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21:48:03

란다우 상수


수학 상수
Mathematical Constant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math(^\ast)] 초월수임이 증명됨.
[math(0)]
(덧셈의 항등원)
[math(1)]
(곱셈의 항등원)
[math(sqrt{2})]
(최초로 증명된 무리수)
[math(495)], [math(6174)]
( 카프리카 상수)
[math(0)], [math(1)], [math(3435)], [math(438579088)]
( 뮌하우젠 수)
[math(pi)]
(원주율)
[math(^\ast)]
[math(tau)]
(새 원주율)
[math(^\ast)]
[math(e)]
(자연로그의 밑)
[math(^\ast)]
[math(varphi)]
(황금수)
[math(i)]
(허수단위)
[math(G)]
(카탈랑 상수)
[math(zeta(3))]
(아페리 상수)
[math({rm Si}(pi))]
(윌브레이엄-기브스 상수)
[math(gamma)]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math(gamma_n)]
(스틸체스 상수)
[math(Omega)]
(오메가 상수)
[math(^\ast)]
[math(2^{sqrt{2}})]
(겔폰트-슈나이더 상수)
[math(^\ast)]
[math(C_n,)]
(챔퍼나운 상수)
[math(^\ast)]
[math(A,)]
(글레이셔-킨켈린 상수)
[math(A_k,)]
(벤더스키-아담칙 상수)
[math(-e, {rm Ei}(-1))]
(곰페르츠 상수)
[math(mu)]
(라마누잔-졸트너 상수)
[math(B_{2})], [math(B_{4})]
(브룬 상수)
[math(rho)]
(플라스틱 상수)
[math(delta)], [math(alpha)]
(파이겐바움 상수)
[math(G)]
(란다우 상수)
[math(C_A)]
(아르틴 상수)
}}}}}}}}} ||
1. 개요2. 표현식
2.1. 란다우 상수[math(G )]
3. 블라슈케 함수4. 관련 문서

1. 개요

란다우 상수(Landau constant)는 복소해석학에서 중요하게 취급하는 수 중 하나로, 복소 평면의 단위 원판에서 해석 함수가 최대값을 가질 때 관련된 상수이다. 이 상수는 최대 모듈러스 원칙에 의해 정의되며, 대표적으로 반경r의 단위 원판 위의 해석 함수의 절댓값의 최대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 상수는 리만 제타 함수, 감마 함수, 베타 함수 등 여러 특수함수와 연결되며, 수학적 분석에서 깊이 있는 연구의 대상이다.[1] 에드문트 란다우의 이름이 붙여졌다.

2. 표현식

란다우 상수[math(G )]
[math(G = \dfrac{\Gamma^2\left(\dfrac{1}{4}\right)}{4\sqrt{\pi}} \approx 0.566... )]

2.1. 란다우 상수[math(G )]

단위 원판 [math(|z| < 1 )]에서 해석 함수 [math(f(z) )]의 멱급수 전개 [math(f(z)= \sum\limits_{n=0}^{\infty} a_n Z^n )] 에 대해
[math(f(0)=0,|f(z)|<1 )]인 경우, [math(f(z) )]의 두 번째 계수 [math(a_2)] 의 절댓값이 가질 수 있는 최대값을 조사한다.
[math(G = \sup|a_2| )]
해석 함수로는 블라슈케 함수(Bloch Function)가 활용된다.

3. 블라슈케 함수

블라슈케 함수(Bloch Function) 활용 형태 및 정의
[math( f(z) = \dfrac{z}{1+\alpha z} \; ,\; {\sf where}\, |\alpha| <= 1 )]
여기서 [math( z = x + yi \; , \; x=\Re(z),y = \Im(z),\; \alpha= 2.0({\sf pola} -x),0.1(+y,-y, +x {\sf pola}))] 조건에서 밝기가 최대인 영역을 구현한다.

4. 관련 문서


[1] \[euDML\]Ueber die zahlentheoretische Funktion ... (n) und ihre Beziehung zum Goldbachschen Satz , E. Landau , Nachrichten von der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Göttingen, Mathematisch-Physikalische Klasse (1900) Volume: 1900, page 177-1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