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2:57:49

롯데마트 맥스

롯데마트 빅마켓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할인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전국구 할인점
파일:이마트 로고.svg 파일:이마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롯데마트 로고.svg 파일:홈플러스 로고.svg
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창고형 할인점
파일: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로고.svg 파일: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로고 화이트.svg 파일:롯데마트 맥스 로고.svg 파일:코스트코 로고.svg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롯데마트 맥스 코스트코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지역형 할인점
파일:농협 하나로마트 로고.svg 파일:메가마트 로고-1.png 파일:탑마트 로고.png 파일:트라이얼코리아 로고.svg
농협하나로마트 메가마트 탑마트 트라이얼 }}}}}}}}}}}}


파일:롯데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60012><colcolor=#fff> 대한민국 계열사
지주회사 롯데지주
식품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 파스퇴르) | 롯데칠성음료 ( 롯데주류) | 롯데아사히주류 | 롯데네슬레 | 롯데피플네트웍스 | 롯데중앙연구소 | 롯데GRS ( 롯데리아 · 엔제리너스 커피) | 길리안
유통 롯데쇼핑 ( 롯데백화점 · 롯데ON · 롯데아울렛 · 롯데몰 · 롯데마트 · 롯데마트 맥스 · 롯데슈퍼 · 롯데GFR · 에프알엘코리아 · 무인양품 · 자라리테일코리아 · 토이저러스 · 인천종합터미널) | 롯데상사 | 중고나라 | 롯데하이마트 | 롯데홈쇼핑 ( 벨리곰) | 롯데컬처웍스 ( 롯데시네마 · 롯데엔터테인먼트 · 샤롯데씨어터) | 롯데멤버스 | 코리아세븐 ( 롯데CVS711)
화학·건설·제조 롯데케미칼 ( 롯데정밀화학 · 케이피켐텍) | 롯데이네오스화학 | 롯데건설 ( 롯데캐슬 · 르엘) | 롯데CM사업본부 | 롯데기공 | 롯데알미늄 | 롯데엠시시 | 한국후지필름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관광·서비스·금융 대홍기획 | 호텔롯데 ( 서울 · 월드 · 제주 · 시그니엘 · 시티호텔 · 롯데면세점 · 롯데리조트 · 롯데월드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서울스카이 · 아쿠아리움 · 롯데워터파크) | 부산롯데호텔 | 롯데물산 ( 롯데월드타워 · 부산롯데타워 · 롯데월드몰) | 롯데글로벌로지스 | 롯데렌탈 ( 롯데렌터카 · 그린카) | 롯데이노베이트 | 롯데JTB | 롯데캐피탈 | 롯데자산개발 | 롯데스카이힐CC | 롯데자이언츠 | 롯데미래전략연구소 | 롯데인재개발원
재단 롯데문화재단 (롯데뮤지엄 · 롯데콘서트홀) | 롯데재단 (롯데장학재단 · 롯데복지재단 · 롯데삼동복지재단)
파일:롯데(일본) 로고 화이트.svg 일본 계열사
롯데홀딩스 | 롯데 | 광윤사 | 롯데시티호텔 | 롯데물산 | 롯데부동산 | 롯데서비스 | 미도리상사 | 크리스피 크림 도넛 재팬 | 치바 롯데 마린즈
}}}}}}}}} ||
<colcolor=#fff> 롯데마트 맥스
LOTTE Mart MAXX

파일:롯데마트 맥스 로고 화이트.svg

<colbgcolor=#019A6C> 상호명 정식: 롯데마트 맥스
영문: LOTTE Mart MAXX
서비스 2012년 6월 28일[1]
2022년 1월 19일[2]
운영사 롯데쇼핑㈜ 롯데마트사업부
전신 빅마켓

1. 개요2. 특징
2.1. 치즈앤도우(푸드코트)
2.1.1. 메뉴
3. 지점4. 평가(반응) 및 여담5. 경쟁업체

[clearfix]

1. 개요

파일:MAXX슬로건.jpg
MAXXimum Surprise
MAXXimum Savings

실속 있는 도심형 창고 매장
롯데마트 맥스(LOTTE Mart MAXX) 롯데쇼핑 롯데마트사업부가 운영하는 비회원제[3] 창고형 할인점이다.

