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21:26:34

문김대전

김도영 vs 문동주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문동주
, 김도영
,
,
,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표제어를 '문동주 vs 김도영'에서 '문김대전'으로 변경 및 문동주-김도영 순으로 서술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표제어를 '문동주 vs 김도영'에서 '문김대전'으로 변경 및 문동주-김도영 순으로 서술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F60> 파일:문동주2024.png 관련 문서
문동주
Moon Dongju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2022년 · 2023년 · 2024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rowcolor=#fff>
기타
플레이 스타일 · 여담 · 문김대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ea0029> 파일:2024 김도영.png 관련 문서
김도영
Kim Do-yeon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아마추어 시절 프로 지명
프로 경력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KIA Tigers
2022년 · 2023년 · 2024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rowcolor=#ffffff>
평가
플레이 스타일
기록
통산 홈런 일지 · 연도별 성적
기타
문김대전
}}}}}}}}} ||
파일:문김15.png
<colcolor=#fff> 한화 이글스 No.1 <colcolor=#ffffff> KIA 타이거즈 No.5
문동주
Moon Dongju
김도영
Kim Do-yeong

1. 개요2. 전개
2.1. 고교 시절
2.1.1. 고향팀 지명을 꿈꾸던 두 소년2.1.2. KIA 타이거즈의 1차지명과 한화 이글스의 1차지명
2.2. 프로 데뷔 이후
3. 맞대결
3.1. 2023년3.2. 2024년
4. 야구계에서의 문김대전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20년대 KBO 리그의 떠오르는 신예 선수인 한화 이글스 소속 선발 투수 문동주 KIA 타이거즈 소속 내야수 김도영의 경쟁 관계를 정리한 문서.

2. 전개

2.1. 고교 시절

파일:feyr6tgh.jpg
고교 시절 김도영과 문동주

2.1.1. 고향팀 지명을 꿈꾸던 두 소년

<colcolor=#fff> 고등학교 시절 문동주 <colcolor=#ffffff> 고등학교 시절 김도영

동갑내기인 두 선수는 모두 KIA 타이거즈의 연고지인 광주광역시 출신으로, KIA 팬들이 왜 하필 두 선수가 같은 해에 드래프트에 나왔는지 하늘을 원망할 정도로 두 선수는 광주를 넘어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유망주였다. 점점 드래프트가 가까워 지면서 두 화재가 된 두 선수 모두 KIA 타이거즈에 1차 지명이 되고 싶다고 강력하게 어필하며 크게 화두로 떠올랐다.

두 선수 중 KIA가 지명하지 않는 선수는 2020년 최하위로 전국 지명권[1]을 가진 한화가 지명할 것이 거의 확실시되었다.

2021년 중반까지는 KIA 문동주, 한화 김도영이 거의 확실해지나 싶었으나, 김도영의 협회장기 대활약과 투수진에 비해 부족한 야수진 문제 1차 지명 경쟁이 치열해지며, 1차 지명 판도가 흔들렸다.

2.1.2. KIA 타이거즈의 1차지명과 한화 이글스의 1차지명


이후 1차 지명 당일인 2021년 8월 23일, KIA가 고심 끝에 문동주 대신 김도영을 지명했고, 3일 후 8월 26일 오후 3시에 한화는 예상대로 문동주를 지명했다.[2] 당시 KIA는 제2의 이종범이라 불리며 공수주 삼박자를 갖춘 5툴 완성형 내야수를 얻었고, 한화는 향후 미래를 이끌어 갈 150km/h를 쉽게 던지는 에이스급 강속구 투수를 얻었다는 점에서 모두 윈윈으로 평가 받았다.[3]

10월 7일, 김도영은 KIA와 4억원에 입단 계약을 체결했다. 하루 뒤인 10월 8일, 문동주는 한화와 5억원에 입단 계약을 체결했다. 김도영은 이 계약으로 2001년 이현곤의 3억 5천만원을 뛰어넘은 4억원으로 KIA 야수 역대 최고 규모의 계약금을 받았고, 문동주도 한화 역대 3번째로 규모의 계약금[4]을 받으면서 두 선수 모두 소속 구단으로부터 재능을 인정받았다.

한편 고교 시절 공식 기록 상대전적은 3타수 2안타로 김도영이 우세했다.

2.2. 프로 데뷔 이후

<colcolor=#fff> 문동주 입단 기념 인터뷰 <colcolor=#ffffff> 김도영 입단 기념 인터뷰

2.2.1. 2022년

선수별 2022년 문서
문동주 김도영


문동주 2022년 최종 기록
<rowcolor=#FFF> 경기 세이브 홀드 ERA 탈삼진 승률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QS(QS+) sWAR
13[6] 1 3 0 2 5.65 36 0.333 28⅔ 28 5 14 1 0 0.18
김도영 2022년 최종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103 224 53 11 4 3 19 37 62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22 3 3 13 .237 .312 .362 .674 2.17

2.2.2. 2023년

선수별 2023년 문서
문동주 김도영


문동주 2023년 최종 기록
<rowcolor=#FFF> 경기 세이브 홀드 ERA 탈삼진 승률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QS(QS+) sWAR
23 8 8 0 0 3.72 95 .500 118⅔ 113 6 42 4 7(3) 2.96
김도영 2023년 최종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84 340 103 20 5 7 47 72 62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38 1 14 25 0.303 0.371 0.453 0.824 3.88

