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7:22:51

도쿄메트로 13000계 전동차

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 도쿄메트로 소속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긴자선 마루노우치선
1000형
100형
2000형
01계 1000계 500형
100형
2000형
02계 2000계
히비야선 도자이선
3000계 03계 13000계 5000계 05계
N05계
07계
15000계
치요다선
5000계
6000계
05계
06계
16000계 7000계 07계[a] 10000계
17000계
한조몬선 난보쿠선
8000계 08계 18000계 9000계
※도쿄메트로의 전신인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의 전동차도 함께 서술하였음.
회색 처리된 취소선 : 전 편성이 퇴역 / 밑줄 : 일부, 대부분 편성이 퇴역 / 취소선 : 도입 예정
[a] 현재 도자이선으로 이동
}}}}}}}}} ||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도쿄메트로 13000계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도쿄메트로 13000계 전동차
Tokyo Metro 13000 series
東京メトロ 13000系 電車
}}}
파일:Tokyo-Metro-Series13000-13111.jpg
차량 정보
용도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7량 1편성
운행노선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 히비야선
도부 철도 파일:Tobu-TS.svg 파일:Tobu-TI.svg 이세사키선· 파일:Tobu-TN.svg 닛코선[1]
도입시기 2016년 ~ 2020년
제작사 킨키차량
소유기관 도쿄메트로
운영기관
운행시기 2017년 ~ 현재
차량 제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전장 선두차 20,470㎜
중간차 20,000㎜
전폭 2,780㎜
전고 3,585㎜
팬터그래프 부착차량 3,995㎜
궤간 1,067㎜
차중 34.9~35.4t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운전보안장치 CS-ATC, ATO[히비야선]
TSP[이세사키선·닛코선]
ATC-P[도큐선]
CBTC[도입예정]
제어방식 미쓰비시 VVVF- IGBT 인버터 제어[제01~21편성]
미쓰비시제 VVVF-Full SiC[22편성~44편성]
동력장치 도시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기어비 109:14
제동방식 ATC연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8]
주전동기 출력 205kW
편성출력 2,870kW
최고속도 영업 80㎞/h( 히비야선)
100㎞/h( 도부 이세사키선)
설계 110㎞/h
가속도 3.3㎞/h/s
감속도 상용 3.7㎞/h/s
비상 4.5㎞/h/s
MT 비 3.5M 3.5T (0.5M 구조) }}}}}}

1. 개요2. 특징3. 여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히비야선의 03계를 대체한 도쿄메트로의 신형 전동차이다. 2016년 6월 11일 초도편성이 제작되어 도쿄로 올라왔으며 8월 27일 ~ 8월 29일에 걸쳐서 두번째 편성이 올라왔다. 도쿄메트로 측에서는 올림픽이 개최되는 2020년까지 모두 총 44편성 308량[9]을 도입해 지금의 03계를 2020년 2월 28일 부로 현역에서 퇴역시켰다.[10]

2016년 8월 31일에는 지난 2016년 6월에 도입된 초도편성인 01편성을 일반에 공개하는 행사를 가졌으며, 2017년 3월 25일에 영업 운행을 시작했으며, 2020년 4월, 44편성이 모두 도입되었다.

2. 특징

기존 03계에서 사용하던 이질적인 18m급 3비차 규격에서 벗어나 세이부 철도, 도부 철도, 도큐 전철, 도에이 지하철, 오다큐 전철, 사가미 철도, JR 등 도쿄메트로와 직통하는 회사에서 채용한 규격인 20m급 4비차의 형태로 변경되었다. 규격이 변경되면서 히비야선 승강장 유효장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03계의 8량 1편성(총길이 144m)에서 1량 줄어든 7량 1편성(총길이 140m)으로 도입되었다. 차고도 소폭 높아졌다.

행선표시기에 역번호를 같이 표출할 수 있으며, 치요다선의 16000계와 비슷한 타입의 풀 디지털 운전대를 채용하였다. 본 운전대는 히비야선 - 이세사키선 직통운전을 상정하고 같은 베이스로 설계된 도부 70000계 전동차에도 채택되었다. 사실 일본은 노선 관할 회사가 바뀌는 곳에서 승무원을 교체하기 때문에 직통하는 노선끼리 운전대를 통일하는 것이 흔하다. 도큐와 직통하는 회사들도 도큐의 대형 T차 원핸들 운전대를 채택하는 것이 그 예시.

본 열차는 모든 칸이 모터칸이지만 한 칸에 동력대차와 부수대차가 같이있는 0.5M 구조이다.
그래서인지 7량 편성으로는 죽어도 못할거 같았던 1:1 MT비가 가능해졌다.

이미 2013년부로 직통운전이 끝난 도큐 전철의 신호설비를 탑재하고 있다. 용도는 과거 운행하였던 03계와 같이 중검수를 받기 위해 도큐 덴엔토시선에 있는 도쿄메트로 한조몬선의 차량기지인 사기누마 검차구까지의 회송용이다. 따라서 도요코선 - 오이마치선 - 덴엔토시선 경로로 중검수를 받으러 간다. 참고로 히비야선의 센주검차구 중검수 시설은 2004년에 사기누마 검차구로 통합 후 폐지되었다. 유튜브에서 회송으로 도큐 전철의 노선을 달리는 13000계의 영상들을 볼 수 있다. 도요코선 오이마치선 덴엔토시선

파일:Screenshot_2017-07-24-22-39-51.png
출입문 상단의 모니터가 다른 전동차[11]와는 달리 3개로 되어 있으며, 한국어 중국어도 표출한다. 좌측은 광고용, 우측 2개는 안내용이다.

3. 여담

4. 관련 문서



[1]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각역정차 등급으로 직통운전 [히비야선] [이세사키선·닛코선] 도부형 ATS [도큐선] 중검수 목적으로 도큐 덴엔토시선에 있는 사기누마 차량기지까지 회송 시 사용 [도입예정] 도쿄메트로 플랜 2021에 따르면, 2023년부터 CBTC를 사용할 계획이다. [제01~21편성] [22편성~44편성] [8] 순전기제동 포함 [9] 13101F ~ 13144F [10] 반면 도부 70000계는 1년 빠른 2019년까지 전 차량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었으나, 2020년 1월이 돼서야 18편성까지 도입 완료되었다. [11] 보통 2개 [12] 이 차량처럼 배치된 등화류의 두께를 더 얇게 디자인한 사례로 한국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2차분이 있다. [13] 차량전장이 무슨 상관이냐 할 수있지만, 급곡선에서 차량에 표지판과 터널이 긁히는 문제가 우려되었다고 한다. 곡선을 돌아나갈때 열차는 직선인데 터널은 곡선이므로 20m급 차량은 객차 끝부분이 긁힌다는 것. 그래서 곡선대응에 유리한 18m급 열차만 투입된 것이다. [14] 당장 이 차를 도입할때 03계보다 한 량이 줄어든 7량 1편성으로 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