2012년 6월 28일 빅마켓(VIC MARKET) 1호점인 금천점을 시초로 빅마켓이라는 명칭을 약 9년 7개월 동안 사용했지만, 2022년 1월 하순부터 대대적인 브랜드 리뉴얼을 통해 빅마켓(Vic Market)에서 '롯데마트 맥스(MAXX)'로 변경됐다. 관련기사 브랜드 리뉴얼 후 출점한 신규 점포 4개(상무점, 송천점, 창원중앙점, 목포점)는 맥스(Maxx)로, 빅마켓 시절부터 영업을 이어오고 있는 2개 점포(영등포점, 금천점)는 여전히 기존의 빅마켓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며 영업 중이다.

빅마켓(VIC Market)맥스(Maxx) 대부분 기존 롯데마트 일반 점포를 리뉴얼해 출점했고, 빅마켓 킨텍스점만 건물을 새로 지어 출점했다. VIC마켓 시절 출점했던 신영통점(2020.06.30. 폐점), 킨텍스점(2020.07.31. 폐점), 도봉점(2020.11.30. 폐점)은 모두 폐점한 상태이다.

빅마켓의 삽질(회원제, 차별화 부족, 카피캣 전략 실패 등등)로 인해 추가 출점은 커녕, 매장 수를 점점 축소하고 있었다. 2020년을 전후한 롯데마트의 대규모 점포 구조조정에 따라 VIC마켓 역시 사업 정리수순을 밟는듯 했으나, 코로나19 시대에 더욱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인 창고형 할인점들의 현황을 알아채고 돌연 2021년 사업 확대를 결정해서 2022년 호남권 매장 3곳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20개로 점포를 확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명칭 변경도 이 사업 확대와 맞물렸는데, 호남 3개 신규 점포 오픈과 함께 이름도 빅마켓(VIC MARKET)에서 롯데마트 맥스(MAXX)로 바꾸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2 관련기사3

롯데의 새로운 창고형 매장 브랜드인 맥스(MAXX)는 MAXimum eXperience의 약자로, 고객에게 최대의 혜택과 경험을 제공하는 실속 있는 매장을 의미한다고 한다. #

2. 특징

'한국형 창고형 할인점'을 목표로 코스트코의 인테리어 및 운영 방식을 상당히 모방해 런칭했었다. 빅마켓 런칭 당시 감행했던 유료 회원제 운영과 결제수단 한정(롯데카드 및 현금)이 그 유사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럼에도 코스트코와 유사하나 한국인의 입맛에 맞춘 피자코트와 다양하고 저렴한 '메이드 인 코리아' 상품이 포함된 매장구성, 로드쇼, 우수한 품질의 신선식품과 직영 베이커리/델리는 독보적인 매력을 지니며 코스트코를 대체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다.

허나, 이미 하이퍼마켓 파이에서 이마트에 밀리는 롯데마트 였기에 전국적으로 빅마켓에 대한 인지도부터 부족했으며, '유료 회원제' 이슈에서 '누구에게나 개방된' 창고형 매장을 표방하고 결제수단 또한 제약이 없던 이마트 트레이더스에 완패하고 부진한 성적을 이어왔다. 이후 팬데믹을 맞으며 빅마켓 2개 점포만을 남기고 폐점 수순을 밟았으며, 리뉴얼을 통해 롯데마트맥스로 브랜드명을 변경하고 재기를 꾀하고 있다.

코스트코,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과는 다르게 소매상품도 함께 판매한다. 특히 맥스로 리뉴얼 후에는 최근까지 소포장 단위의 상품을 대폭 늘리고 있다. 과자/대용식/면류/인스턴트/조미료 등의 상품군에서 낱개 단위 판매 상품을 만나볼 수 있는데, 그렇다고 과거 홈플러스 스페셜만큼 도매 상품군이 부족한 정도는 아니고 대용량 단위가 주류이나 일반 롯데마트 점포에서 판매하는 낱개 단위 상품도 일부 만나볼 수 있는 느낌으로 이해하면 된다.

