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04:29:40

타임빌라스 수원

롯데백화점 수원점에서 넘어옴
파일:롯데몰 로고.png 지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포공항 광복 수지
은평 진주
피트인 산본
이시아폴리스
군산
동부산 (메종 동부산)
광명 여수
송도(예정) 상암 DMC(예정) 과천(예정) }}}}}}}}}

파일:롯데백화점 신로고.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점포
본점
에비뉴엘
잠실점
에비뉴엘
캐슬플라자
부산본점
에비뉴엘
강남점 관악점 영등포점
노원점 청량리점 미아점
건대스타시티점 김포공항점 인천점
동탄점 타임빌라스 수원 일산점
안산점 구리점 평촌점
중동점 분당점 광복점
센텀시티점 동래점 울산점
창원점 마산점 대구점
상인점 포항점 대전점
광주점 전주점
관련 문서
Song for you project 오떼르 황범석
}}}}}}}}} ||
<colbgcolor=#0039FF><colcolor=#fff>
파일:타임빌라스 로고.png
타임빌라스 수원
(2014)
파일:타임빌라스 수원.jpg
연계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수원역
개점일 2014년 11월 27일
휴무일 설, 추석 당일
영업 시간 정상 영업(~) - 10:30 ~ 20:00
연장 영업(~, 공휴일) - 10:30 ~ 20:30
식당가 영업 - 10:30 ~ 20:00 (연장 시 ~20:30)
건설 롯데건설
소유 하나은행(토지)
롯데쇼핑(건물)
지점장 김시환
주소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134 ( 서둔동)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층별 안내
3.1. 백화점3.2. 쇼핑몰
4. 매출5. 여담6. 경쟁 점포

[clearfix]

1. 개요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9FF><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39FF>||Time You Deserve
당신의 시간이 특별해지는 곳 ||

2014년 개점한 롯데쇼핑의 복합쇼핑몰. 2024년 5월 30일 롯데백화점 수원점과 롯데몰 수원을 통합하여 '타임빌라스 수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 상세

2014년 롯데몰 수원과 롯데백화점 수원점으로 최초 오픈하였다. 전국적으로도 손꼽히는 유동인구를 가진 수원역에 입점한 데다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시네마 수원(수원역) 등이 같이 입점했기 때문에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었던 만큼, 이미 인근 상권을 장악하고 있었던 AK플라자 수원점과 치열한 경쟁이 예고됐다.

그런데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이란 예상과 달리 오픈 초기에는 롯데몰이 AK백화점에 비해 큰 부진을 겪었다. 접근성이 너무 안 좋았던 게 핵심 원인으로 꼽히는데, 롯데몰은 수원역과 직선거리로는 코앞임에도 불구하고 수원역 환승센터 공사 때문에 수원역에서 바로 갈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AK백화점이 롯데의 진출에 대비해 대규모 리뉴얼을 실시하고, 노보텔 앰배서더 호텔과 별관 개념인 'AK&'를 새로 오픈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선 것도 한 원인이다. 때문에 오픈 초기만 해도 롯데백화점 수원점은 AK플라자 수원점에 연 매출로 거의 2배 가까이 밀렸다.

다행히도 이후 수원역 환승센터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수원역에서부터의 접근성이 눈에 띄게 좋아졌고, 인근 지역 개발, 자존심 회복을 위한 롯데의 투자 등이 더해져 매출은 꾸준히 상승했다. 구찌, 페라가모, 골든구스, 몽블랑, 베르사체, 에트로, 멀버리 등의 명품 브랜드가 입점하는 등 명품 유치력만큼은 AK보다 낫기도 했다. 그럼에도 둘 간의 매출 격차는 약 2,000억 원에 이르러서 롯데로서는 체면을 구겼다.

