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3 18:37:32

김영진(1907)


파일:북제주군 휘장(1996~2006).svg
제주도 북제주군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박명효
제2대
김영진
제3대
현주선
제4대
부항석
제5대
김왕진
제6대
강우준
제7대
홍순하
제8대
김한준
제9대
강덕훈
제10대
강태식
제11대
김태진
제12대
김인화
제13대
이군보
제14대
부두용
제15대
홍주표
제16대
전창수
제17대
현치방
제18대
오수만
제19대
김봉수
제20대
김인탁
제21대
김인규
제22대
황인서
제23대
임제호
제24대
고민수
제25대
송무훈
제26대
강철희
제27대
박찬식
제28대
양대현
제29대
김계홍
제30-33대
신철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장
}}}}}}}}} ||

<colbgcolor=#2c9d36><colcolor=#fff> 초대 남제주군수·제2대 북제주군수
김영진
金榮珍
출생 1907년
전라남도 제주군 중면 이도리
(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동)
사망 불명
본관 경주 김씨
재임기간 초대 남제주군
1946년 8월 1일 ~ 1946년 11월 4일
제2대 북제주군
1946년 11월 15일 ~ 1950년 3월 1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c9d36><colcolor=#fff> 부모 아버지 김남련
학력 광주농업학교 (졸업) }}}}}}}}}

1. 개요2. 생애3. 여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에 제주도 지역에서 활동한 인물로, 초대 남제주군수와 제2대 북제주군수를 역임했다.

2. 생애

김영진의 생애에 관한 제주일보 기사

1907년 제주목의 주서(主書)였던 김남련의 큰아들로 태어났다.[1] 광주농업학교를 다녀 1930년 5년 과정을 졸업했고 이후 일제 치하에서 관직 생활을 하였다.

광복 이후 미군정의 눈에 들어 1946년 8월 1일 박경훈 초대 제주도지사, 박명효 초대 북제주군수처럼 초대 남제주군수로 임명됐다. 남제주군수로 있는 동안 행정체제 정비에 힘썼다. # 그는 동년 11월 4일에 퇴임하나 11월 15일 제2대 북제주군수로 다시 군수 생활을 하게 되었다. 1947년 제주 4.3 사건의 발단이 되는 3.1절 발포 사건 이후 도내의 모든 공공기관이 총파업에 들어갔는데, 그가 군수로 있는 북제주군청이 스스로 파업을 중지하여 미군정이 그를 신임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으로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북제주군 을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3,604표(14.99%)의 득표를 기록해 무소속 강창용, 대한국민당 양병직에 이어 3위에 머물렀다. 이후 1952년 지방선거에 다시 출마해 제주도의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초대~제3대 제주도의회의 기록물이 유실됐기 때문에 이 시기 의정활동에 대해 알 수는 없다. 1960년 지방선거에서 제주도지사에 출마하나 22.2%의 득표를 받아 5명 중 4위로 낙선했다. 몰년은 알려져 있지 않다.

3. 여담

제주 4.3 사건 당시 서북청년단이 자행한 폭력 활동의 피해자이다. 서청에서 가장 악명높던 제주도위원장 김재능(金在能)에게 폭행을 당해 팔이 부러진 것으로 전해진다. 제주도 행정 총무국장 김두현이 서청의 요구를 거절한 뒤 고문 살해당한 사건도 있는 등 당시 서북청년단의 만행은 힘없는 일반 도민들에 한정된 것이 아니었다.

4. 관련 문서


[1] 제주일보 원문에 이렇게 되어 있으나, 1906년(고종 43)에 제주목(濟州牧)은 폐지되어 제주군으로 개칭되었으므로 잘못된 정보이다. 제주군에 주서라는 관직이 있었거나 과거에 이런 관직을 맡았던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