PL 브랜드 상품군이 턱없이 부족하다. '온리 인 맥스'라는 자체 PL이 있으나 신선상품은 롯데마트 일반 점포 입점상품에서 라벨만 바꿨고, 공산품의 경우도 포장 단위만 대용량이 되었을 뿐 차별화된 점을 찾기 어렵다. 롯데마트의 PL 브랜드 오늘좋은, 요리하다의 일반(소포장) 상품 일부가 동일하게 입점되어 있으며, 요리하다 일부 상품이 대용량 기획으로 판매 중이다.

국내계열의 창고형 할인점인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에 비해 빅마켓 초기 시절보다는 상품 소싱이 미흡해 아쉬움이 있다. 점포 수 차이가 매입 능력과도 직결될테니 양질의 다양한 SKU 구비가 어려워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브랜드 리뉴얼 이후에는 기존에 창고형 할인점이 전무한 지역 위주로 출점해 지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직영베이커리 풍미소와 우수한 신선식품 및 주류전문매장 보틀벙커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인테리어는 맥스의 상징색인 민트색이 포인트가 되고, 밝고 환한 조명을 사용해 과거 빅마켓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를 보여준다. 롯데마트에서 맥스로 전환된 매장들의 경우 기존 창고형 매장과 달리 층고가 낮다. 기존 롯데마트에서 빅마켓으로[4]리뉴얼된 매장은 이전 빅마켓 매장과는 다르게 일반 하이퍼마켓처럼 천장 마감을 뜯지 않고 그대로 유지했으며, 일부 전등만 교체했다.

롯데마트롯데마트&MAXX카드 런칭 후,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의 제휴삼성카드 할인과 비슷하게 해당카드 전용 전단상품 운영이 늘어났다. 롯데마트, 롯데슈퍼가 통합으로 운영하는 롯데마트고(GO) 적립도 공유하지만, 스노우플랜은 해당되지 않는다.

2.1. 치즈앤도우(푸드코트)

파일:치즈앤도우.jpg

롯데마트 맥스의 피자 전문점 브랜드이다. 상술한 것처럼 코스트코를 모방하였지만 맛에서 차이가 크고 메뉴가 더 다양하다.

기존 빅마켓 시절 '피자코트'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맥스 도입 후 치즈앤도우라는 정식명칭[5]을 사용한다.[6]

기존 빅마켓 시절 '피자코트'로 운영됐으나, 2017년 롯데마트 브랜드 리뉴얼을 통해 창고형 할인점에만 들어가던 피자 전문점이 신규 출점한 롯데마트 일반 점포[7]에도 입점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맥스로의 브랜드 리뉴얼 후에는 모두 치즈앤도우가 입점해 운영 중이다.

2024년 상반기에 빅마켓 영등포점에서 운영하던 피자코트는 일반 업체가 입점하는 푸드코트가 대체하며 폐점했다.

팬데믹을 거치며 코스트코에서는 제공을 중단한 양파 플렉쳐링(다진양파)을 계속해서 무제한 제공했으나, 업계 흐름에 맞춰 2023년 9월 제공을 중단했다.

2.1.1. 메뉴

메뉴 가격
트리플 치즈 피자 16,900원
페퍼로니 피자 18,900원
콤비네이션 피자 18,900원
베이컨 포테이토 피자 18,900원
클래식 불고기 피자 18,900원
오리지널 하와이안 피자 18,900원
디트로이트 마르게리타(11인치) 15,800원
딥디쉬 시카고 피자(8인치) 14,900원
조각 피자(일 메뉴 한정) 2,500~4,500원
치즈(추가) 2,000원
확실히 코스트코의 미국식 피자보다는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의 T카페와 치즈앤도우가 덜 짜고 자극적이지 않아서 한국식 피자에 더 맞는편이다.[8] 또한 경쟁사의 푸드코트 보다 메뉴가 많아서 하루에 판매하는 조각피자 메뉴가 한정된다.[9] 디트로이트, 시카고 딥디쉬 피자는 조각으로 판매하지 않는다.
한 가지 참고할 점은 판 단위로 시키면 새로 만들어낸 따끈따끈한 피자가 나오지만, 조각피자의 경우 주기적으로 피자를 따로 만들어서 조각낸 걸 진열장에 따뜻하게 보관하고 있다가 주문이 들어오면 바로 내오는 형태라서 아무래도 맛이 약간 떨어진다. 대신 대기하는 시간은 거의 없는편이다.[10]

