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04 12:50:05

개신교 정통주의

구개신교 정통주의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치이념에 대한 내용은 전통주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근세 및 근대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중세 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종교 개혁 <colbgcolor=#fafafa,#191919> 루터 · 카를슈타트 · 츠빙글리 · 칼뱅 · 불링거
살라망카 학파 비토리아 · 수아레스 · 몰리나 · 라스 카사스 · 바녜스
청교도주의 그린햄 · 로저스 · 퍼킨스
급진 종교개혁 카를슈타트 · 시몬스 · 후터 · 뮌처 · 재세례파 · 메노나이트
이냐시오 영성 이냐시오
가르멜 신비신학 테레사 · 요한
칼뱅주의 베자 · 오웬 · 하이퍼 칼빈주의
아르미니우스주의 아르미니우스
구개신교 정통주의 후터 · 케커만 · 게르하르트 · 알스테드 · 보에티우스 · 볼레프 · 코케이우스 · 칼로비우스 · 무조이스 · 크벤슈테트 · 쾨니히 · 하이데거 · 뢰셔
영국 이신론 허버트 · 로크 · 틴들 · 울스턴 · 톨런드 · 아넷
계몽주의 신학 데카르트 · 라이프니츠 · 볼프 · 라이마루스 · 칸트 · 레싱 · 헤겔
경건주의 슈페너 · 프랑케 · 랑에 · 진젠도르프 · 퀘이커
과도기 신학 부도이스 · 파프 · 발히
신학적 볼프주의 볼프 · 칸츠 · 슈미트 · 바움가르텐
뉴잉글랜드 신학 에드워즈 · 벨라미 · 테일러 · 아마사 팍
웨슬리주의 웨슬리
신신학 에르네스티 · 예루살렘 · 슈팔딩 · 퇼너 · 젬러 · 뤼트케 · 슈타인바르트 · 에버하르트 · 가블러
초자연주의 신학 슈토르 · 티트만 · 베크
합리주의 신학 티프트룽크 · 벡샤이더
사변신학 다우프 · 마르하이네케 · 비더만
낭만주의 신학 슐라이어마허 · 콜리지
폰드레이 · 묄러 · 폰쿤
신루터파 하름스 · 토마시우스 · 폰하를레스 · 뢰헤 · 클리포트 · 폰호프만
중재신학 베테 · 니치 · 트베스텐 · 뤼케 · 울만 · 움브라이트 · 로테 · 도르너
부흥신학 네안더 · 톨룩 · 뮐러
신 튀빙겐 학파 바우어 · 젤러 · 슈베글러
신스콜라주의 페로네 · 파살리아 · 프란첼린 · 지글리아라 · 가리구라그랑즈
프린스턴 신학 하지
키르케고르주의 키르케고르
리츨 학파 리츨 · 폰 하르낙
신칼뱅주의 카이퍼 · 바빙크 · 흐레이다누스 · 헤프 · 흐로스헤이더 · 드흐라프 · 도예베르트 · 볼렌호벤
성공회 가톨릭주의 키블 · 뉴먼 · 퓨지 · 프루드 · 고어 }}}}}}}}}}}}

改新敎 正統主義
Protestant Orthodoxie

1. 개요2. 역사3. 신학
3.1. 신앙3.2. 성서3.3. 창조
4. 주요 문헌

1. 개요

개신교 정통주의 또는 개신교 스콜라주의 종교개혁 말기부터 신신학의 도래까지, 즉 16-18세기 유럽에서 일어났던 신학 사조였다.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종교개혁의 신학을 철학과 종합시키고 체계화시켰으며, 교파에 따라 "루터파" 정통주의와 "개혁파" 정통주의로 나뉜다. 신개신교 정통주의와 구분하기 위해 구개신교 정통주의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정통주의는 경건주의의 등장으로 몰락하기 시작했다.

2. 역사

정통주의는 루터, 츠빙글리, 칼뱅을 비롯한 종교개혁의 지도자들이 사망하면서부터 서서히 드러났다. 이들은 종교개혁 신학의 주관성과 상이성을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형이상학의 용어를 사용해 종합시켜 객관적이고 거대한 체계를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개신교 정통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요한 게르하르트였다.

그러나 정통주의의 성서에 대한 축자영감설과 객관성에 대한 강조는 이에 대한 반발로 경건주의 신신학을 탄생시켰다. 그럼에도 그들의 체계성 덕분에 과도기 신학, 신신학, 신학적 볼프주의, 이신론을 탄생시키는데 정통주의가 기교를 놓았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성서비평과 칸트의 신 존재 증명 비판이 가져온 신학적 전환은 결국 정통주의를 종결시키고 신개신교를 출발시켰다.

3. 신학

3.1. 신앙

정통주의는 신앙(믿음)이 확립되는 과정을 세 단계로 구분했다:
  1. 지식 (또는 인식; 라틴어: notitia): 하느님께서 존재하신다는 사실을 믿는 것 (credere Deum) 또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지식
  2. 동의 (또는 인정; assensus): 하느님을 믿는 것 (credere Deo) 또는 복음의 소식을 일반적인 진리이자 (assensus generalis) 구체적으로 자신에게 특별한 것으로서의 동의 (assensus specialis)
  3. 신뢰 (fiducia): 하느님을 신뢰하는 것 (credere in Deum) 또는 성령에 의해서 일어난 신뢰

신앙의 종류를 두 가지로 구분했다:
객관적 신앙은 정통주의에서 표현된 모든 교리를 받아들이는 신앙이고, 주관적 신앙은 교회 안에서 표현된 하느님의 존재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충분한 신앙이다.

3.2. 성서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성서에 견고한 신학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성서가 절대적으로 무오하다는 교리를 고수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축자영감설이 탄생했다.

3.3. 창조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창조를 삼위일체 하느님의 외적 행위로 이해했다. 또한 하느님의 사역과 섭리를 합리적으로 해명하기 위해 섭리론을 체계화시켰다:

요하네스 안드레아스 크벤슈테트는 창조를 "직접적 창조"와 "간접적 창조"로, 섭리를 "비상한 섭리"와 "일상적 섭리"로 구분했다.

4. 주요 문헌