거기에 광교신도시 개발로 기존 수원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수원역 상권 자체가 사양길로 접어들고 있는 데다, 수원 광교신도시의 갤러리아 광교가 2020년 오픈하면서 또 한번 타격을 입었다.[1] 이듬해인 2021년에는 같은 롯데백화점에서 인근 동탄신도시 롯데백화점 동탄점을 오픈하면서, 명품 브랜드들이 갤러리아 광교와 롯데 동탄점으로 유출될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2024년 1월 지하철 한 정거장 거리에 오픈한 스타필드 수원이 엄청난 초기 화제성을 보여주면서 롯데로서는 난항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롯데도 이제 막 오픈한 지 10년된 점포를 버리기엔 아까웠는지 롯데백화점의 8대 점포에 수원점을 포함시킨데 이어, 2023년 1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리뉴얼 작업을 진행하였다.[2] 이후 2024년 5월 기존의 롯데몰 수원과 롯데백화점 수원점을 합하여 타임빌라스 수원으로 프리 오픈하였으며, 동년 8월에 모든 리뉴얼을 마치고 그랜드 오픈이 예정되어 있다. 1층 명품관에 몽클레르를 추가로 유치하였고 2층 럭셔리관에 브랜드 추가 입점도 이루어졌는데, 베르사체, 에트로, 멀버리, 겐조, 꼼데가르송, 헬렌 카민스키, 태그호이어, 투미가 신규 입점했다. 리뉴얼 브랜드 반응이 상당히 좋은 편이어서 향후 수원역 상권의 향방이 주목된다. 다만 의자등 편의시설 부족과 단순 브랜드 늘리기식 리뉴얼이 기존 롯데백화점과 차별점이 없다는 지적도 있다. 더현대와 같이 백화점을 몰 매장 처럼 꾸미는 것이 아닌 정 반대로 몰을 백화점 처럼 리뉴얼 했기에 나오는 반응이다. 리뉴얼반응1 또한 의왕 타임빌라스의 명칭 변경으로 인한 불만게시글도 안양지역 카페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기존 타임빌라스가 주는 자연에서의 여유로운 휴식 이라는 이미지가 수원 롯데몰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다는 지적이다. 리뉴얼반응2

주차랑 밥은 주차하기 편한 롯데에서 쇼핑은 지역 소비층에 맞는 브랜드들이 다수 입점해 있는 ak에서 즐길거리나 핫플레이스을 찾는 젊은세대들은 스타필드로 가는 쇼핑형태가 지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향후 인덕원 동탄선 신분당선 연장선 개통으로 인해 수원역 유동인구가 동탄이나 광교, 화서역등으로 분산될것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리뉴얼의 방향성이 모호해서 향후 행방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3. 층별 안내

3.1. 백화점

<colbgcolor=#0039FF><colcolor=#fff> 8F 샤롯데 가든
7F 식당가, 점행사장, 상품권교환, 문화센터
(사은행사장, 롯데카드센터, AVENUEL PURPLE 라운지)
6F 핸드백, 아동/유아
(유아휴게실, 의류수선실)
5F 스포츠, 아웃도어
(문화홀)
4F 남성패션, 골프웨어 AVENUEL ORANGE 라운지[3]
3F 여성패션,나이키[4], AVENUEL GREEN BAR
2F 해외패션
1F 해외패션, 화장품, 패션 주얼리
(발렛파킹 서비스, 안내데스크)
B1 식품, 생활가전
(발렛파킹 서비스, 팝업스토어)
B2 주차장

3.2. 쇼핑몰

<colbgcolor=#0039FF><colcolor=#fff> 5F 롯데시네마, 스카이 가든
4.5F 주차장
4F 롯데시네마, 주차장
3.5F 주차장
3F 아동, 리빙, 주차장
(롯데마트, 유아휴게실, 물품보관서비스)
2.5F 주차장
2F 패션잡화, 뷰티, 스포츠, 주차장
(롯데마트, 물품보관서비스)
1.5F 주차장
1F 패션잡화, 스포츠, 주차장
(안내데스크)
B1 주차장
(편의점, 지하철 연결통로)
B2 주차장

4. 매출

<rowcolor=#fff> 연도 순위 연 매출 신장률
2021 29위 3,790억 14.5%
2023 32위 3,881억 -6.1%

5. 여담

6. 경쟁 점포



[1] 갤러리아 광교는 오픈 1년차인 2021년에 이미 매출 6,000억 원을 넘어서면서 가볍게 수원 백화점 1위 점포로 올라섰다. [2] 1단계 - 2023년 12월 14일: 4층 - 남성패션, 5층 - 아웃도어.스포츠, 6층 - 키즈.유아동.유아휴게실 / 2단계 - 1월 4일: 1층 - 주얼리.구두, 3층 - 여성패션 / 3단계 - 2월: 4층 - 남성패션(2차).골프, 스포츠 플래그십. 5층 - 아웃도어.스포츠(2차), 6층: 란제리스튜디오.키즈(2차) / 4단계 - 3월: 1층 - 화장품, 3층 - 여성컨템포러리 / 5단계 - 4월: 1층 - 영패션.디자이너, 2층 - 럭셔리.워치, 3층 - 푸드홀.영디자이너, 4층 - 남성 컨템포러리, 5층 - 스포츠(3차).키즈카페, 6층 - 키즈(3차).영패션 [3] 2024년 3월 1일자로 7층에서 4층으로 이동 [4] 롯데몰 3층과 이어짐 [5] 수원역 민자역사의 소유가 AK플라자이기 때문에 그렇다. AK 입장에서는 경쟁자인 롯데에게 쉽게 갈 수 있는 다리를 허락해 줄 이유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기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7
, 2.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