메뉴 가격
육즙 가득 핫도그 3,500원
클래식 불고기 버거 4,900원
스파이시 통살 치킨 버거 4,900원
스파이시 치킨 샐러드 5,900원
불고기 베이크 5,900원
베이컨 토마토 파스타 5,900원
치즈볼 (5입)3,500원
빅마켓 시절에는 코스트코와 동일하게 2,000원으로 판매되었지만, 맥스로 전환되면서 총 1,500원을 인상하여 가성비적인 메리트는 크게 줄었다.
다만, 이 메뉴도 당초보다 2,000원이나 인상하여 현재에도 타 경쟁사들의 제품보다 1,000원이나 더 비싸다. 가격면에서 살짝 부담된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메뉴 가격
아메리카노(ICE/HOT) 1,500원
탄산음료(컵) 1,500원
펩시 콜라(1.25 L) 2,500원
디핑 소스(시저/갈릭) 500원
피클 500원
핫소스 100원
파마산 치즈 파우더 100원

* 메뉴의 종류와 가격은 롯데마트 맥스(빅마켓) 매장내에 위치한 '치즈앤도우'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롯데마트의 일부매장에 있는 '치즈앤도우'와는 제품과 가격에서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지점마다 판매상품이 상이할 수 있다. 해당 지점에 메뉴의 판매여부 확인 요망.

3. 지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롯데마트 맥스/지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반응) 및 여담

5. 경쟁업체



[1] 빅마켓 1호점 금천점의 개점일. [2] 첫번째 롯데마트 맥스 신규 매장인 전주송천점의 개점일. [3] 런칭 당시에는 코스트코와 같은 회원제로 운영했으나, 2020년 6월 비회원제로 전환했다. [4] 창원중앙점 식품매장 제외 [5] 일부 혁신, 리뉴얼 롯데마트 일반 점포에도 치즈앤도우라는 코스트코 푸드코트 형태의 브랜드가 존재한다. [6] 다만 현재까지도 빅마켓으로 운영되는 매장은 '피자코트'를 사용하고있다. [7] 서초점, 금천점, 김포한강점 등 [8] 코스트코의 자극적인 미국식 피자를 선호하는 사람 또한 있어서 호불호가 갈린다. [9] 그날 판매하는 조각피자가 아닌 다른메뉴의 피자는 1판으로 주문해야 한다. [10] 이것은 코스트코 트레이더스의 푸드코트 또한 비슷하게 판매된다. [11] 홈플러스의 창고형 매장인 홈플러스 스페셜은 이미 광주, 전주, 순천에 선보였지만, 창고형의 특징인 대용량 상품이 많지 않고 매장 인테리어도 창고형 느낌만 살짝 가미한 수준이라 여기가 창고형인지도 모르고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후 2023년에 사업을 중단하고 다시 일반 홈플러스로 전환되었다. [12] 코스트코의 경우 '커클랜드 시그니쳐'가 있고, 트레이더스도 홀세일 클럽 '티 스탠다드'라는 자체 브랜드(PB)를 만들었다. 그래도 '온리 인 맥스'로 상품성 개별화에 힘주고있다. [13] 특히 매장입구가 2층에 있는 매장(전주송천점, 상무점, 목포점)의 경우가 동선이 불편하다는 불만이 있다. 창원중앙점은 매장입구가 1층에 있어 동선 불만은 타 지점보다는 덜한 편이다. [14] 아직까지 간판도 하나 바꾸지 않았다.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은 런칭 2개월만에 전 매장 간판이 전부 교체됐지만... [15] 저쪽은 코스트코 하남점 주차장 직원 폭염 사망 사건에 대한 한국 대표의 막말 및 폭언으로 불매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