지만 마다가스카르가 지부티나 에리트레아(200위), 남수단(201위)을 압도할시는 의문시된다.

그러나, 2018 러시아 월드컵 1차예선에서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을 3:0으로 홈에서 이기며 원정 2:2 무승부랑 상관없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비록 2차 예선에서 훨씬 강호[4] 세네갈에게 원정에서 0-3으로 패해 탈락했지만 홈에서 2:2로 비기는 선전을 벌였다. 이 영향 때문인 2016년 8월 피파 랭킹은 무려 129위다! 베트남이나 레바논보다 더 우위.

2001년 10월 31일 이 나라 축구리그 AS 아데마와 SOE 안타나나리보 간의 경기에서 0:149 라는 기록적인 스코어가 나온 적이 있다. 다만 이건 일부러 넣은 자책골인데다가 경기 무효판정으로 결론을 0:3 몰수패로 끝났기에 공식 기네스북 기록도 아니다.

현지시각 2018년 10월 16일 마다가스카르는 홈에서 적도 기니를 1:0으로 꺾고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그리고 24강 본선 조별 라운드에서는 나이지리아, 기니 등 강호들을 제치고 1위로 16강에 오르기까지 했다. 그리고 16강전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을 승부차기로 이기고 8강[5]까지 올라갔지만 튀니지에게 0:3으로 크게 패하면서 최종순위 8강 6위로 대회를 마감했다.[6]

유명 선수로 스타드 렌 제레미 모렐이 있었다. 30대 중반에 뒤늦게 아버지의 나라 마다가스카르로 국적을 변경해 대표팀에 합류해 국가대표 경력은 짧지만 5년 동안 수비진에선 리더 역할을 했다.

레위니옹 출신의 루도빅 아조르케는 마다가스카르 혈통을 지니고 있기에 마다가스카르 축구협회에서 여러 번 접근해왔으나 본인이 클럽에 집중하고 싶다고 거절당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을 앞두고는 높아진 피파랭킹 덕분에 2차 예선에 직행했고, 콩고민주공화국, 베냉, 탄자니아와 함께 J조에 편성되었다. 10개 조 중 가장 수월한 조에 편성된 만큼 최종 예선에 진출해 더 큰 기적을 쓸것이라고 기대를 모았으나 최종예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다만 신예 선수들이 지속적으로 기량이 향상중이고 특히 차기 대회에서 출전권이 늘어나는만큼 현제처럼 일취월장한다면 본선 진출 후보군으로도 촉망받게 될 것이다.

2026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말리, 가나, 코모로, 중아공, 차드와 함께 이번 예선 죽음의 조로 꼽히는 I조에 편성되었다.

한때 유니폼 스폰서는 아디다스였으며(사진 참고) 지금은 GARMAN이다.
파일:마다가스카르 2019.jpg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프랑스의 식민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마다가스카르 제1공화국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축구 협회 창립 이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불참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기권
마다가스카르 민주 공화국 (제2공화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불참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불참
마다가스카르 제3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 마다가스카르 제4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2.2. 네이션스컵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프랑스의 식민지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
독립 이전(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
파일:시리아 국기.svg
1959
마다가스카르 제1공화국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
불참
파일:가나 국기.svg
1963
불참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
불참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
불참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
불참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
예선 탈락
마다가스카르 민주 공화국 (제2공화국)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
1976
기권
파일:가나 국기.svg
1978
불참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
예선 탈락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
1982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
예선 탈락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
기권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
예선 탈락
마다가스카르 제3공화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
불참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
예선 도중 기권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
출전정지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
예선 탈락
파일:말리 국기.svg
200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2008
예선 탈락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
예선 탈락
※ 마다가스카르 제4공화국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
예선 탈락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2017
예선 탈락
<rowcolor=#373a3c>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
8강 6위 5 2 2 1 7 7 8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
예선 탈락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회 / 8강 1회 5 2 2 1 7 7 8


[1] 프랑스어 [2] 2024년 10월 24일 기준 [3] 2024년 11월 16일 기준 [4] 2016년 8월 피파 랭킹이 41위로 알제리, 가나, 코트디부아르에 이어 아프리카 4번째 [5] 당연한 이야기지만 수도 안타나라리보에서는 마치 사상 최초로 월드컵 8강에 진출한 것 마냥 엄청난 열광과 환호로 뒤덮였다. [6] 공교롭게도 AFC 소속인 타지키스탄 역시 아시안컵에 사상 최초로 진출한 후 16강을 거쳐 8강전의 상대인 요르단에게 0:1로 패하여 최종순위 8강 8위로 대회를 마감한 바 있다. 다만 최종 4위(준결승 세네갈전 패, 3위결정전 나이지리아전 패)로 만족해야 했던 튀니지와는 다르게 요르단은 결승까지 진출하여 최종 준우승(준결승 대한민국전 승, 결승 카타르전 패)으로 대회를 마칠 정도로 매우 강력한 대표팀이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