2.2.3. 2024년

선수별 2024년 문서
문동주 김도영

3. 맞대결

3.1. 2023년

8월 6일 맞대결 결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이닝 투구 내용 <colcolor=#FFF> 결과
<rowcolor=#FFF> 투구 구종 및 구속
1회말 S 커브 126km/h 유격수 라인드라이브 아웃
B 커브 126km/h
커브 126km/h
커브 126km/h
헛스윙 커브 126km/h
타격 커브 126km/h
4회말 B 직구 147km/h 우익수 플라이 아웃
S 직구 149km/h
타격 직구 148km/h
6회말 S 커브 121km/h 볼넷
B 커브 132km/h
S 직구 150km/h
B 커브 133km/h
파울 직구 154km/h
B 직구 157km/h
직구 152km/h
3타석 2타수 무안타 1볼넷
}}}}}} ||
8월 27일 맞대결 결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이닝 투구 내용 <colcolor=#FFF> 결과
<rowcolor=#FFF> 투구 구종 및 구속
1회말 S 커브 124km/h 우익수 플라이 아웃
헛스윙 슬라이더 143km/h
B 슬라이더 145km/h
타격 직구 155km/h
3회말 B 슬라이더 138km/h 볼넷
파울 직구 151km/h
헛스윙 직구 153km/h
파울 직구 155km/h
B 슬라이더 141km/h
파울 직구 154km/h
B 커브 129km/h
슬라이더 142km/h
6회말 B 커브 123km/h 우익수 앞 1루타[16]
직구 149km/h
S 직구 151km/h
직구 153km/h
B 직구 155km/h
타격 직구 152km/h
3타석 2타수 1안타 1볼넷
}}}}}} ||

3.2. 2024년

4. 야구계에서의 문김대전


MBC sports 에서 문김대전을 다루었다. 패널들로 송재우, 박정권, 류선규, 정세영이 나와 해당 주제를 다루었다. 각각의 패널들이 당시 단장이 돼서 두 선수 중 한 명을 지명한다고 했을 때 누구를 고를 것이냐는 질문에 패널 4명 모두 김도영을 선택했다.

5. 여담


* 나무위키의 스포츠 라이벌 문서의 야구 문단의 라이벌 관계 목록을 보면 투수 vs 투수 또는 타자 vs 타자 관계지만, 문김대전은 투수와 타자간의 라이벌 관계로 형성됐다는 점이 특이점이다.

6. 관련 문서



[1] 연고지 선수의 1차 지명 권리를 포기한 후 타 구단의 연고지 선수를 지명할 수 있는 권리로 전년도 8~10위 구단에게 부여된다. 이는 1차 지명 폐지 2년 전인 2021년 신인드래프트에서 처음 시행됐다. [2] 30일까지 지명할 수 있지만, 하루라도 빨리 한화에 소속감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 삼성과 협의 후 일찍 발표했다. # [3] 당시 두 구단의 내야·투수진 상황을 보면 두 선수 모두 즉시 전력감이었다. [4] 1위는 유창식의 7억원, 2위는 유원상의 5억 5천만원이다. [5] 5이닝 제한을 걸어둔 상태로 로테이션을 소화했다. [6] 선발 4경기 + 구원 9경기 [7] 정확히는 160.1km/h. [8] 다만 팀당 최대 3명이 차출되는데, 이미 KIA에서는 이의리 최지민, 그리고 최원준까지 3명이 발탁돼, 실제로 아시안 게임에 나갈 수 없다. [9] 애초에 김도영은 시즌 시작부터 부상으로 전반기를 이탈해 6월에 선발하는 최종 엔트리에 들 가능성은 없었다. 9월 소집 전에 부상자들이 생기며 대체자로 가능성은 있었지만, 이미 대표팀 내야수가 포화상태였던지라 최종적으로 타자 대체 선수는 외야수로 노선을 틀었다. [10] 김도영 또한 최종 엔트리에는 들었지만 APBC에서의 부상 여파로 교체 아웃 되었다. [11] 반등 이전까지 1할의 타격과 몇차례의 실책으로 극성인 팬들로부터 2군으로 보내라는 성토와 큰 비난을 받았으나 이범호 감독의 신뢰로 1군에서 기회를 받던 중 감각을 찾으며 동 기간 동안 리그에서 가장 화려한 활약을 하는 선수로 변모하였다. 팬들이 기대하던 제2의 이종범으로의 모습과 남다른 재능을 명확히 각인시켰다. [12] KBO 리그 최초 월간 10홈런 10도루. [13] 기간이 3~4월로 묶여 있지만 홈런과 도루 모두 4월에만 기록한 수치이다. (첫 홈런 4/5, 마지막 홈런 4/25) (첫 도루 4/2, 마지막 도루 4/28) [14] KBO 역대 5번째 전반기 20-20 달성 기록, 2번째 최연소, 우타 최연소 [15] 스트라이크 낫아웃 출루는 공식 출루에 포함되지 않음. [16] 데뷔 첫 문동주 상대 안타 [17] 2020년대에 프로에 입단한 전라도 출신 선수들은 사투리 억양이 비교적 아저씨들보다 적거나 거의 사투리를 안 쓰는데 김도영은 사투리를 굉장히 많이 쓰는 이종범과 말투가 비슷하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